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형-
dc.contributor.author김미래-
dc.creator김미래-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3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3Z-
dc.date.issued198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403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48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4039-
dc.description.abstractA growing need for the adequate education of the general public is ever more evident in View of the fact that the modern society is in need of properly educated professionals and their credentioals including qualification certificates. However it is still uncertain whether the education has been effective in reducing social inequalities by cultivating individuals capabilities and by helping in social class transitions. One study by prof. Hong Du-Seung shows that education in our country has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the class transition. Other studies which have been conducted recently also show that there have been conducted recently also show that there have been some elements in educational process which yield unequal opportunities for children with different family class origins. In this study, we hope to investigate in detail the values and behaviors of teachers towards students with different socio-economic backgrownds. We derived questionaires and distributed then among 362 middle school teachers in Seou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answered questionaires are as follows 1. Communication in teaching and learning in high standing, students in low standing not having much opportunities in the class education process. Teachers generally set standards of difficulty of materials between middle to middle-high level students. Low level students are thus deprived of the opportunities for the betterment of their academic capabilities. 2. It has been found that teachers generally tend to regard high-level students as well-looking, as being well-off, as having parents with better education and with better relationship with teachers. Meanwhile they tend to regard low level students in the opposite direction as above. 3. Response of the teachers to the qestionairs also indicate that they think only parents with better education and high socio-economic status are willing to movide informations concerning after-school educational matters and to communicate and confer with teachers about the education of their children. Teachers then seemto take particular interest in those students whose parents have provided informations and expressed concerne. Teachers feel strong sympathy toward low level students (92%) but 70% of the teachers who feel that way do not seem to take special care of those students. 4. Educational values taught by teachers are diligence honesty and democratic altitudes. Creationity and Criticism are not regarded as highly. However when teachers address to the students in class about moral aspects, they also put emphasis on the inprovement of their class standings as well as moral values in contradiction to what they believe in their minds. 5. Teachers tend to think that vocational education is insufficent in our country. But they also think that classes can be divided according to students levels in order to provide proper education to the proper level students. Overall, inequal treatments are evident in the educational methods of middle school teachers of Korea.;교육은 사회학적으르 보면 개개인이 대하여 직업적 훈련, 사회이동, 사회적 기대에 대해 제한적 기능과 통로의 기능을 하고 있다. 또한 현대사회에서는 새로운 고도기술 직업이 늘어나고 있을 뿐 아니라 모든 분야에서 학력 기준이 높아지고 있으며 전문가 사회, 자격증 사회로 향하고 있음이 일반적 추세이다. 