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1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혜정-
dc.contributor.author윤양헌-
dc.creator윤양헌-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8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8Z-
dc.date.issued198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494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54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4943-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높은 안정성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한국 중산층 부부관계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30대 비취업 주부들과 그 남편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에서 부부간의 만족도와 적응유형을 알아보는 것이 주된 작업이 되었다. 그에 따라 조사대상 부부들은 다음과 같이 유형화되었다. 첫째, '아내갈등형'으로서, 가부장적 권위의식이 강한 남편이 자기 본위로 일방적인 통제를 하고 있으며 아내는 여기에 불만을 느끼면서도 성관계 도구화, 자녀도구화, 연극적 테크닉의 적응기제를 통하여 갈등을 무마시키며 안정성이 유지되는 부부관계이다. 둘째, '남편갈등형'으로 투철하지는 않으나 근대적 평등의식을 가진 남편이 전통적이고 물질주의적 주부형인 아내에게 불만을 느끼고 있는 경우이다. 이 때 남편은 가정 밖의 업무적, 정서적 준거집단에 열중하고, 부부관계에서는 성관계를 도구화하는 적응양식을 보이고 있다. 세째, '상호갈등형(1)'의 부부관계에서는 아내는 남편의 권위주의적 태도에, 남편은 아내의 현모양처로서의 무능력에 불만을 갖고 있으며, 이에 따른 부부간의 갈등이 존재한다. 그러나 아내의 연극적 테크닉과 남편의 밖에서 활성화된 동료관계를 통해 이 갈등은 은폐되어 있다. 네째, '상호갈등형(2)'인데 여기서는 의존적인 성품의 남성이 기가 센 부인의 모성적능력의 결함에 불만을 가지며 부인은 남편의 가부장적 무능력에 대해 불만을 가지고 있다. 이들 부부간의 불만은 노골적이고 갈등은 지속적인 형태로 표출되지만 집단주의적 가족주의 의식에 지배되어 자녀에 집착함으로써 갈등과 자위의 악순환 속에서도 부부관계의 안정성을 유지해 나간다. 다섯째는 '상호만족형'으로 부부가 모두 만족하는 유형이다. 바깥활동 영역에서 유능한 남편이 가정내에서는 의존적인 성향을 보이는데 부인은 남편이 요구하는 모성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함으로 부부간에 상호만족한 관계를 다루고 있다. 결과적으로 이 다섯유형의 부부관계는 많은 갈등을 내포하고 있으나 여러 가지 적응기제를 통해 이러한 갈등은 해소내지 무마되고 있음을 밝혀졌다. 부부관계는 전체적으로 여전히 가부장적인 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그 구조에 부부가 모두 적응하고 있는 편이며 이때 여성의 적응 정도가 남성의 적응보다 더 큰 것이 특징이다. 부부갈등은 주로 가치관의 혼재현상에서 빚어짐을 알 수 있었다. 근대적 평등주의적 역할개념과 전통적 권위주의적 역할개념의 혼재는 배우자에 대한 기대를 서로 어긋나게 만들고, 또한 가족구성원간에 거리감을 유지하려는 권위의식은 부부관계의 친밀성을 제약함으로서 부부관계를 갈등관계로 몰고가는 주요 근원이 되고 있다. 이러한 발견 사실들은 우리나라 부부관계의 안정성의 실체에 대한 논의를 가능케 하였다. 즉 우리나라 부부관계의 안정성은 부부관계 자체의 만족보다는 다른 조건들의 영향으로 생겨난 결과이다. 집단주의적이고 가족주의적인 우리나라의 문화풍토와 관련하여 이들은 안정성을 최고의 가치로 여기는 결혼관을 고수하고 있으며 경제자립등 역할대안의 불평등은 부부관계의 해체가능성을 극도로 축소시켜서, 상호불만이 매우 높은 상태에서라도 부부관계를 유지하게 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갈등적 상황에서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한국 부부들은 내부적인 적응기제를 발전시키고 있다. 이러한 적응기제를 이 연구에서는 한국 부부관계의 안정성을 가능케하는 내적조건으로 보았다. 내적 조건은 성의 도구화, 자녀의 도구화, 염극적 테크닉의 범주로 분석되었다. 이렇게 볼 때 한국 부부관계의 안정성은 부부간에 솔직한 커뮤니케이션을 포기한 상태에서 부부간의 인격적인 만족보다는 성관계에 집착하고 자녀에게서 대리 만족을 구하면서 유지되는, 형식적 안정이라고 할 수 있다. 부부가 모두 만족함을 표시하고 있는 '상호만족형'의 부부관계도 아내가 가부장적 형태로 남편에게 적응한 결과라고 볼 수 있어서 우리사회의 부부관계의 현실이 평등을 기반으로 한 인격관계를 형성하는데 많은 장애요인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해주고 있다. 민주사회를 지향하는 산업사회에서 가족은 민주적인 원리로 움직이는 진정한 의미에서 친밀집단이 되어야 하며 따라서 우리 사회의 부부관계는 외부적인 강제요인의 변화와 함께 내부적인 부부관계의 질적 수준의 향상을 위해 변화되어야 할 것이다.;This thesis purposes to explore the traits of middle class marital relationship which seems to have high stability. The main enterprise for this goal is to examine marital satisfaction and adjusting pattern through a depth interview with employed wives in their thirties and their husbands. The subject couples are typified as follows: (1) The type of wife-conflict couple This is the type of stable marital relationship in which strong patriarchal authoritative husband controls his wife unilaterally and selfishly, but wife, although having complaint with his behavior, soothes her conflict through instrumentalization of sexual relation and children, and through adaptive function of dramatic techniques. (2) The type of husband-conflict couple This is the case of a husband who has egalitarian consciousness, if not totally, and feels complaint with his wife of being a type of conventional and materialistic housewife. In this case, a husband is absorbed in the conformitive groups outside of home on which his business and emotion will be based, and he shows the adjusting attitude by instrumentalizing the sex life in terms of the marital relationship. (3) The type 1 of mutual conflict couple In this relationship, wife has complaint with authoritarian attitude of her husband and husband, in turn, with the incompetence of his wife in the role of good housewife, thus causing their continued mutual conflict. But the conflicts are concealed by the dramatic technique of wife and the vitalized relationship of husband with his colleagues outside. (4) the type 2 of mutual conflict couple In this type, dependent husband has complaint with the lack of maternal incompetence in a strong