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
dc.contributor.author김정희-
dc.creator김정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5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5Z-
dc.date.issued198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461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50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4619-
dc.description.abstractThis thesis is to understand the process by which patriarchy has been established to control women and men in human history by analyzing given anthropological reports on band and horiculture societies. A prolific literature exists concerning the origins and functions of the institutionalization of sex-role differences. However, persistent problems and sharply divergent views remain. This study attempts to relate this problem to the production and reproduction mechanism in early societies. The recent contribution from economic anthropologists such as Meillassoux is specially helpful to develop theoretical framework to understand asymmetrical relation between man and woman in early societies. For this purpose I first discussed the feministic perspectives as methodology and the relevancy of research on early societies to deal with patriarchy. In chapter Ⅲ, I exmined male-biased interpretation of human evolution and pointed out the sex differentiation in biological human development. In chapter Ⅳ and Ⅴ, I reviewed theories on sex-equality and sex-inequality in pre-class societies and dealt with the development of patriarchy in terms of production and reproduction. The results of these literatural reviews on early societies can be summerized as followings: In band societies, even though its widely accepted idea of equality among people, the idealogy to despise women, women's role compared with men's role seems to be quite common. I related this idealogical asymmetrics to marriage system and suggested that the social value imposed on men's role comes out from their social network formed through marriage and their products distribution, meat. Women seem to take relatively lower social position because of their limited distribution of products, gatherings and marriage arrangement by their father. In that sense, I pointed out the beginning of patriarchy in these earliest stage of human society. In horticulture societies, I speciall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frequent wars among men and difficulty of reproduction, Wars seem to be broken out because of land dispute and enforced to form warrior group within communities. Through this warrior group, men seem to develop 'organizational' ability and strengthen social ties to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this war also cause abduction of women so that women should be protected. Eventually men developed marriage alliance to exchange women to acquire allied forces and to overcome frequent difficulties of reproduction in small domestic communities. Through this process of alling men's organization, men protect women, control lands and women's labor, and reproduction by marriage alliance. In due course, women have lost control of their own labors and products. I pointed out this women's subjection to men in this horticultural societies is due to the individualities of women's work and role usually limited within household, so that women failed to form group by themselves to gain its influence in their society. They are left to be controlled by men in their work and marriage. This men-organization and marriage alliance system also contribute to the alimentary structure of kinship, the hierarchy among men. Therefore, organization