이러한 교육에 대한 요구, 민주사상의 보편화 등에 기초하여 현대는 대중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개방교육, 대중교육이 능력배양과 사회이동을 통하여 사회적 불평등을 해소 내지 합리화시키는데 어느 만큼 효과를 발휘해 왔느냐 하는 점은 아직도 문제시되고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부모의 사회 경제적 수준이 낮은 학생은 평등한 교육기회를 갖지 못하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는데 학교가 학생들에게 탈출과 사회이동의 길을 열어주는 대신에 외부지위구조의 대행인이 되어 학생들을 '분수에 맞는 자리'로 이끌고 있다는 주장이 있다. 이러한 교육의 질적인 차원의 문제는 교육수준의 양적 상승과 교육인구의 양적 증대보다 더욱 중요한 사회학적 연구과제라 본다. 이와 같은 취지하에 본 논문은 사회계층, 사회이동과 교육의 관계를 이론적으로 간략히 고찰한 후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교사의 교육 방식에 나타나는 차등적 처치를 조사 연구하였는바 결과 분석은 다음과 같다. 1. 학습지도에서 가. 교수-학습과정에서 이루어지는 Communication(질문-지명-응답)이 학력 상위층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하위층은 별로 참여하지 못하고 있고 나. 교사는 수업진행의 기준을 중위층 또는 중상위층에 맞추어 진행하기 때문에 하위층 학생의 지적성장에 별로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다. 교사는 학력 상위층 학생에게 더 친근감을 느끼고 있으며 이러한 학력상위층은 대개 사회계층상에서 상위를 차지하는 가정의 학생들이 많다. 라. 따라서 상위층에 대하여서는 칭찬과 인정감을 주고 있지만 하위층에게는 실질적인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마. 많은 교사들이 상하위층의 학생들에게 대등하게 대하고 있지만 16.5%의 교사는 상위자에게는 긍정적 태도로 임차고 있으면서도 하위층에게는 부정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 2. 생활지도에서 가. 가정에서 교사에게 접근하여 교육적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대개 상위사회 계층이고 하위사회 계층의 가정에서는 교사에게 정보제공을 하지 못하고 있고 교사는 이러한 정보제공을 받은 학생에게 관심이 있다고 응답하고 있다. 나. 하위층 학생에게 교사는 연민의 정을 느끼고 있지만 실제적인 교육적 처치는 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3 . 교사의 가치 기준에서 가. 교사는 의식면에서는 학생의 정의적 영역의 성장을 바라고 있지만 실제 중점을 두는 것은 지적 성장이다. 나. 따라서 교사의 의식과 교사의 실제교육에 모순이 있다. 4 . 교육 Program에서 가. 학교 교육Program에서 우수자에 대한 수일성 (秀逸性)을 기르는 Program은 별로 없고 하위층을 기르는 Program도 별로 없어 범용자를 기르는 인상이 짙다. 나. 직업준비교육이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거나 매우 부족한 형편이다. 위와 같은 설문지 조사 결과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1 . 교육이 사회계층상승의 수단으로서 교육열이 팽배해 있지만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교육내용이나 방법에서 계층이동을 이루게 할만한 만족스러운 결과를 기대하기가 어렵다. 2 . 현재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은 교육의 수일성과 평등성의 양면에서 볼 때 그 어느 쪽도 이룰 수 없는 중간지대에 위치하고 있으며 교사는 양자를 모두 이루려고 하고는 있으나 결과에 대하여는 회의적이다. 3. 교사의 상위층(성적상위와 사회계층의 상위는 거의 같이 쓰임)에 대한 관심도는 하위층의 그것보다 좀 더 높으며 학부모가 교사에 작용하는 것도 대부분 상위층이다. 4 . 교사의 성향을 보면 20대와 30대와 40대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대조를 이루고 있다. 즉 40대는 좀 더 하위층 지향적이고 칭찬을 많이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B. 연구의 방법 및 절차 = 4 Ⅱ. 이론 및 기존연구 검토 = 9 A. 사회계층, 사회이동과 교육 = 9 1. 사회계층과 교육 = 9 2. 사회 이동과 교육 = 17 B. 선행 연구검토 = 20 Ⅲ. 결과의 분석 = 26 A. 학습지도에서의 차등적 처치 = 26 1. 질문에 대한 지명 = 26 2. 수업에서의 질문수준 = 29 3. 능력차에 따른 교사의 관심 = 31 4. 성적상위자에 대한 조치 = 34 5. 성적부진자에 대한 조치 = 36 B. 생활지도에서의 차동적처지 = 41 1. 교사에게 영향을 미치는 사회계층 = 41 2. 교사의 관심의 표시 = 45 3. 학급 H.R임원의 선정요건 = 46 4. 교사의 하위계층에 대한 배려 = 47 5. 상.하위층에 대한 교사의 관심 = 49 6. 성적 상·하위자를 대하는 교사의 태도 = 51 C. 교사의 가치관 = 52 1. 교사가 추구하는 교육의 가치 = 52 2. 교육적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교사의 방법 = 54 3. 훈화에서 강조하는 내용 = 55 4. 각종 인간형에 대한 교사의 반응 = 57 D. 교육 Program에서의 차등적처치 = 60 1. 우수자의 수일성개발을 위한 교육적 조치 = 60 2. 영재교육프로그램의 실시가능성 = 62 3. 직업준비교육 = 63 E. 학교행사 = 64 Ⅳ. 요약 및 논의 = 66 참고문헌 = 72 교육연구 설문지 = 75 영문초록 = 8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1526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중학교-
dc.subject교사-
dc.subject교육방식-
dc.subject차등적 처치-
dc.subject.ddc300-
dc.title중학교 교사의 교육방식에 나타나는 차등적 처치-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Unequal Treatments Appearing in the Educational Methods of Korean Middle School Teachers-
dc.creator.othernameKim, Mi Rae-
dc.format.pagex, 8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학과-
dc.date.awarded198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