View : 82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용숙-
dc.contributor.author高銀珠-
dc.creator高銀珠-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6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6Z-
dc.date.issued198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407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62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4074-
dc.description.abstractl'Article De´fini en francais moderne a deux emplois principaux: un emploi spe´cifique et un emploi ge´ne´rique, mais aussi beaucoup d'emplois secondaires . La multiplicite´ des emplois cre´e les ambiguite´, et quelques emplois secondaires sont conside´re´s a` la le´ge`re. Cependant parmi eux il en existe de tre`s importants pour comprendre les proprie´te´s de l'article de´finien franc¸ais moderne: on verra l'emploi possessif traite´ ge´ne´ralement dans le cadre des e´tudes du lexique ou de la stylistique. Ici Nous analyserons l'emploi possessif de l'article de´fini dans le domaine de la syntaxe et de la se´mantique; nous avons pose´ le proble`me , "Dans la phrase ou` l'article de´fini est utitise´ a` la place de l'adjectif possessif, quelle est la relation entre la signification possessive de l'article de´fini et la structure de la phrase?" En comparant les structures de la phrase-〈No LUI V N_(1) : N_(0) = sujet, N_(1) = objet〉 et 〈No V N_(1)〉, - nous avons essaye´ de chercher une solution. D'abord nous avons examine´ la the´orie transformationnelle de Ronald W. Langaeker qui est capitale parmi les e´tudes existantes. Selon Langacker, 〈No LUI V N_(1)〉 et 〈No V N_(1)〉 ont un possesseur chacun dans la structure profonde. Ce possesseur peut e^tre de´rive´ en LUI dans la structure de la phrase 〈No LUI V N_(1)〉, ou peut e^tre efface´ dans la structure de la phrase 〈No V N_(1)〉 par les re`gles transformationnelles. Cependant, nous avons constate´ que cette the´orie a quelques defauts, disons qu'elle est imparfaite. Ces constatations nous ont conduits a` chercher une nouvelle solution : 1. Dans la structure de la phrase 〈No V N_(1)〉 nous avons propose´ la the´orie de "l'Interpre´tation de Fusion," c'est-a`-dire qu'on peut interpre´ter V+N_(1) comme une unite´ verbale V[v+n_(1)] quand V+N_(1) repre´sente un geste naturel simple. Dans cette structure suivant "Interpre´tation de Fusion," No V[v+n_(1)] subsistent le sujet No et le pre´dicat V[v+n_(1)]. Et alors N_(1), qui est compris dans le pre´dicat V[v+n_(1)] a un rapport inalie´nable a` No. 2. Dans la structure de la phrase 〈No LUI V v+n_(1)〉nous avons remarque´ que sa particulararite´ est l'activite´, la volonte´ de verbe. Nous avons alors analyse´ la relation possessive entre LUI et N_(1) en conside´rant la fonction re´fe´rentielle de l'article de´fini et la constante se´mantique de LUI, datif e´tendu. En conse´quence nous avons trouve´ que la distinction se´mantique entre 〈N_(0) V N_(1)〉 et 〈N_(0) LUI N_(1)〉, concerne le sens du pre´dicat, qui repre´sente soit un geste naturel simple soit l'activite´ ou la volonte´. Nous avons aussi constate´ que la diffe´rence se´mantique entre l'article de´fini et l'adjectif possessif dans la structure de la phrase 〈N_(0) V N_(1)〉 est : ① un geste naturel simple/l'activite´ complexe, ② le caracte´re moral du geste/le mouvement physique, ③ la partie au mouvement comme un tout/la mise en relief de la partie du corps en elle-me^me. et cette diffe´rence dans la structure de la phrase 〈N_(0) LUI N_(1)〉est : ① la fonction re´fe´rentielle de l'Article De´fini suivant le genre·le nombre/la pre´cision de re´fe´rence de l'Adjectif Possessif suivant le genre·le nombre·la personne, ② le sens possessif seulement/l'addition de la valeur affective.;현대 불어에서 사용되는 정관사는 특정적 용법 ( emploi spe'cifique )과 총칭적 용법 ( emploi ge'ne'rique )의 두가지 주요 용법과 기타 다양한 부수적 용법들을 지니고 있다. 