of warrior group and formation of kinship affect the subjectivity of women and the hierarchical relation among men. In sum, the core of relation of production is the relation which men appropriate women's products-subsistence goods and surplus-by owning women on the basis of matrimonial relation and men's collective land ownership. And the core of relation of reproduction is the relation which men appropriate the reproduced goods by women- child and cooking food- on the basis of matrimonial relation. Development of patriarchy is the process by which women have lost control of their production and reroduction.;본고는 가부장제가 발생하여 제도적으로 정착해 가는 과정에 관한 연구, 즉 가부장제의 성립과정에 관한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는 이제까지 여성의 삶이 기술되지 않았던 ( 남성의 )역사 ( his-story )에 여성의 삶을 위치지우고자 하는 여성사 연구의 출발점이라는 데, 그 의의를 갖는다. 본고는 Ⅰ. 머리말, Ⅱ.방법론적 문제, Ⅲ. 원인에서 인간으로의 진화과정, Ⅳ. 무계급사회 성평등론, Ⅴ.무계급사회 성불평등 발생론, Ⅵ.맺는말로 구성되었다. 본래 필자가 의도한 주 연구 주제는 Ⅳ장과 Ⅴ장에 해당되는 가부장제 성립과정이고, Ⅱ장과 Ⅲ장은 Ⅳ장과 Ⅴ자연구이의 전초작업으로 기획되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는 다루어진 비중에 있어서 Ⅱ, Ⅳ장은 뒤의 두장과 더불어 본고의 본론을 구성한다. 그리고, 각 장의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Ⅱ. A. 방법론”에서는 본고의 분석의 출발점이 되는 여성학적 관점을 정리하였다. “Ⅱ. B.. 무계급사회 대표성”에서는 현대의 무계급사회 연구를 바탕으로, 초기 가부장제의 성립과정을 논하는 것이 원칙적으로 가능하다고 보는 견해를 본고의 방법론적 입장으로 수용함을 밝혔다. Ⅳ장과 Ⅴ장은 “ Ⅱ. A.방법론”에서 정리된 여성학적 관점에 입각하여 엥겔스( F.Engels ), 리콕( E.B. Leacock), 삭스( K.Sacks), 콜리어( Jane. F.Collier )와 로잘도( M.Z.Rosaldo ), 메이야수( C.Meillass-oux )등의 연구에 대한 검코로 이루어졌다. 결론에서는 이상의 논의를 요약하고, 종합하여 무계급사회의 구조 도식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 도식은 종래의 무계급사회의 대한 분석 관점들에서 어떤 영향을 받았으며 그 관점들과는 어떻게 구분되는가를 정리하였다. 본고의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수렵채집 사회에서는 실제적인 통제력을 갖지는 못했지만 사냥과 사냥물 분배의 단체 사회성에 입각하는 남성유대에 입각하여 여성비하 · 남성우월의 이데올로기와 남성유대의 상징으로서의 강간이 증후적으로 등장하고 남성의 사냥에만 사회적 가치가 주어지는 가부장제의 실마리가 엿보이고 있다. 영토전쟁이 빈발한 상황에 놓인 초기 정착기내지 원초 농경기에서는 영토의 방어와 획득을 위한 남성 전사집단이 형성되었다. 이 전사집단의 조직력과 유대를 바탕으로 전쟁동맹자를 얻고 소규모 공동체에서의 잦은 인구 재생산 위기를 극복하는 전략으로 남성은 여성을 교환하는 혼인동맹을 발전시켰다. 이 조직력과 유대는 농경의 시작과 더불어 남성이 여성의 생산·재생산 노동을 통제하는 제도를 수립하는 기반이 되었다. 혼인동맹이 성립된 이후, 생산력 발전에 따라 변화해 가는 혼인양식은 남성들간의 위계관계를 심화시키면서 여성종속을 체계화시키고 강화해 가는 원시농경 생산양식의 토대가 된다. 이렇게 하여 성립된 생산관계와 재생산관계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가장 핵심적인 생산관계는 혼인관계와 남성간의 집단적 토지 소유를 기초로 남성이 생산자로서의 여성을 소유함으로써 여성의 생산물 - 생활수단과 잉여-을 전유하는 관계이다. 가장 핵심적인 재생산관계는 혼인관계를 기초로 남성이 재생산자로서의 여성을 소유함으로써 여성의 재생산 노동의 생산물 - 자식과 요리-을 전유하는 관계이다. 연장자와 연소자간의 부인을 여러명 가진 남성의 한명도 갖지 못하는 남성간의 위계적 생산관계와 재생산관계는 위의 두 핵심적인 생산관계와 재생산관계에서 파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부계 원시농경사회의 가부장제는 위계관계를 형성하며 집단적으로 토지를 소유하는 남성이 여성집단의 노동생산물을 전유하는 생산관계와 재생산관계를 토대로 여성을 지배하는 체제라고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지배는 성성( 혹은 성본능 )에 대한 통제와 가부장제 이데올로기를 매개로 하고 원초적 매춘도 발생시킬 수 있다. 한마디로 가부장제의 발전은 여성이 자신의 생산과 재생산에 대한 주체적 통제를 상실해 가는 과정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 의의 및 연구 배경 = 1 B. 논문 구성 = 3 Ⅱ. 방법론적 문제 = 6 A. 여성학적 관점 = 6 B. 현대 무계급사회의 대표성 = 16 Ⅲ. 원인(Hominid)에서 인간으로의 진화 = 21 Ⅳ. 무계급사회평등론 = 29 Ⅴ. 무계급사회 성불평등 발생론 = 40 A. 가부장제 발생 이전의 사회 = 40 B. 성불평등 발생의 실마리 : 수렴채집사회 = 47 C. 가부장제의 초기 확립 과정 : 원시농경 사회 = 63 Ⅵ. 결론 = 96 참고문헌 = 102 ABSTRACT = 10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85330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가부장제-
dc.subject성립과정-
dc.subject성불평등-
dc.subject무계급사회-
dc.subject.ddc300-
dc.title가부장제 성립과정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무계급사회의 성불평등 발생에 관하여-
dc.title.translated(The) Emergence of Patriarchy : from Feministic Perspectives-
dc.format.pagevii, 11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여성학과-
dc.date.awarded198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