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金東一-
dc.contributor.author김은하-
dc.creator김은하-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0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0Z-
dc.date.issued198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493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46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4934-
dc.description.abstractIn explaining the peasantry differentiation process, most existing theoretical models tend to focus on the endogenous factors or rarely, on the exogenous factors of the agricultural sector. However, little study has mentioned another variable, "the rural migration to urban areas" in postulating the process of peasantry differentiation. The phenomena of rural-urban migration has traditionally been regarded as a major factor measuring the degree of distortion in the peasantry differentiation. Thus, the variable "migration" can be an indispensable factor contributing to the transformating process of peasantry. In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Korean peasantry differentiation process over the period of industrialization, 1965-1986, employing the new theoretical postulation. As for the collection of data for this study, two natural village were selected from a rural area where is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Kwanchung Ri, Dansung-Myun, Kyungsang-namdo province. The author herself, as participant observer, has lived over the forty days (December '85- April '86) in the agricultural village, and gathered the related documents while meeting the major leading figures of the village. Several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ammarized as follows: To begin with, the pattern of peasantry diffentiation revealed two distinctive types following the chronological time order. For the period of 1965-1975, the peasant housholds that experienced the upward mobility, in generic sence, occupied the far larger proportion than those of downward mobility did, except the rich peasants. (as for the upper-level peasants, the reverse was true, i.e. they experienced far more frequent downward mobility than the vice versa.) In case of the family-based migration over the same period, it was possible because of the expansion of farming land, which can be attributed to the inflation and to the increase of money-lending as well. At the same time, increment of reproduction costs and its side-effects were responsible for the occurrence of ' individual-based migration. On the other hand, peasant differentiation process over the 1975-1986 period showed quite different pattern. It was characterized by the increase of the upper-level peasants and that of middle peasants, and also decrease of lower-level peasants as well. Some peasants could be rich by either means of the implementation of various kind of cash-crop or the purchase of farming land. However, it should be pointed out that the disadvantageous profitability of farming has played a role as a major push-factor promoting the migration to urban-industrial sector. As a result of family-based migration coming from the middle peasant housholds has become widely popular. And also, the increase of returning housholds from the urban areas was quite noticed. In both terms of family-based migration and individual-based migration, they revealed the identical pattern that was concluded in the 1965-1975 period. It implies that migration tends to deter the peasantry differeentiation. In other words it was and is less likely