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1 Download: 0

우리나라 국민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다이아그램 디자인에 관한 연구

Title
우리나라 국민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다이아그램 디자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diagram designs contained in primary school text books published in Korea
Authors
朱惠玉
Issue Date
1984
Department/Major
대학원 생활미술학과
Keywords
우리나라국민학교교과서다이아그램디자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문태선
Abstract
시각디자인의 일부인 다이아그램은 情報博達을 용이하게 하기위한 커뮤니케이션의 한 수단이다. 오늘날 모든 교육과정의 領域에서 다이아그램은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어떤 領域에서는 다이아그램 없이는 수행될 수 없는 경우도 허다하다. 국민학교 1학년부터 6학년까지는 組織的인 학습생활이 시작되는 단계로서, 신체의 발달속도가 완만히 진행됨과 동시에 강한 知的 의욕이 생기고, 과학적인 지식을 추구하게 되는 시기이다. 이 시기는 인간의 一生을 좌우하는 인격과 지능이 형성되며, 개념이나 사물에 대한 인식이 이루어지는 단계이므로 이들이 항상 접하게되는 교과서는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하게된다. 국민학교 교과서에서는 문장보다 다이아그램의 視覺的인 자료의 형태로 가르치고자하는 내용을 提示하는 것이 오히려 효과적이다. 그러므로 Ⅱ장에서는 다이아그램을 어떤 사물의 정확한 모습을 표현한 것으로 인식하지 않고, 주로 선과 심볼을 사용하여 추상적인 명제나 어떤 일의 과정 등을 상징적으로 표현함으로써 복잡한 事象의 기본 개념을 파악하고, 정보 전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디자인된 추상적인 視覺物로 서술하고, 史的인 배경과 아울러 기능, 分類 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Ⅲ장에서는 다이아그램과 학습과의 관계 및 교육적인 효율성에 관하여 어린이의 발달 수준과 함께 알아보았다. Ⅳ장에서는 우리나라 국민학교 교과서에 표현되고 있는 다이아그램 디자인을 그 기능적인 면과 교육적인 효율성 및 조형적인 면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본문의 내용과 어긋나는 표현, 논리성의 결여, 비현대적인 표현내용, 무분별한 색채사용, 창의성의 결여 등 미숙한 점이 많이 발견되었으므로 이러한 점을 교육적 효율성과 다이아그램의 기능, 어린이의 발달 수준 및 조형적인면에서 是正하여 제작해 보았다. 본 연구는 학습의 내용 전달의 목적 뿐만 아니라, 아동의 이해와 흥미를 불러 일으켜 올바른 지식을 체득하게 함으로서, 효과적인 학습으로 이끌어 나가는데 조그마한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아울러, 국민학교 교과서 편수를 담당하는 관계기관에서는 다이아그램 디자인이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인식하여 이를 담당하는 전문부서의 설치를 시급히 서둘렀으면 하는 바램이다.;A diagrm, which is a part of visual designs, is an effective means of communication to make it easy convey information. Today, diagrams are used frequently in a course of education, and under certain circumstances, education may not be performed effectively without them. Systematic process of learning begins during the period of primary school. During this period. in addition to slow progress of Physical development strong desires for learning begins to develop and wide curiosity as well as various interest begins to show, Because it is this important period that personalities, intelligence, and correct distinction between different objects are developed, text-books which students of primary school are always in contact with play an important role. The visual materials of diagrams are more effective in aiding the students understand the contents of text-books than words or sentences. Therefore, in chapter 2, I defined diagrams as highly abstract but simple visual materials which explained the process, structures, interrelationship, results, and variations of a certain abstract things. The diagrams were prepared by using mainly lines or symbols, but they were not exact drawing of the objects under consideration. I also described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function of the diagrams. In chapter 3, the relationship between diagrams and learning as well as efficiency of diagrams in educational process was dexcribed. In chapter 4, I discussed the educational efficiency and formative aspects of diagrams contained in the current textbooks of primary school in our country. As a result of my research, I discovered that the diagrams in the textbooks contained many mistakes and they were in need of much improvement. Some examples of mistakes included mispresentation of the content, lack in logic, out-dated method of presentation, and thoughtless choice of colors. Therefore, based on my study, I suggest that the diagrams in the textbooks published in Korea should not only convey the meaning of contents but also stimulate students' interest in learning. Also, the diagrams should make the materials more understandable so that students' performance in learning may be improved. Finally, I sincerely hope that the institute involved with publishing textbooks realize crucial importance of diagrams in education and a desperate need for organizing a professional department dealing with diagram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