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5 Download: 0

해외건설취업이 참여자의 사회이동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Title
해외건설취업이 참여자의 사회이동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OVERSEAS CONSTRUCTION WORKERS : With Special Reference to Social Mobility
Authors
이재순
Issue Date
1984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Keywords
해외건설취업사회이동사회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趙馨
Abstract
본 논문은 '해외 건설 취업자들의 취업 전후의 이동양상을 통하여 한국사회의 성장-반주변화-과정 속에서 야기되는 사회 불평등 구조 변동의 한 단면을 파악할 수 있으리라는 전제하에 해외취업자의 성격 및 취업을 전후한 사회이동 과정을 살펴본 것이다. 임의적인 표본 추출 방법을 통하여 추출된 1회 이상의 해외 취업 경험자 172명을 대상으로 한 질문지 면접조사 결과와 심층면접을 통해 수집된 소수의 사례들을 중심으로 해외 취업자의 집단별 특성, 취업동기 및 취업전후의 계급이동과 경제적 지위 이동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해외 취업자는 취업시 조직에서 차지하는 위치에 따라 관리직과 기능직의 두가지 이질적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이들의 사회, 경제적 배경이나 취업동기, 그리고 해외취업이 이들에 미치는 효과도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해외 취업을 계기로 경험하게 되는 이동의 양상은 계급이동과 경제적지위 이동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먼저 계급이동은 관리직으로 취업하는 신중간계급의 경우에는 계급지위의 유지 현상을 보였으며, 기능직으로 취업하는 근로계급, 쁘띠브르조아지, 주변계급의 경우에는 취업을 계기로 주변계급으로 수렴하는 경향을 보여 하강이동이 지배적임을 드러내었다. 결국 전체적으로 취업 후의 계급 분포는 취업 이전에 비하여 비공식 부문, 특히 주변계급이 크게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취업을 계기로 모든 참여집단의 경제적 지위는 어느 정도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경제적 혜택이 관리직과 기능직 사이에 불균형적으로 분배됨으로써 취업 이전에 비하여 두 집단 간의 경제적 격차는 심화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상의 결과들은 한국 사회의 지위변화-반주변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해외 건설업에서 조차도 불평등 구조에 미치는 효과는 결코 긍정적이지 못함을 말해 주는 것으로, 따라서 한국사회의 성장과정은 불평등 구조의 개선을 의미하지는 않으리라는 예상을 할 수 있다.;Overseas operations of Korean construction business since the 1970's are known to have exerted significant contribution to Korean economy, by inducing extra added value to GNP, lowering the level of unemployment and by opening up the opportunity to export technology and capital abroad, i . e . semi-peripheralization. However, there has been less concern with the participants in such operations: who they are, how they are affected, and so on. This study deals with the socio-economic backgrounds of the over-seas construction workers and the social mobility they experience after they return. The social mobility they experience may not drastically change the structure of inequality, but it may reveal a pattern of the change in the process of semi-peripheralization. The data used here were collected in March, 1984,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with 172 returnees and a few case studies. The participants in the overseas conytruction operations are divided into two distinctive groups, managers and laborers. They are also distinctive in their socio-economic background, motivation and the pattern of mobility. The result of the analysis focused upon class mobility and the change in economic statu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managers who originated from middle class remain in the middle class position, while most of the laborers who were from working class, petite bourgeoisie and marginal class experience horizontal or downward mobility, mostly converging into the marginal class. Despite the higher income these lower class people gained during the over-seas employment, this hardly provides them the opportunity to become petite bourgeoisie, Nevertheless, the economic status of most of the returnees has improved, although the economic gains are not equally distributed, and the gap between the two groups tends to be widened. A preliminary conclusion can be drawn from these findings: although the overseas construction operation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of Korean economic growth, it has not resulted in the upward mobility of the participa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