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임숙자-
dc.contributor.author이경연-
dc.creator이경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4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4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19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38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192-
dc.description.abstractThis paper aims to find out the “valued body conscious” of women in 26-35 age group, and their subsequent appearance management and their purchasing tendencies of luxury goods, as well as analyzing the elements of its relationships. We aim to provide materials for effective marketing and implementation by focusing on the women in 26-35 age group as they are the key factor in the industry. This paper has conducted the study on followings: First, we seek to find out the “valued body conscious” of women in 26-35 age group. Second, we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lued body conscious” and “appearance management” Last, we look for the effect of “valued body conscious” and “appearance management” on the purchasing of luxury goods. We have created survey that was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es on the subject and all in all, we have used total of 423 materials to reach the conclusion. For analysis of materials, we used SPSS WIN 14.0 statistics Package and conducted average,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OVA, x2-test, and regression analysis and executed Duncan’s Multiple Gange Test for post-factum analysis. For reliability test by domain, we derived Cronbach’s α value. Upon examining of material, we have come to following conclusion. First, the subject’s “valued body conscious” average was 3.34, and in group, for “high group, “the average was 4.03, consisting of 73 subjects (17.2%); for “low group,” the average was 2.88, consisting of 147 subjects (34.7%) and for “mid group,” it consisted of 203 subjects (47.8%). Looking at the population statistics, we have found that the households with high-income group, such as professionals in a management-level and other highly-skilled professions, and who have high percentage in terms of monthly wage, monthly spending money, seasonal cloth purchasing, and high average spending on “appearance management,” and who reside in Gangnam area, as opposed to Gangbuk area, have high awareness of “valued body conscious.” Second, concerning the level of “appearance management,” we have separated into “cloth image” level and “body image” level. We have found that the subject put more weight on the “cloth image” than the “body image.” From the population statistics, we have found that the households with high-income group, such as professionals in a management-level and other highly-skilled professions, and who have high percentage in terms of monthly wage, monthly spending money, seasonal cloth purchasing, and high average spending on “appearance management,” have high responsiveness to appearance management. In “appearance management,” the order of desires for improvement were: “skin and hair care,” “body care,” “cloth purchase,” “health management,” “fashion accessories purchase,” “dental care,” “cosmetic purchase,” and “plastic surgery.” Third, we carried out regression analysis to ascertain each relationship in “cloth image” level, “body image” level from “appearance management,” and also to find out about factors in “privilege conscious,” “family conscious,” “money-oriented” consciou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high “valued body conscious” group had higher “appearance management,” and in case of “cloth image” level, we find that the “privilege conscious,” “family conscious,” “money-oriented conscious” all were significant factors, whereas for “body image” level, only the “privilege conscious,” and “family conscious” had any influence. Fourth, in the results for “high group with valued body conscious,” we found that 50 subjects (68.5%) in 26-29 age group belonged to above group, 55 subjects (75.3%) were single, and the numbers of subjects who hold high-income jobs were 56, making it 76.7% of the total. Furthermore, a household with at least 10 million won monthly consisted of 34 subjects (46.6%), monthly spending money of over 800,000 won consisted of 45 subjects (61.6%) and that spent over 700,000 won in clothes every season consisted of 44 subjects (60.3%). As expected, subjects who had high disposable income also had high “valued body conscious.” Also 52 subjects (71.2%) resided in Gangnam area. The “appearance management,” including “cloth image” level and “body image” level, we find that the group who has high level of “valued body conscious” had high average values as compared to overall group, indicating that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valued body conscious” and “appearance management.” For subjects who belong to “high group with valued body conscious,” their preferred luxury cloth brand was Marc Jacobs; for general goods, Louis Vuitton; and for accessories, they preferred Cartier. Furthermore, for small product, they favored Hermes and in eyewear, Chanel. The “high group