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3 Download: 0

한국임금노동자들의 직업경력 및 계급의식에 관한 연구

Title
한국임금노동자들의 직업경력 및 계급의식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job career and consciousness of Korean Wage-Laborer
Authors
나영선
Issue Date
1985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Keywords
한국임금노동자직업경력계급의식노동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형
Abstract
This study deals with the structual characteristics of Korean labor market by the theory of labor market segmentation. According to the theory, the whole labor market consists of three or four heterogeneous sub-labor markets. This study calls them "segments". For the empirical study, this study collected the data of 357 wage-laborer within orgarnization by standardised questionnaire. On the basis of it, this study deals with the differences of the job career between segments and the differences of the class consciousness between segments. Three segments is classified by the basis of entry standard, i.e. sex, education level and the length of the one's job ladder. The entry standard and the job ladder are created by the capital as the means of the labor-force discrimination policy. The followings are findings of the empirical study based on questionnaires; Firstly , the position of the first job is determined by entry standard (sex and education level ) and the position of the last job is determined by age within the one's segment. Futhermore, the length of the job ladder ( the number of promotion within the same firm ) is longer among wage-laborer who belongs to the superordinate segment. Secondly, the job stability has no significant connection with the segments. This means that dual labor market theory cannot apply to the understanding of Korean labor market segmentation. Thirdly , the working class identity consciousness has significant connection with the segments but class conflict consciousness and potential class activiation h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segment. This means that the Korean working class lacks the proletariat class consciousness and the unity of working class rather then the homogeniety of the Korean working class . Fourthly , the Korean working class only approve the economic role of the labor union and disapprove the political role . This resuit implies that the Korean working class consciousness is shrunk by the coercive regulation of the Korean government. This four results reflect the superordination of the capital on the labor and reflect one aspect of the social inequality in a broad sense.;본 논문은 노동시장분단론의 이론적 틀을 기초로 하여 한국노동시장의 구조적 특성을 개별노동자수준에서 분석하고 있다. 경험적 연구를 위하여, 본 논문은 서울시 및 근교에 소재하는 15개의 10인이상 사업체에 고용된 357명의 조직임금 노동자에게 질문지 조사를 하였고, 이것을 근거로 하여 개별노동자들의 분단간 직업경력의 차이 및 계급의식등의 차이를 다루었다. 우리나라노동시장에 있어서, 자본의 노동력 차별정책에 의해 창출된 성과 학력의 입직기준으로서 분단을 구분하였다. 분석의 결과, 우리나라 노동시장에서 초직의 직위는 성과 학력의 입직기준에 의해 결정되고, 현직의 직위는 자기가 소속한 노동시장의 분단내에서 연령에 따라 결정됨이 밝혀졌다. 나아가서 현직에 이르기까지의 승진정도도 상위분단에 속할수록 높고, 장래의 승진가능성, 즉 남아있는 직무계단의 길이도 상위분단일수록 길다. 이것은 고용안정성과 같은 수평이동정도는 분단과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으므로, 고용안정성으로 분단을 구분한 이중노동시장론이 우리나라노동시장에 적용될 수 없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계급의식의 수준에 있어서 낮은 수준의 계급의식인 노동자 계급소속의식에만 분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고, 계급갈등의식이나 잠재적 행동성에 대해서는 분단에 관계없이 비호의적이다. 이것은 우리나라의 노동자계급이 동질적인 하나의 계급임을 뜻하기 보다는, 계급의식의 결여, 통일성의 결여를 의미하는 것이다. 노조의 역할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도 경제적 측면에만 국한하고 정치적 측면까지 포괄하지 못하고 있다. 이것은 오랫동안의 정부의 노동자조직에 대한 규제책으로 인해 전체노동자들의 의식이 탈정치화되었음을 의미한다. 이상과 같은 결과들은, 학력중시의 이데올로기하에서 자본의 노동에 대한 우위성을 증명하는 것이며, 넓은 의미에서 사회불평등의 한 측면을 반영하는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