that peasantry differentiation would take place, unless any unexpected change would come accross in Kwanchung-Ri, In conclusion, as a full-blown explanation of the peasantry differentiation, the endogenous variables of agriculture themselves can not be a sufficient factor. It means that the existing theoretical postulations need to be revised enough to include the new variable "migration". Without clarifying the course of extraction of surplus value from agricultural sector to urban-industrial sector, the peasantry differentiation can not be explained sufficiently. Therefore, proceeding studies must clarify the mechanism which the urban- industrial sector dominates the rural-agricultural sector.;본 논문의 목적은 본격적인 산업화가 시작된 1960년대이후 한국의 농민층분해 양상을 농업내외의 제조건 변화와 특히 이제까지 농민층분해론에서 소홀히 취급되어온 이농현상을 연결시켜 규명하려는 데 있다. 특별히 이농을 주목하는 이유는 이농이 농민층분해의 왜곡을 측정하는 지표가 되며, 다른 제조건들과 더불어 농민충분해양상을 변화시키는 하나의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의 자료는 농업을 전업으로 하는 한 마을을 대상으로 수집되었다. 조사대상지역은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관정리에 속해 있는 두 자연부락이다. 조사지역의 농민층분해양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965 - 1975년의 농민층분해양상은 부농을 제외하면 계층상승농가가 계층하락농가보다 크게 나타났다. 모든 계층에서 계층상승요인은 인플레와 사채를 통한 토지증식이며 빈농에 있어서는 전가구이동 농가들이 처분한 토지의 인수이다. 이 시기의 미혼단신이동은 부농 일부에서는 재생산비용의 증가를, 빈농에서는 재생산비용의 절감 및 보조효과를 가져와 상승분해, 하강분해 모두가 저지되고 있다. 1975 - 1986년의 농민층분해양상은 부농층과 중농층의 급증, 빈농층의 감소, 농업노동자층의 소멸로 나타난다. 부농으로의 상승요인은 농업수입이 아닌 상업등의 겸업수입을 통한 재산증식과 토지구매이다. 또한, 상업적 작물을 재배함으로써 일부 빈농들이 중농으로 상승하였다. 농업채산성의 계속적인 악화는 이농을 급증시켰는데, 이 시기에 주목할 만한 현상은 최근 1∼2년 동안에 두드러진 중농가구의 전가구이동과 이농후 귀환하는 농가가 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현상은 농민층분해가 단지 농업내부의 생산력 격차에 의해서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며, 이농을 단지 하강분해, 탈농으로만 간주할 수 없음을 시사해 준다. 부농층은 전가구이동한 친척의 토지를 소작으로 인수하므로써 경영압박을 받는 반면, 빈농층의 경우는 토지구매 및 소작지의 인수로 계층상승하거나 온존한다. 미혼자녀들의 단신이동의 경우 이전 시기보다 그 계층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는데 그 효과는 이전시기에서와 다름 없다. 이농에 의한 노동력부족 현상은 일꾼 고용에 의한 부농경영을 어렵게 만든다. 또한 일손부족으로 지주 - 소작관계는 예전과 비교할 때 소작인에게 상대적으로 유리한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 결국 조사지역의 경우 농민층분해는 저지되고 있다. 또한 농민층분해양상을 변화시키는 동력이 농업내부가 아닌 농업외부에 존재함을 볼 수 있다. 즉, 지난 20여년간 계속된 도시자본제분문의 농업지배로 인한 농업의 채산성악화가 농민층분해를 규정하는 요인이 되고있다. 그리고 이러한 맥락에서 발생하는 이농은 다시 농민층분해를 저지시키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의 전망 역시, 획기적인 변화가 없는 한, 농업에서의 자본·임노동관계의 출현, 즉 농민층분해는 기대하기 어렵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이러한 사례조사의 결과를 한국 농촌전체에 일반화시킬 수는 없겠지만, 적어도 다음과 같은 시사를 주고 있다. 즉 지금까지 농업내부적 요인에만 주목해 온 농민층분해론의 시각에 수정을 요한다. 농민층분해가 농민이 생산한 잉여를 누가 전유하느냐를 밝힘으로써 분명해지는 과정임을 상기한다면, 앞으로의 연구는 농업에서 생산된 잉여가 도시로 흡수되는 메카니즘을 밝히는 작업이어야 한다. 이러한 연구들의 성과가 선행되어야만 농민층분해에 관한 연구들도 새롭게 전개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Ⅰ. 서론 = 1 A. 문제의 제기 = 1 B. 연구범위 = 11 C. 조사과정 및 방법 = 12 Ⅱ. 조사지역의 일반적 배경 = 17 A. 지리적 위치 = 17 B. 역사적 배경 = 19 C. 사회적 관계 = 21 D. 인구 = 24 E. 경제적 배경 = 26 Ⅲ. 시기별 농민층분해양상 = 31 A. 농가계층의 구분기준 = 31 B. 시기구분 = 33 C. 전(全)시기의 농민층분해양상 = 35 D. 1965~1975년의 이농과 농민층분해 양상 = 37 E. 1975~1986년의 이농과 농민층분해 양상 = 46 Ⅳ. 결론 및 요약 = 69 참고문헌 = 73 ABSTRACT =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3242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한국-
dc.subject농민층분해-
dc.subject60년대-
dc.subject사례연구-
dc.subject.ddc300-
dc.title60년대 이후 한국의 농민층분해에 관한 사례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PEASANTRY DIFFENTIATION IN A KOREAN RURAL VILLAGE-
dc.creator.othernameKim, Eun Ha-
dc.format.pagevii, 8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학과-
dc.date.awarded198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