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봉규-
dc.contributor.author尹貞玉-
dc.creator尹貞玉-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8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8Z-
dc.date.issued1987-
dc.identifier.otherOAK-00000001494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54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4949-
dc.description.abstractPb, Zn tolerance of Phaseolus multiflorus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elongation of root and stem, pollen germination and progeny quality in various Pb, Zn concentrations. Phaseolus multiflorus was collected at a Pb-Zn mine site and the control site. The result obtained by water culture showed that the growth of root and stem of Phaseolus multiflorus from Pb-Zn mine site is less inhibited than that of the control site. The flower of Phaseolus multiflorus from which pollen was taken were grown without added Pb, Zn and percent germination of pollen observed in a range of Pb, Zn concentrations. The percent germination of pollen from Pb-Zn mine site was higher than the control site. Phaseolus multiflorus collected at a Pb-Zn mine site and the control site were grown at different Pb, Zn concentrations, its progeny was retreated with same concentrations of Pb, Zn, then compared by plant vigor. The result was shown that the progeny from Pb-Zn mine site was more vigorous than the control site. Thus, Pb-Zn tolerance was able to expressed in both pollen and sporophytes.;식물의 납·아연에 대한 내성이 화분(Pollen)과 영양체(Sporophyte )양쪽에 나란히 나타나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납·아연광산지역과 대조구에서 붉은 강낭콩(Phaseolus multiflorus W.)을 채집하여 납·아연의 농도처리에 따른 뿌리 및 줄기의 성장을 관찰하고 화분의 발아율과 다음 세대의 식물의 성장을 연구하였다. 납·아연광산지역과 대조구에서의 붉은강낭콩을 납·아연의 농도에 따라 수경재배 한 결과 뿌리 및 줄기의 성장에 지역의 붉은강낭콩이 대조구보다 덜 억제가 되었다. 납·아연광산지역과 대조구에서 채집한 붉은강낭콩을 납·아연을 처리하지 않고 재배하여 채취한 화분을 납·아연의 농도별 배지에서 발아시킨 결과 납·아연광산지역의 화분이 대조구보다 더 높은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납·아연광산지역과 대조구에서의 붉은 강낭콩을 납·아연의 농도별로 처리하여 재배시킨 후 얻은 다음세대를 같은 농도로 재 처리하여 식물의 성장을 관찰한 결과 납·아연광산지역의 경우가 대조구보다 식물의 성장이 더 왕성하였다. 그러므로; 납·아연에 대한 내성이 화분과 영양체 양쪽에 나란히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Ⅱ. 재료 및 방법 = 3 A. 재료 = 3 B. 방법 = 3 1. 납·아연농도에 따른 줄기 및 뿌리의 신장 = 3 2. 납·아연의 농도에 따른 화분(Pollen) 발아율 = 4 3. 납·아연 농도에 따른 후대검정 = 5 Ⅲ. 결과 및 고찰 = 6 A. 납·아연에 대한 영양체의 내성 = 6 B. 납·아연에 대한 화분의 내성 = 16 C. 납·아연에 대한 내성의 후대검정 (Progeny test) = 20 Ⅳ. 결론 = 23 참고문헌 = 25 ABSTRACT = 2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9269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붉은 강낭콩-
dc.subject-
dc.subject아연-
dc.subjectPhaseolus multiflorus-
dc.title붉은 강낭콩 (Phaseolus multiflorus)의 납, 아연 (Pb, Zn)에 대한 내성-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Pb, Zn yolrerance of Phaseolus multiflous w.-
dc.creator.othernameYUN, JEOUNG OK-
dc.format.pagevi, 2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생물학과-
dc.date.awarded198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생명·약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