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9 Download: 0

우리나라 肝吸蟲 感染에 대한 地理學的 硏究

Title
우리나라 肝吸蟲 感染에 대한 地理學的 硏究
Other Titles
Study on the Spatial Analysis of Clonorchis Infection in Korea
Authors
孫惠璥
Issue Date
1984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생활학과
Keywords
우리나라간흡충감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운식
Abstract
This study attempt to test the spatial distribution, spatial pattern and characteristics of prevalence rate by age with the data of infection rates from a total of 62 localities in the vicinity of six main rivers, Han river, Geum river, Mangyong river, Yeongsan river, Sumjin river and Nagdong river, which have been known to be heavy endemic areas of Clonorchis infection in Korea. The data obtained from MHSA and KAPE, and by epidemiologists during a 5 year period of 1978-1982. For the study the data was analyzed with the cartographic methods for 62 localities and Muench's catalytic model for 19 localities. The result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1. Cartographic methods were revealed to be more useful to understand the general situation of changing tendency of the prevalence rates o f clonorchiasis reported by MHSA and KAPE in 1971 and 1981 than the numerical statements of them. 2. Cartographic study 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prevalence rates of clonorchiasis indicated that localities in the vicinity of Nagdong river, particularly Namgang tributary are the heaviest endemic area, then Namhangang tributary, the upper reach of Geum river,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Yeongsan river and the upper reach of Sumjin river, in decreasing order. 3 Application of Two-stage catalytic model suggested theoretically that 7 of 19 localities, such as Guesan, Yangpyong, Geochang, Kimhae, Jinju, Miryang and Euisung, were progressive in Clonorchis infection and the others are regressive during the observed period. 4. Application of Two-stage catalytic model for test of characteristics of the prevalence rates by age gave the curve equations, y=1.130(e^(-0.003t)-e^(-0.026t)) ; a=0.026 > b=0.003 in Kimhae (1983), and y=0.429(e^(-0.006t)-e^(-0.020t)) ; a=0.006 < b=0,020 in Busan (l981). The theoretical curve was fitted well in histogram to the prevalence rates by age of the egg positive cases reported in Kimhae and Busan, correspondingly.;醫地理學(Medical Geography)은 질병의 원인 되는 病理學的 諸要因과 질병발생에 영향하는 地理學的 諸要因 사이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는 學問領域이며 그 機能의 하나로서 空間分析을 通하여 질병의 발전과정과 전파양상을 밝힘으로써 그 疾病進行의 推移를 파악하게 하고 疾病管理案 樹立에 重要한 기초자료를 제시한다. 이와 같이 疾病流行의 根本性狀을 分析, 糾明함에 있어 地理學的 硏究方法이나 技法의 응용은 지극히 중요한 意義를 내포하고 있음에도 우리나라에 있어서는 地理學者의 참여에 의한 疾病硏究는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우리나라에 있어 지극히 고질적이고도 代表的인 肝吸蟲症을 선택하여 本 硏究를 시도하였다. 肝吸蟲症의 濃厚蔓廷地로 알려져 있는 漢江, 錦江, 萬頃江, 滎山江, 蟾津江 및 洛東江 等 6大江 流域에서 1978年 부터 1982年 까지의 5個年 사이에 조사, 보고된 총 62個 地域의 肝吸蟲 感染率을 資料로 利用하여 地理學的 技法을 通한 空間分布 및 空間패턴 等 空間分析과 그 中 19個 地域에 對한 Catalytic model分析을 병행실시, 江流域別, 地城別 및 연령별 感染의 特徵을 비교, 고찰함으로써 本 疾病 發展過程 및 傳潘樣相의 追跡硏究와 管理方案 樹立에 參考가 될 基礎之見을 提示할 目的으로 本 硏究를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結果를 얻었다. 1 . 1981年의 道別 感染率은 1971年의 것에 비하여 減少되었으며 이를 地圖化하여 比戟한 바 시각적으로 그 변동양상을 이해하는데 매우 有用하다고 생각되었다 2 . 6大江 流域의 地域別 感染率의 空間分布를 分析, 地圖化하였던 바, 洛東江 流域이 集中的 分布地로 나타났으며 南漢江, 錦江 上流 榮山江 中, 下流 및 蟾津江 上流가 濃厚分布地域인 것으로 나타났다. 3 Two-stage catalytic model分析 結果, 南漢江의 槐山郡 및 場平郡, 그리고 洛東江의 居昌郡, 金海市, 晋州市 等 南漢流域과 密陽邑 및 義城郡 等 7個 地域이 肝吸蟲 感染의 進行性 地域으로, 나머지 12個 地域은 衰退性 地域으로 나타났다. 4 . 感染率의 연령별 특징을 分析한 바, 進行性 地域에서는 0 ∼20歲 사이에 곡선이 높게 상승하여 20∼ 40歲郡에서 절정을 이를 후 50∼60歲郡에서 둔화되는 反面, 衰退性 地域에서는 0 ∼ 20歲 사이에 완만하게 상승하여 계속하다가 20∼40歲郡에서 절정을 이룬 후 급격히 또는 약간 하강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로써 특정질병의 空間分析을 위한 空間分布 및 空間패턴의 地圖化는 그 질병의 발전과정과 전파양상을 이해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고 Catalytic model分析은 空間패턴의 推移把握에 매우 有用한 方法이 된다고 믿는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