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영희-
dc.contributor.author원종순-
dc.creator원종순-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1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1Z-
dc.date.issued1987-
dc.identifier.otherOAK-00000001495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57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4950-
dc.description.abstractThough the hemodialysis proved to be a successful method for managing chronic renal failure, those who are undergoing hemodialysis treatment became to feel severe tension with the stress resulting from the complicated dialysis process itself and the dependence upon an artificial device for survival as well as with the chronic illness. These stress produce many physical problems and negative emotional responses, which become decisive impact factors in their effective adaptation with hemodialysis treatment. In this stressful situation, the concept of family support is very important, which is the primary and direct support sysem mediating or buffering stress and helping the hemodialysis patients coping their stress effectively. Therefor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among the perceived family support, stress, and hopelessness in patients on hemodialysi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data base for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them.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the 94 patients who were registered in the hemodialysis rooms of the 4 hospitals which are attached to the Universities in Seoul. The study method used was a questionnair an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9 to October 8, 1986. The instruments for this study were the Family Environment Scale designed by Rudolf Moos and Insel, the Stress Measurement Scale in patients on hemodialysis designed by Chon Sija and the Hopelessness Scale designed by Beck et al. The data were analysed by the one hundredth percentage,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e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d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1. Test for hypothesis Hypothesis 1, "The higher the level of stress in patients: on hemodialysis, the higher the level of their hopelessness will be:" was supported (r=0.4016, p=0.000). Hypothesis 2, "The higher the level o f perceived family support in patient on hemodialysis, the lower the level of their stress will be."was partially supported. 1) "The higher the level of perceived family cohesion, the . lower the level of stress will be." was not supported (r=-0.0924, p=0.188). 2) "The higher the level of perceived family expressiveness, the lower the level of perceived family expressiveness, the lower the level of perceived family expressiveness, the lower the level of stress will be." was supported(r=-0.2043, p=0.024). Hypothesis 3. "The higher the level of perceived family support in patients on hemodialysis, the lower the level of their hopelessness will be." was supported (r=-0.2043, p=0.003). 1) "The higher the level of perceived family cohesion, the lower the level of hopelessness will be." was supported (r=-0.195, p=0.029). 2) "The higher the level of perceived family expressiveness, the lower the level of hopelessness will be." was supported (r=-0.3243, p=0.00l). 2. The relations between social-demographic variables and the level of perceived family support, stress, and hopelessness 1) Social-demographic variable influencing the level of perceived family support was sex distinction (p=0.0496). 2) Social-demographic variables influencing the level of stress were sex distinction, educational background and family income (p=0.0277: p=0.006: p=0.0220). 3) No social-demographic variables influenced the level of hopelessness (p 0.05). 3 . The Relations between variables related to disease treatment and the level of perceived family support, stress, and hopelessness 1) Variables related to disease treatment inflencing the level of perceived family support were the number of dialysis per week (p=0.0062). Those who received a dialysis per week showed the highest level of family support. The number of dialysis per week and the level of perceived family support showed negative correlation. 2) Variables related to disease treatment influencing the level of stress were treatment duration and the number of dialysis per week (p=0.0082: p=0.008). In the treatment duration from 6 months to a year shower the stress level the highest (p=0.0082) and ther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dialysis per week and the stress level (r=-0.2479, p=0.008). 3) Variables related to disease treatment influencing the level of hopelessness were the number of hospitalization and the number of dialysis per week. The more the number of hospitalization, the lower the level of hopelessness became (r=-0.3011, p=0.002) and the more the number of dialysis the lower the level of hopelessness showed (r=-0.1970, p=0.029). 