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南京熙-
dc.contributor.author崔順玉-
dc.creator崔順玉-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6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6Z-
dc.date.issued198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435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41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4358-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에서는 플라톤의 후기 대화록「테아이테토스」편과 「소피스트」편을 증심으로 하여 허위가능성에 관한 논의를 다루려고 한다. 그리하여 필자는 「테아이테토스」편에서 제기된 "허위는 가능한가?"라는 물음에 대해 「소피스트」편에서 "허위명제는 있다"라는 긍정적인 답을 얻게 되는 과정을 분석적이며 비판적으로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런데 「테아이테토스」편에서 문제제기는 되었지만, 허위가 있음을 설명해내지는 못한다. 허위를 설명하기 위해 플라톤이 가정한 판단의 다섯 가지 모델들은 모두 실패하고 마는 것이다. rm 이유는 플라톤자신이 갖고 있는 몇가지 전제로부터 기인하다. 즉, 그는 인식대상을 원자적 대상으로 제한했으며, 그 대상에 대한 인식방법을 직접지로 여겼기 때문이고, 더 나아가 비존재를 절대無로 여겼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실패원인에 입각하여 그 후속 대화록인 「소피스트」편에서 그는 허위설명을 위해 전과는 다른 방식으로 논의를 전개한다. 그는 우선 절대無로서의 비존재를 "다름"이라는 의미를 갖고서 존재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그럼으로써 비존재도 어떤 의미에서 존재한다는 것이다. 다른 한편, 지식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답하기 위해 인식을 위한 기본조건을 규명한다. 그것은 각기 다른 기능을 하는 두 요소 주어와 술어의 결합형태인 λσγos이다. 이 λσγos는 존재하는 것에 대한 서술기능을 한다. 이처럼 λσγos란 주어와 술어가 결합한 복합형태이므로 "다름"이라는 의미로 존재하는 비존재도 또한 λo'γos의 한 구성요소가 될 수 있다. 그런데 λo'γos가 형성되기 위한 필요조건은 형상들의 결합가능성이다. 만일 결합가능한 형상들끼리 결합했다면 그것은 참명제이며 결합할 수 없는 형상들끼리 결합했다면 그 결합은 허위명제이다. 이처럼, 허위가 가능함을 보이려는 플라톤의 진의는 무엇민가? 첫째, 소피스트들은 항상 허위를 말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들은 항상 참을 말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플라톤은 그들이 허위를 말하고 있음을 밝히기 위해 허위존재 증명을 시도했다. 둘째, 허위의 탐구는 곧 지식의 탐구라는 전제 하에서 허위가능성을 설명코자 했다. 따라서 허위가능성 논의는 철학사적 의의를 지니는 동시에 객관적 지식의 정의에 대한 논의로 이어진다고 하겠다.;In this paper, I consider the process of the plato's argument for the possibility of false judgement in Theaetetus and sophist with an analytic and critical method. Plato proposed a problem "how can a falsity be" in Theaetetus, and answered "a false statement can be" in sophist. The problem of falsity is proposed in Theaetetus, but plato cannot slove the Problem there. All the Plato's five models of judgement supposed in order to explain the falsity have a failure, which ascribes to Plato's some premises. His premises are: the object of knowledge is a kind of atom, knowing method of the object is knowledge by aquaintance, and Not-Being is Nothing. Having noted these causes of failure, plato argues for the falsity in a different way in sophist. First of all, he interpreted Not-Being as Nothing in Theaetetus, but as Difference in Sophist. Accordingly, Not-being is seen to exist in a sense. Then, he asks for the basic condition for knowing in order to answer what a knowledge is. His answer is that it is a statement consisted of subject and predicate, which makes knowledge possible. This statement has a descriptive fuction about Being. And now, Not-Being as Difference can be an element of statement because the statement is a complex form composed of subject and predicate. A necessary condition for composition of statement is a combination power of Forms. Therefore, in case when the Forms have a combination power and are weaving together, they make a true statement. But in case when the Forms do not have a combination power and yet are weaving together, they become a false statement. What does Plato intend to show through this process of proving the falsity? First, he wants to argue against sophists who always insist that their statements must be true, because there are no false statements. So, plato intends to demonstrate the existence of falsity in order to prove the falsity of the sophists' statements. Second, Plato intends to explicate the falsity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study of falsity is the study of knowledge. Consequently, Plato's arguments for the possibility of falsity, despite certain shortcomings, seem to contribute to the history of philosophy with regard to its search for objective knowledg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Ⅱ. 「테아이테토스」편에서의 허위가능성에 관한 다섯 가지 모델 = 4 A. 안다와 모른다 = 4 B. 존재와 비존재 = 14 C. α’λλοδοξı´α = 18 D. 밀납( wax) 비유 = 24 E. 새장(aviary) 비유 = 33 F. 요약 = 40 Ⅲ. 「소피스트」편에서의 허위명제 가능성에 관한 논의 = 44 A. 비존재에 대한 새로운 해석 = 46 B. 형상들의 결합은 λο´γοs의 필요조건이다. = 52 C. λο´γοs의 본질 = 59 D. 허위명제의 구조 = 65 Ⅳ. 결론 = 71 참고문헌 = 74 ABSTRACT = 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1785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허위판단-
dc.subject플라톤-
dc.subjectTheaetetus-
dc.subjectSophist-
dc.subject.ddc100-
dc.title허위판단에 관한 플라톤의 논의-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Theaetetus」편과 「Sophist」편을 中心으로-
dc.title.translatedPlato on the Possibility of false judgement : In Theaetetus and Sophist-
dc.creator.othernameChoi, Soon Ok-
dc.format.pagev, 8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철학과-
dc.date.awarded198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