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행-
dc.contributor.author朴永淑-
dc.creator朴永淑-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6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6Z-
dc.date.issued1983-
dc.identifier.otherOAK-00000001463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51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4631-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how the poor manage to cope with their situation of poverty and to present some basic material on the subject, by way of examining their manner of adjustment in the urban social system, focusing mainly on economic aspect. Urban poverty in the Third World being a consequence of a social process totally different from that of western society, the urban poor experience multidimensional deprivation represented by low income and unstable living and marginalization process, which means exclusion from the mainstream of urban life. Chapter Ⅱ of this paper deals with recent theories on the Third World urban poverty from the marginality perspective and examines the literature on the manner of economic adjustment on the part of the urban poor, in both income earning and consumption patterns. In Chapter Ⅲ, we considered the way of income earning of the residents of the survey area, classifying it into self-employed trade and service, casual wage work, wage work, illegitimate way of income earning while the items and the scale of family budget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 of their mode of purchase are examined in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way of adjustment in their consumption. The manner of economic adjustment of the poor of the city center may be summerized as follows. Firstly, regarding to income earning, they are engaged in various jobs in marginal tertiary sector, including begging, prostitution, gambling which are considered to be socially illegitimate behaviors. Their jobs comprise of the informal sector of urban economy. Some of the poor combine two or three means of income earning at a time. To complement the shortage of family budget earned by the head of the family alone, almost all the members of the family work to raise their income. Female and child labour is frequently found in the domestic outwork, street trading or begging. Dispite the expensive living cost and poor living environment, they cluster around the city center because of the job availability near by. They purchase only a small amount of food everyday for one-day consumption. This is partly because there is little space or facility for storage. It is found that they purchase daily necessaties from near by shops within the area, which means higher price and poorer quality of the goods. In such a way they contribute to generate and to maintain small-scale trades within the area. As workers they have to submit disadvantages of the lack of cash, information and credit, but they must maintain the credit, if they want to break through this situation. In addition, the illegitimacy of their work adds the burden, having to pay simply to keep the work going on. This strategies of the poor of the city center to reduce expenditure apply to every part of living, food, education and medical costs, within only results, in turn, malnutrition, unhygenic living environment, low level of education. These serve as factors to perpetuate or even to worsen their poverty situation.;본 연구는 도심지 貧民이 도시의 사회체계 속에 적응하는 양식을 주로 經濟的 側面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봄으로써 하나의 貧困集團이 어떻게 그들이 빈곤상황에 대처해 나가는가를 이해하고 도심지 빈민층 연구에 대한 기초적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제 3세계의 도시빈곤은 서구사회의 그것과는 전혀 다른 사회적 과정의 결과로서, 都市貧民들은 都市社會體系로의 적응과정에서 低所得 과 不安定한 生活로 대표되는 多次元的인 박탈의 상황과 도시생활의 주류로부터 배제되는 주변화 과정을 경험하게 된다. 第2章에서는 제3세계 도시빈곤을 주변성의 관점에서 논의하고 있는 최근의 이론들을 정리하고, 도시빈민의 경제적 적응방식을 所得獲得과 消費生活에서의 적응방식으로 분류하여, 이에 관한 기존의 문헌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第3章에서는 조사대상지의 주거환경과 주민들의 일반적 특성을 개관하고, 소득획득방식을 自營商業 및 서비스, 임시고용노동, 상시고용노동, 비합법적 소득획득방식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또 소비생활에서의 적응방식은 가계지출 비목의 종류와 규모, 구매양식장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도심지 빈민의 경제적 적응방식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우선 所得獲得에 있어서 이들은 도시 중심부에서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주변적인 3次部門의 직업에 종사하고 있고, 특히 사회적으로 비합법적 행위로 간주되고 있는 구걸·매출·도박 등도 생계유지를 위한 수단으로 동원된다. 이런 일들은 대부분 도시경제의 비공식부문을 구성하는 것으로, 하나의 일에서 얻어지는 소득이 불충분할 경우에는 2~3개의 소득획득방식을 취한다. 또 家口主의 수입만으로 생계비가 부족하면, 이를 보충하기 위해서 가능한 모든 가구원이 일한다. 女性勞動과 어린이勞動은 家內副業·行商·껌팔이·구걸 등에 종종 이용된다. 이들은 消費面에 있어서 비싼 주거비와 저수준의 주거환경에도 불구하고, 항상 도시중심부에서 일자리를 구할 수 있는 利點 때문에 이곳에 밀집해서 거주하고 있다. 방이 좁고 설비가 부족하므로 음식물을 저장할 수 없어 그날 먹을 것만 조금씩 산다. 생활에 필요한 물건은 주로 지역내의 가게에서 구매하는데, 이런 소비패턴은 造惡한 물건을 더 비싸게 사게 하고 빈민지역내의 小規模商業의 생성과 유지에 기여한다. 이들은 저소득과 빈곤상황에서 오는 現金·情報·信用의 부족으로 인한 不利益을 감수해야 하는데, 이를 타개하기 위해서 신용의 유지는 꼭 필요한 것이다. 또 이들이 하는 일의 不法性은 일 자체를 유지하기 위한 지출의 부담을 주게 된다. 또 이들이 하는 일의 불법성은 일 자체를 유지하기 위한 지출의 부담을 주게 된다. 도심지빈민이 지출을 축소시키기 위해 채용하는 위와 같은 戰略은 주거비·음식물비·교육비·의료비 등 생활의 모든 부분에 적용되나, 이러한 전략들은 오히려 영양실조·비위생적 생활환경·낮은 교육수준 등을 낳게 함으로써 그들의 빈곤상황을 악화시키거나 영속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論文槪要 = ⅵ Ⅰ. 序論 = 1 A. 硏究와 目的과 趣旨 = 1 B. 硏究方法 = 4 Ⅱ. 理論的 考察 = 6 A. 都市貧困과 주변성(marginality)에 관한 논의 = 6 B. 都市貧民의 經濟的 適應方式에 대한 논의 = 11 1. 所得을 얻기 위한 適應方式 = 11 2. 消費生活에서의 適應方植 = 15 Ⅲ. 조사결과 = 21 A. 調査 對象地 槪觀 = 21 1. 住居環境 = 21 2. 住民의 一般的 特性 = 23 B. 所得을 얻기 위한 適應方式 = 27 1. 영세자영상업 및 서비스를 통한 소득획득방식 = 28 2. 임시 고용을 통한 소득획득 방식 = 36 3. 상시 고용을 통한 소득획득방식 = 38 4 . 非合法的 所得獲得 方式 = 39 C. 消費生活에서의 適應方式 = 42 1. 家計支出의 비목과 규모 = 42 2. 구매 양식의 특성 = 45 Ⅳ. 結論 = 49 參考文獻 = 53 부록 = 56 ABSTRACT = 6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6869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도심지 빈민-
dc.subject경제-
dc.subject적응방식-
dc.subjectECONOMIC ADJUSTMENT-
dc.subject.ddc300-
dc.title都心地 貧民의 經濟的 適應方式에 대한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서울 남대문로 5가동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ECONOMIC ADJUSTMENT OF THE INNER-CITY POOR IN KOREA-
dc.creator.othernamePark, Young Sook-
dc.format.pagevii, 6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학과-
dc.date.awarded198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