4 . Variables for predicting hopelessnes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variables predicting the level of hopelessness, the level of physical stress, the number of hospitalization, perceived family expressiveness and treatment duration, accounted for 36.6% of the hopelessness and the orders of significance of variables. The largest estimation of the significant is the level of physical stress, the second, the number of hospitalization, the third, the level of family expressiveness, and the last, treatment duration. In Conclusion, it is found that family support has not only direct effect on reducing hopelessness which is negative emotional response but a l s o buffering effect on reducing stress which cause hopelessness in patients on hemodialysis. Thus nurse must include family support in nursing intervention to help the pationts on hemodialysis adapt to stress resulting from the hemodialysis effectively.;혈액투석은 만성신부전 환자의 치료와 생명연장에 큰 도움을 주었으나 환자들로서는 투석과정 자체가 복잡하고, 평생동안 계속적으로 투석을 받아야하며, 중단하면 곧 사망의 위협에 직면하며, 전적으로 기계에 의존해야 하는 상황에서 심각한 스트레스를 느끼게 된다. 이러한 스트레스는 여러 가지 신체적 문제와 부적응 정서반응을 일으켜 환자의 효율적 적응에 큰 저해요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스트레스 상황에서 환자들의 효과적인 적응을 돕고 중재 혹은 완충해 주는 일차적인 환경인 가족지지의 개념은 중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혈액투석 환자의 가장 일차적인 지지체제인 가족의 지지 정도, 이들에게 나타나는 스트레스 정도, 그리고 부적응 정서반응인 절망감 정도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그들의 스트레스와 절망감을 감소시켜 효과적인 적응을 돕기 위한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내 4개 대학부속병원 인공신장실에 등록되어 정기적으로 혈액투석을 시행받고 있는 만성신부전 환자 94명으로 질문지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1986년 9월 19일부터 10월 8일까지 20일간이었다. 연구도구는 가족지지 측정도구로는 Moos와 Insel의 Family Environment Scale중 R Form을, 스트레스 측정도구로는 전시자의 혈액투석 환자의 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절망감 측정도구로는 Beck의 Hopelessness Scale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백분율, t -검정,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등의 통계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설검정 제 1가설, "혈액투석 환자의 스트레스 정도가 높을수록 그들의 절망감 정도도 높을 것이다. "는 지지되었다( r=0.4016, P=0.000 ). 제 2가설, "혈액투석 환자가 지각한 가족지지 정도가 높을수록 그들의 스트레스 정도는 낮을 것이다. "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1) "지각한 가족결합 정도가 높을수록 스트레스 정도는 낮을 것이다. "는 지지되지 못했다( r=-0.0924, P=0.188 ). 2) "지각한 가족표현 정도가 높을수록 스트레스 정도는 낮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r=-0.2043, P=0.024 ). 제 3가설, "혈액투석 환자가 지각한 가족지지 정도가 높을수록 그들의 절망감 정도는 낮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r=-0.2870, P=0.603 ). 1) "지각한 가족결합 정도가 높을수록 절망감 정도는 낮을 것이다. "는 지지되었다( r=-0. 195, P=0.029 ). 2) "지각한 가족표현 정도가 높을수록 절망감 정도는 낮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r=-0.3243, P=0.001). 2.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지각한 가족지지, 스트레스 및 절망감 정도와의 관계 1) 지각한 가족지지 정도와 관련있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성별이었다. 즉 남성이 여성보다 더 높은 가족지지 정도를 나타내었다( P=0.0496 ). 2) 스트레스 정도와 관련있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는 성별, 학력, 가족의 월수입 등이었다. 즉 성별에서는 여성이, 학력에서는 저학력인 경우가, 가족의 월수입에서는 월수입이 가장 적은 경우에 스트레스 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P=0.0277 : P=0.0006 : P=0.0220 ). 3) 절망감 정도와 관련있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없었다( P>0.05 ). 3. 질병치료에 관련된 특성과 지각한 가족지지, 스트레스 및 절망감 정도와의 관계 1) 지각한 가족지지 정도와 관련있는 질병치료에 관련된 특성은 주당 투석횟수였다. 즉 주당 1회의 투석을 받는 사람이 가장 높은 가족지지 정도를 나타내었으며(P=0.0062 ) 주당 투석횟수와 가족지지 정도는 역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r=-0.2502, P=0.008 ). 2) 스트레스 정도와 관련있는 질병치료에 관련된 특성으로는 치료기간, 주당 투석횟수등이었다. 즉 치료기간에서는 6개월∼1년의 경우에 스트레스 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0.0082 ) 주당 투석횟수와 스트레스 정도와는 역상관관계가 있었다( r=-0.2479, P=0.008). 3) 절망감 정도와 관련있는 질병치료에 관련된 특성으로는 입원횟수, 주당 투석횟수 등이었다. 즉 입원횟수가 많을수록 절망감 정도는 낮아지고( r=-0.3011, P=0.002 ) 주당 투석횟수가 많을수록 절망감 정도는 낮아진다고 나타났다( r=-0.1970, P=0.029). 4. 절망감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인자들을 분석한 결과 신체적 영역의 스트레스, 입원횟수, 가족표현 치료기간 등의 제변수들이 절망감을 36.6 %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예측력이 큰 변수는 신체적 영역의 스트레스 정도였고 다음이 입원횟수, 그 다음이 가족표현, 마지막이 치료기간이었다. 결론적으로 가족지지는 혈액투석 환자의 부적응 정서반응인 절망감을 감소시키는데 직접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절망감의 원인이 되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완충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혈액투석이라는 스트레스 상황에 처해있는 만성신부전 환자의 스트레스와 절망감을 감소시켜 효율적인 적응을 돕기 위해서는 가족지지가 간호계획에 포함되어야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3 C. 연구가설 = 4 D. 용어의 정의 = 5 E. 연구의 한계 = 6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 8 A. 스트레스와 적응 = 8 B. 가족지지 = 12 C. 혈액투석 환자의 스트레스, 절망감 및 가족지지와의 관계 = 16 Ⅲ. 연구방법 = 21 A.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 21 B. 연구도구 = 21 C. 자료분석방법 = 24 Ⅳ. 연구결과 및 고찰 = 25 A. 가설검정 = 25 B.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지각한 가족지지, 스트레스 및 절망감 정도와의 관계 = 29 C. 질병치료에 관련된 특성과 지각한 가족지지, 스트레스 및 절망감 정도와의 관계 = 33 D. 절망감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중다희귀 분석 = 36 Ⅴ. 결론 및 제언 = 38 A. 결론 = 38 B. 제언 = 42 참고문헌 = 43 부록 = 54 ABSTRACT =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6030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혈액투석환자-
dc.subject가족지지-
dc.subject스트레스-
dc.subject절망감-
dc.subject.ddc600-
dc.title혈액투석환자가 지각한 가족지지, 스트레스 및 절망감 간의 관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ORRELATION AMONG THE PERCEIVED FAMILY SUPPORT, STRESS, AND HOPELESSNESS IN THE PATIENTS ON HEMODIALYSIS-
dc.creator.othernameWon, Jong-Soon-
dc.format.pageix, 7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학과-
dc.date.awarded198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