with valued body conscious,” showed higher possession level of luxury goods and higher frequent purchasing, as compared to overall group subject. Fifth, in comparing the high awareness group of “appearance management” among high “valued body conscious” against the low awareness group of “appearance management” among low “valued body conscious,” it has been found that the level of possession of luxury goods, wearing frequency, purchasing frequency, and the percentage of buying luxury goods were high for aforementioned high awareness group. Buying of luxury goods in either domestic department store or in duty free shop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ut in the case of high awareness group, they preferred buying brands in foreign boutique, whereas, for the low awareness group, they bought from either outlet, Dongdaemun Market or through Internet shopping mall.;본 연구는 2635세대 여성의 귀한 몸 의식에 대해 알아보고, 귀한 몸 의식 성향에 따라 외모관리와 명품구매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현재 2635세대를 중심으로 그 규모가 확대되고 있는 외모관리와 명품 관련 시장에 있어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과 활성화 방안을 위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2635세대의 귀한 몸 의식에 대해 알아본다. 둘째, 2635세대 여성의 귀한 몸 의식과 외모관리의 관계를 알아본다. 셋째, 2635세대 여성 중 귀한 몸 의식이 높은 집단의 외모관리와 명품구매를 알아본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선행연구와 문헌을 바탕으로 질문지법을 사용하였으며, 총 423부를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WIN 14.0 통계 Package를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자, 빈도, 백분율, t-test, 분산분석(ANOVA), x2-test, 회귀분석을 사용하였고, 사후분석방법으로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였다. 영역별 신뢰도검증을 위해 Cronbach’s α 값을 구하였다. 자료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연구대상자의 귀한 몸 의식 성향의 평균은 3.34이고, 집단별로 살펴보면, 고 집단의 경우 고 집단이 평균 4.03으로 비율이 73명(17.2%)이고, 저 집단은 평균이 2.88인 집단으로 147명(34.7%)이었으며, 중 집단은 평균 3.43으로 203명(47.8%)의 분포로 나타났다.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르면 귀한 몸 의식이 높은 집단은 가장의 직업이 경영관리직, 전문직, 전문기술직 등 고소득 직업 집단의 경우, 가정의 총 월수입, 한달 용돈, 계절당 의복비 지출액, 한달 평균 외모관리비가 많을수록, 강북이나 기타 생활권보다 강남 생활권에 거주하는 경우로 나타났다. 둘째, 외모관리는 의복이미지와 신체이미지로 구분하여 보았는데, 신체이미지 보다 의복이미지에 대해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적 변인과의 관계는 26세-29세보다 30-35세 집단이, 본인과 가장의 직업이 경영관리직, 전문직, 전문기술직 등 고소득 직업 집단의 경우, 가정의 총 월수입, 한달 용돈, 계절당 의복비 지출액, 한달 평균 외모관리비가 많을수록 외모관리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의모관리 행동의 희망 투자순위는 ‘피부 혹은 헤어 관리’ 방법을 가장 우선시 하였고, ‘몸매 관리’, ‘의복 구입’, 건강 관리’, 패션 소품 구입’, ‘치아 관리’, ‘화장품 구입’, ‘성형수술’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2635세대 여성의 귀한 몸 의식의 요인인 특권의식, 가문의식, 금전만능의식과 외모관리 중 의복이미지, 신체이미지 각각의 관계를 밝히고자 실시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 귀한 몸 의식이 높을수록 외모관리도가 높고, 의복이미지의 경우에는 특권의식과 가문의식, 금전만능의식이 모두 영향을 미치나 신체이미지의 경우에는 특권의식과 가문의식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귀한 몸 의식 ‘고 집단’만을 선택하여 분석한 결과, 귀한 몸 의식 ‘고 집단’은 26세-29세가 68.5%로 50명으로 나타났으며, 결혼 여부는 미혼이 55명(75.3%)으로 더 많았고, 가장의 직업은 경영관리직, 전문직, 전문기술직 등 고소득 직업 집단이 56명으로 76.7%를 차지하며 높게 나타났다. 가정의 총 월수입은 1000만원 이상인 집단이 34명(46.6%), 한 달 용돈은 80만원 이상 집단이 45명(61.6%)이었고, 한 계절 평균 의복비는 70만원 이상인 집단이 44명(60.3%)으로 금전적으로 여유가 있는 집단이 귀한 몸 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거주지역에 따른 차이는 강남 생활권 거주자가 52명(71.2%)으로 많이 나타났다. 의복이미와 신체이미지를 포함한 외모관리 모두에서 귀한 몸 의식이 높은 집단이 전체집단보다 높은 평균값을 보여 귀한 몸 의식과 외모관리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귀한 몸 의식 ‘고 집단’은 명품구매에 있어 의류 구매 시에는 마크 제이콥스를 가장 선호하였고, 잡화류의 경우에는 루이비통을, 액세서리는 까르티에, 스카프 등의 소품은 에르메스를 가장 선호하며 아이웨어(eyewear)는 샤넬을 가장 많이 선호하는 경향을 보인다. 귀한 몸 의식 ‘고 집단’의 경우 더 많은 명품의 소유수와 잦은 연간 명품의 구매빈도를 보이며 연간 의류비 지출 가운데 명품의 비중이 전체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주간 착용하는 명품의 수도 전체 집단보다 귀한 몸 의식 ’고 집단’의 경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명품구매와 관련하여 귀한 몸 의식이 높은 집단 중 외모관리가 높은 집단과 귀한 몸 의식이 낮은 집단 중 외모관리가 낮은 집단을 비교하여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명품의 소유수와 주간 착용하는 명품의 수, 연간 평균 명품의 구매빈도, 연간 의류비 지출 중 명품의 비중 모두 귀한 몸 의식이 높은 집단 중 외모관리가 높은 집단은 귀한 몸 의식이 낮은 집단 중 외모관리가 낮은 집단보다 높거나 큰 것으로 나타났다. 명품을 구매하는 경우 주요 구매장소는 국내 백화점과 면세점의 경우에는 큰 비중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귀한 몸 의식이 높은 집단 중 외모관리가 높은 집단은 해외매장에서의 구매 비중이 높은 반면, 귀한 몸 의식이 낮은 집단 중 외모관리가 낮은 집단은 국내 명품 outlet과 동대문, 인터넷 쇼핑몰을 통한 구매에 있어 비교적 높은 비중을 나타내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의의 = 1 B. 연구목적 = 4 Ⅱ. 이론적 고찰 = 5 A. 귀한 몸 의식 = 5 B. 외모관리 = 9 C. 명품구매 = 15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19 A. 연구 문제 = 19 B.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 19 C. 측정도구 및 절차 = 20 D. 자료분석방법 = 21 Ⅳ. 결과 및 논의 = 23 A. 귀한 몸 의식 = 23 B. 외모관리 = 34 C. 귀한 몸 의식과 외모관리 = 46 D. 귀한 몸 의식과 명품구매 = 53 Ⅴ. 결론 및 제언 = 72 A. 요약 및 결론 = 72 B. 마케팅 시사점 및 제언 = 76 참고문헌 = 78 부록 = 85 ABSTRACT = 11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1953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귀한 몸 의식과 외모관리에 관한 상관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2635세대 여성 소비자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About the Correlation between Valued Body Conscious and Appearance Management : Focus on Women Consumer 26-35 Age group-
dc.creator.othernameLee, Kyeung-Yeun-
dc.format.pagevii, 114-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직물학과-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