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나-
dc.contributor.author金賢珠-
dc.creator金賢珠-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5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5Z-
dc.date.issued1983-
dc.identifier.otherOAK-00000001400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40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4009-
dc.description.abstractThe significance of Jasper Johns' art can be found in his reintroduction of realistic imagery into the American painting, a deep-rooted American tradition until the Abstract Expressionism came into dominant art form in 1940's and 1950's. Yet, his expressionistic brush stroke on the surface of canvas still carries the characteristics of Abstract Expressionism. His art also serves as a prototype to the next art movement, Pop Art. Johns' theme focuses on the signs and enblems usually employing banal objects from our everyday life and he tries to pursue the problem of vision in relation to their use and function in our world. Our response of seeing banal objects in the art work usually let us to connect to their original function, and Johns pushes these objects to the alternative situation of either paralysis or the confirmation of their function. Johns treats the problem of vision consistently. Yet his way of approach the problem changes around 1959. Previous to 1959, his works were based on the "hiding" attitude of artist and the objects he selected ranged from flag, target, number, alphabet and etc,. In the first chapter, was studied the fact these were the objects that did not usually interest people and as soon as they were introduced in the work of art, their original identity became paralysed in the art setting. In the second chapter, hiding quality was replaced by "pointing" in which the objects on the canvas which were inactive became movable and the sign language made the work more profound. In the last chapter, the author tried to investigate his fundamental idea, with Abstract Expressionism in terms of the expression, with Dada in terms of his origin of idea. And finally he who refused to be an object commonly accepted identity tried to achieve the status of being art as object. With these process in this thesis, the problem of vision suggested by the work of Jasper Johns can be resulted in the coexistence of the world be seen and the world not be seen.;제스퍼 죤스는 事實主義의 경향이 짙은 美國 美術의, 傳統과, 抽象表現主義의 배경하에서, 두 경향을 연결한 獨創的 藝術世界를 구축하였고, 이는 곧 다가올 팝 아트의 原型을 제공해 주게 된다. 죤스는 일상 생활에서 흔히 보여지는 Sign과 기장등을 이용한 주제를 선택하면서 그의 작품을 외부 세계와의 관계하에, 인간의 視覺行爲와 관련시켰다. 그의 작품에서 世俗的 대상을 보는 행위의 문제는 대상의 機能面을 中心으로 접근되어, 죤스는 작품 내에 도입된 世俗的 주제나 오브제를 고유의 기능수행과 임비라는 상반되는 상황으로 몰아넣고, 새로운 눈으로 그 대상을 보도록 이끌어가고 있다. 죤스는 思想的인 면에서 인간의 視覺問題를 일관되게 탐구하는 가운데, 創作態度面에서 1959年에 전환기를 맞게 된다. 本論文은 59年을 그의 작품의 전환점으로 취하여, 제1장에서 隱蔽의 態度를 바탕으로 인간의 흥미를 끌지 않는 깃발, 과녁, 문자와 알파?各?이용한 주제와 예술의 배경에서 기능이 마비당한 일상 오브제를 다룬 작품을 연구하였다. 제2장에서는 이전의 隱蔽性이 指摘의 방식으로 逆轉되면서, 言語的 Sign이 개입되어 視覺問題를 심화시키고, 오브제의 기능 발휘에 의한 自治的 畵面을 구성하는 작품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앞의 作品中心의 연구에 이어 제3장은 그의 예술 세계를 표현 방법면에서는 추상표현주의와, 발상면에서는 다다와 관련짓고 있다. 이런 관련하에서, 고정된 焦點을 거부하고 자신과 분리된 오브제로서의 예술을 이루려는 그의 독창적 세계가 돋보이게 된다. 本論文의 이런 전개 과정을 통해 볼 때, 죤스가 제기한 視覺問題는 보이는 세계와 그 裏面世界의 共存으로 귀결된다고 할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論文槪要 = ⅶ Ⅰ. 序論 = 1 Ⅱ. 隱蔽의 時期 = 5 A. Sign을 이용한 주제 = 5 1. 깃발 = 8 2. 과녁 = 14 3. 숫자와 알파??= 20 B. 오브제의 不活性化 = 24 1. 오브제의 機能痲痺 = 24 2. 조각과 오브제 = 28 Ⅲ. 指摘의 時期 = 34 A. 회화적 事實과 언어적 虛構의 충돌 = 36 B. 自我 生成的 화면 = 44 Ⅳ. 제스퍼 죤스의 根本思想 = 57 A. 기존 미술 세계와의 관계 = 57 1. 죤스와 추상 표현주의 = 57 2. 죤스와 다다(Dada) = 60 B. 焦點의 의미 = 64 C. 오브제로서의 예술 = 66 Ⅴ. 結論 = 70 參考文獻 = 73 參考圖版 = 77 Abstract = 9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06608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제스퍼 존스-
dc.subjectJasper Johns-
dc.subject시각문제-
dc.title제스퍼 죤스(Jasper Johns)의 작품에서 提起된 視覺문제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Problem of Vision Suggested by the Work of Jasper John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198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