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1 Download: 0

수술환자의 통증지각정도에 관한 연구

Title
수술환자의 통증지각정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perception of pain in postoprerative patients
Authors
김선자
Issue Date
1984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학과
Keywords
수술환자통증지각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영희
Abstract
통증이란 인간이 공통적으로 겪는 공통스러운 경험이며, 특히 수술로 인한 통증은 환자들에게 수술에 대한 위기의식과 공포감을 갖게한다. 통증은 또 주관적인 경험이며, 이를 객관적으로 사정하는 것이 용이한 일은 아니다. 그러나 통증에 대한 이해와 고통 경감은 수술 후 간호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몫을 차지한다. 본 연구는 수술환자가 직면하는 통증지각정도 중 장각적 통증 지각정도와 정의적 통증지각정도간의 관계, 통증지각정도와 객관적 증후 및 진통제 사용간의 관계, 통증지각정도와 통제위 성격간의 관계를 분석하므로써, 통증에 대한 이해를 돕고, 통증 경감을 위한 간호중재 시도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1984년 9원 18일부터 16일까지 서울 시내 2개 대학부속병원의 외과계 수술환자 8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Melzack의 McGill Pain Questionaire중 이은옥이 개발한 통증 지각척도에서 감각적 통증 영역의 6문항, 정의적 통증 영역의 4문항, 총 10문항과 본 연구자가 관찰한 객관적 증후로 통증을 측정하였고, Wallston과 Wallston이 개발한 건강통제위척도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에 의해서, 백분율,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등의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술환자에서 감각적 통증지각정도가 높을 수록, 정의적 통증 지각정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 = 0.000) 2. 수술환자의 통증지각정도와 활력증후 및 여러가지 통증 관련증후간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가. 통증지각정도와 활력증후 변화간의 관계를 보면, 수술 후 통증지각정도가 높을 수록 맥박의 변화, 호흡의 변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 = 0.001), (P = 0.002). 나. 통증지각정도와 여러가지 통증 관련증후간의 관계를 보면, 수술 후 통증지각정도가 높을 수록 얼굴 표현의 변화,(P = 0.001), 발한정도(P = 0.004), 신체 자세의 변화(P = 0.000), 음성의 변화(P = 0.005)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수술환자의 통증자각정도와 통제위 성격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P = 0.462). 4. 통증지각정도와 환자의 일반적 배경 간의 관계를 보면 다음과 같다. 가. 진통제를 사용한 환자가 진통제를 사용하지 않고 환자에서 보다 통증지각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 = 0.000) 나. 수술 경험이 있는 환자가 수술 경험이 없는 환자에서 보다 더 통증지각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 = 0.038) 즉 수술환자의 통증지각정도는 감각적 통증지각정도가 높을수록, 정의적 통증지각정도가 높아지며, 통증지각정도가 높을수록 활력증후 및 여러가지 통증 관련증후가 높게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나며, 따라서 수술환자의 통증지각정도 측정은 감각적 통증지각정도와 정의적 통증지각정도의 측정을 통하여 보며, 그밖의 활력증후, 여러가지 통증 관련 증후의 변화를 통해서 가능하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는 수술환자의 통증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본다.;Pain is a most miserable experience in man and most preoperative patient have fear of postoperative pain. In nursing,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and relieve the pain of post operative patients as much as possible. I have prepared this survey in order to get useful basic data relevant to relieving postoperative pain through effective nursing care. I have examined the relationships pain through effective nursing care. I have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ensory dimenson and affective dimension in pain, pain perception and objective signs, pain perception and the use of analgesics, and pain perception and locus of control. The subject were a total of 86 surgical patients at two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from September 18, 1984 to October 16, 1984.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Melzack's Mcgill Pain Questionnaire, Ten Items of Developmental Pain Intensity Scale by Lee Ecen OK, and objective methods by research through the Literature, and Wallston & Wallston's Multidimensional Health Locus of Control scale. Analysis of data was done by using S.P.S.S. percentage, t-test, F-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sensory pain simension and the affect pain dimension. (P=0.000) 2. Analysis of relationships between the perception of pain and changes of vital sign, and other objective signs;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perception of pain and change of pulse rate and respiration rate- (p=0.001), (p=0.002) b.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perception of pain and changes of facial expression, degree of chilling, body posture, and tone. 3.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perception of pain and locus of control. (p=0.462) 4.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erception of pain and general back ground were as follows; a. The degree of pain perception of analgesics group was higher than non analgesics group. (p=0.000) b. The group who had operative experience showed higher perception of pain than non experience group. (p=0.038)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