wife, and with patriarchal incompetence of husband. Although their complaints are uncovered and conflicts are revealed in the lasting way, this couple keeps its stability of their relationship in a vicious circle of conflict and self-consolation through the attachment to their children which is controlled by their consciousness of collectivist familism. (5) The type of mutual satisfaction couple In this case, wife and husband are getting satisfied each other. While husband who is competent outside home shows dependent propensity in the home, wife performs her maternal role successfully for her husband's demand. As a result, although these five types of marital relationships conceive diverse conflicts respectively, these conflicts are found to be eliminated or soothed through various adjusting mechanisms. Marital relationships still keep a patriarchal structure as a whole. Every couple member lends to be adjusted to this structure, and it appears to be characteristic that the degree of female adjusting is higher than that of male. The couple's conflict is found to come mainly from confusion of the value system. The confusion of modern egalitarian role-concept with conventional authoritarian role-concept causes spouse's expectation to each other discrepant, and the authoritarian consciousness, which requires a ceratin distance between family members, appears to be the main cause of driving the marital relationship into a conflict by constraining the intimacy of a couple. These findings lead to the discussion on the entity of the stability of Korean marital relationship. The stability is an effect influenced by other conditions rather than the marital satisfaction itself. Korean couples maintain the marital view considering the stability as the utmost value associated with the Korean cultural setting which supports the collectivist familism, and unequal role-alternative in terms of economic independence extremely minimizes the possibility of marital dissolution so that marital relationship is maintained in the state of very high degree of mutual discontent. Besides, Korean couples develop inner adjusting mechanism in order to keep stability under the situation of conflict. In this study, this adjusting mechanism is identified with inner conditions providing the stability of Korean marital relationship: instrumentalization of sex and children, dramatic techniques are categorized and analysed as the inner conditions. In the light of these observations, the stability of Korean marital relationship can be defined as a superficial one which is supported with seeking substitute content from children and sex life in the state of giving up frank communications rather than personal satisfaction between couple members. Illuminating the type of mutual satisfaction couple, resulting from the adjusting of wife to husband in a patriarchal form in spite of the bilateral satisfaction from both members of the couple, it is implied that there are a lot of impeding factors in the reality of Korean marital relationship against forming personal relationship based on equality. In an industrial society oriented toward democratic one, family should be an authentic intimate group controlled by the democratic principles, and therefore Korean marital relationship should be changed for its internal qualitative enhancement as well as the transformation of external coersive factors against i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 1 B. 연구 의의 및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7 Ⅲ.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14 A. 연구 대상 = 14 B. 연구 방법 및 과정 = 15 Ⅳ. 한국 증산층 부부 관계의 갈등유형 = 19 A. 갈등 양상에 따른 부부관계의 유형화 = 20 1. 아내 갈등형 (A형) = 20 2. 남편 갈등형 (B형) = 27 3. 상호 갈등형(1) (C형) = 32 4. 상호 갈등형(2) (D형) = 40 5. 상호 만족형 (E형) = 47 B. 갈등유형의 분석결과 및 해석 = 50 Ⅴ. 한국 부부관계의 안정성의 근거 = 57 A. 외적조건 = 57 1. 전통적 결혼관 = 57 2. 역할 대안의 불평등 = 60 B. 내적조건 = 62 1. 성의 도구화 = 62 2. 자녀의 도구화 = 65 3. 연극적 테크닉 = 67 Ⅳ. 결론 및 제언 = 69 참고문헌 = 73 ABSTRACT = 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59225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한국-
dc.subject부부관계-
dc.subject갈등유형-
dc.subject안정성-
dc.subject.ddc300-
dc.title현대 한국 부부관계의 갈등유형과 안정성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30대 도시중산층 부부의 심층면접을 토대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ONFLICT TYPES AND STABILITY IN THE CURRENT KOREAN MARITAL RELATIONSHIP-
dc.format.pageviii, 8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여성학과-
dc.date.awarded198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