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재은-
dc.contributor.author成垠鉉-
dc.creator成垠鉉-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9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9Z-
dc.date.issued198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437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55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437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문제 해결시 나타날 수 있는 개인차를 이해하려는 하나의 시도로써 "인지형태"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많은 연구들이 과제를 수행할 때 충동적인 아동이 숙고적인 아동보다 열등하다고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Zelniker와 Jeffrey (1976)의 연구에 의하면 충동적인 아동이 숙고적인 아동보다 열등한 것이 아니라 선행연구에 쓰인 도구가 숙고적인 아동들이 좋아하는 문제해결전략인 자극의 세부에 초점을 두도록 만들어 졌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본인은 이 점에 흥미를 갖고, 과연 숙고적인 아동과 충동적인 아동이 문제해결의 효율성에서 차이가 있는지, 아니면 정보처리전략이나 지각적 처리전략과 같은 문제 해결전략에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이에따라, 시내 W국민학교 2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MFF검사를 실시하여 숙고적인 피험자와 충동적인 피험자를 가려내고 그중에서 숙고성 집단과 충동성 집단에 각각 14명씩 (남자: 7명. 여자: 7명)무선적으로 배당했다. 그후 Ault, R.L(1973)가 고안한 스무고개 항목을 문화적 차이를 감안하여 일부 변경해서 만든 도구를 사용해서 해답에 이른 질문수에 차이가 있는지, 질문형태와 분류형태에 차이가 있는지 변량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이 결과, 해답에 이른 질문수엔 차이가 없었고[ F (1,26) =2.82, P> .05 ] 질문형태와 분류형태엔 차이가 있었다. [가설추구질문(Hypotheses Seeking Question ) : F (1,26) = 16.47, P< .01 ; 지각적 질문 (Perceptual Question) : F (1,26) = 19.87, P< .01 ;분류형태 : X^(2)(1)=4.10, P< .05 ]. 그러므로 인지형태에 따른 문제 해결의 효율성엔 차이가 없고, 정보처리 전략이나 지각적 처리전략과 같은 문제해결 전략에 차이가 있다고 하겠다.;This study introduced cognitive style to understand individual difference in problem-solving Progress. Many studies reported that impulsive childlen were inferior to reflective children in performance of the task. But, Ze-liniker & Jeffrey (1976) suggested that impulsive children were not inferior but the instruments of early studies focusing on the detail of stimulus agreed with reflective children's preference in problem solving strategy. This study was interesting in this point, we studied that difference in the problem solving effectiveness and difference in the problem solving strategy did exist between reflective and impulsive children.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cond grade of "W" elemently school in seoul First, using the Matching Familiar Figures Test,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reflective and impulsive, and then, 14 subjects (mail: 7, femail : 7) were assinged randomly in each cognitive style group. After that, we used Twenty questions Game designed by Ault(1973) Through the analysis of variance we wanted to know that difference in the question number arriving correct answer, difference in the question style and difference in the class-ifing style did exist. In the result of Experiment, the difference in question number arriving correct answer didn't exist. [F (1, 26) = 2.82, P>.05] But the difference of question style and clasifing style did exist. Hypotheses Seeking Question: F (1, 26)=16.47, P<.01; Perceptual Question:F(1, 26)=19.87, P<.01; Classing Style X^(2)(1)=4.10, P<.05] Thus, following the cognitive style, difference in the problem solving effectiveness didn't exist, but difference in the problem solving strategy did exis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문제제기 및 가설 = 2 Ⅱ. 이론적 배경 = 4 A. 숙고성 충동성의 개념 = 4 B. 숙고성 충동성에 내재하는 요소들 = 4 C. 인지형태를 통한 과제수행에서의 개인차에 관한 연구 = 7 D. 인지형태에 따른 인지적 성숙도에 관한 연구 = 10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16 A. 피험자 = 16 B. 도구 = 16 C. 실험절차 = 18 D. 자료처리 = 19 Ⅳ. 결과 및 가설검증 = 21 A. 가설 Ⅰ, '인지형태에 따라 해답에 이르는 질문수에 차이가 없을 것이다'의 검증 = 21 B. 가설 Ⅱ, '인지형태에 따라 각 질문형태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의 검증 = 22 C. 가설 Ⅲ, '숙고적인 아동은 지각적 분류를 더 좋아하고 충동적인 아동은 비지각적 분류를 더 좋아할 것이다.'의 검증 = 24 Ⅴ. 논의 및 제언 = 26 참고문헌 = 29 부록목차 = 33 ABSTRACT = 5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2074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인지 형태-
dc.subject문제 해결-
dc.subject효율성-
dc.subject문제 해결 전략-
dc.title인지 형태가 문제 해결의 효율성과 문제 해결 전략에 끼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심리학과-
dc.date.awarded198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