이렇게 용법들이 다양하기 때문에 불어 관사의 특징을 이해하는 데 혼란이 생기기도 하지만, 의외로 소홀히 지나쳐지는 부수적인 용법가운데 어떤 것들은 불어 관사의 특징을 이해하는데 아주 중요한 지침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용법중의 하나로 소유 용법을 들 수 있는데, 정관사의 소유용법은 일반적으로 어휘론적·문체론적 분야에서 다루어져 왔다. 본 연구는 정관사의 소유 용법에 대한 구문론적·의미론적 연구를 위하여 "정관사가 소유 형용사의 위치에서 소유용법으로 쓰이는 문장에서 정관사의 소유 의미와 그 문장 구조와의 관계는 어떠한 것인가? " 라는 문제를 제시하고 문장의 술부가운데 타동사가 쓰인 문장에서 인칭 대명사 LUI가 있는 문장 구조와 LUI가 없는 문장 구조를 비교하여 봄으로써 해결점을 찾아 보았다. 우선 기존의 이론을 검토하는 의미에서 대표적인 것으로 Langacker의 변형 이론을 살펴 보았는데, 이는 LUI가 있는 문장( N_(0)LUl VN_(1))과 LUI가 없는 문장( N_(0)VN_(1))들이 모두 심층 구조에서 소유주( possesseur )를 포함하고 있다가, 변형 규칙에 의해 LUI가 있는 문장 구조에는 소유주가 LUI형태로 도출되었고, LUI가 없는 문장 구조에는 소유주가 삭제되었다고 설명한 것이었다. 그러나 실제로 이 이론은 분석의 동기와, 문장구조와 정관사의 소유의미를 관련하여 해석하는 방법 및 두 문장 구조의 구별 기준에 있어서 성립될 수 없는 몇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이에 따라 정관사의 소유 용법에 대한 새로운 분석을 모색해보았는데, LUI가 없는 문장 구조<N_(0)VN_(1)> 에서는 양도불능의소유 표현이 이루어지는 경우 V+N_(1)이 융합하여 단순한 몸짓을 나타낸다는 의미적 특징에 주목하여, V+N_(1)을 하나의 통사적 단위로 간주할 수 있다는 융합 해석 이론을 설정하였다. 융합 해석된 구조 N_(0)V_([v+n_1]) 에서는 주어와 술어의 관계만이 남게 되므로, V_([v+n_1]) 속에 포함된 N_(1) 은 자연히 주어 N_(0) 와 불가분의 관계를 갖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LUI가 있는 문장 구조( N_(0)LUl VN_(1))에서는 양도 불능의 소유 표현이 이루어질 때 문장의 구조적 특징이 '행동성 ' ( activite') '의도성 ' ( volonte' )임을 주목하였다. 이에 근거하여 정관사의 지시적 기능( fonction re'fe'rentielle)과 datife'tendu 의 의미 항수( constante se'mantique )를 함께 고려함으로써 LUI와, N_(1)의 소유 관계를 해석할 수 있다고 보았다. 아울러 LUI가 없는 문장 구조와 LUI가 있는 문장 구조를 구분하는 의미적 기준은 일반적으로 문장의 술어가 '단순한 몸짓'( un geste naturel simple )을 나타내는가, 또는 술어의 '행동성 '( activite')이 증가하고 '의도성' ( volonte')이 짙어지는가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LUI가 있는 문장 구조에서 정관사와 소유 형용사의 의미차이및 각각의 특징은 ① 성·수에 따른 지시적 기능/성·수·인칭에 따른 지시의 명확성 ② 단순한 소유 의미/감정적의미 부가로 나타나고, LUI가 없는 문장 구조에서 정관사와 소유 형용사의 의미 차이는 ① 단순한 자연스런 몸짓/복잡한 행동, ② 정신적인 움직임의 발로/신체적인 동작, ③ 전체적으로 이루어지는 움직임에 있어 부분/신체의 일부분 자체의 부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Ⅱ. 기존 이론 검토 = 10 A. 연구 대상의 일반적 특징 = 10 B. Ronald W. Langacker의 변형 이론 = 16 C. Ronald W. Langacker의 변형 이론의 문제점 = 23 1. 관계사 생략과 한정사 = 23 2. 정관사의 정의와 총칭적 용법 = 24 3. 두 문장 구조의 구별 기준 = 28 4. LUI가 없는 문장 구조에서 정관사의 소유 의미 = 32 5. LUI가 있는 문장 구조에서 정관사의 소유 의미 = 35 Ⅲ. 새로운 해결책 = 43 A. LUI가 없는 문장 구조(No V N_(1))에서 정관사의 소유 의미 = 44 1. LUI가 없는 문장의 특징 = 44 2. 정관사의 소유의미 : 융합해석 (l' Imterpre´tation de Fusion) = 47 3. 정관사와 소유 형용사 = 56 B. LUI가 있는 문장 구조(No LUI VN_(1))에서 정관사의 소유 의미 = 63 1. LUI의 근원 (source) = 63 2. LUI가 있는 문장의 특징 = 71 3. 정관사의 소유 의미 : LUI와 Npc의 소유 관계 = 75 4. 정관사와 소유 형용사 = 82 Ⅳ. 결론 = 85 참고문헌 = 90 RESUME = 9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1503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현대불어-
dc.subject불어-
dc.subject정관사-
dc.subject소유용법-
dc.subject.ddc800-
dc.title현대 불어의 정관사의 소유용법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TUDE SUR L'EMPLOI POSSESSIF DE L'ARTICLE DEFINI EN FRANCAIS MODERNE-
dc.creator.othernameKO, EUN JU-
dc.format.pagevii, 9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불어불문학과-
dc.date.awarded198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불어불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