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광옥-
dc.contributor.author李玉連-
dc.creator李玉連-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1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1Z-
dc.date.issued198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458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36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4587-
dc.description.abstract비만증은 신체에 과중한 지방의 축적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영양장해라고도 할 수 있는데 구미에서는 매우 심각한 것으로 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근년에 이르러 점차 이에 대한 중요성과 그의 증가율에 비추어, 날이 갈수록 관심이 깊어지고 있다. 그 이유로서는 특히 비만증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신체의 악영향이 가중되고 있다는 사실과 수명을 단축시킨다는 견지에서 문제가 되는 것이다. 과거 우리나라의 경우 비만증은 대부분 중년층 이후에서 볼 수 있었고, 간혹 임부나 수유부에서 볼 수 있었지만, 유아기나 청소년기의 비만은 선진국에 비하면 거의 없는 상태였다. 그러나 우리나라도 최근에는 비만증 환자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청소년들의 신체발육이 가속적인 증가 현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비만아가 점점 눈에 띄기 시작하여 보건상의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형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에서 급격히 증가되고 있는 비만증 학생을 통제하는데, 건강통제위성격성향이 비만증의유발과 관련이 있을 것이며, 비만증은 신체상에 영향을 미치며, 건강통제위성격과 신체상과는 관련이 있을 것이다는 이론적사실을 밝혀 봄으로써, 좀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건강지도를 제공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도되었다. 자료수집기간은 1984년 10월 8일부터 10월 20일까지였으며 연구대상은 서울시내에 소재한 2개의 남자고등학교, 2개의 여자고등학교, 1개의 남녀공학고등학교의 재학생중 신체충실지수등급상 "다"에 속하고 성인의 표준체중의 ±10% 범위 내에 있는 표준체중군 학생 195명과 신체충실지수등급상 "마"에 속하고 성인의 표준체중의 20%이상이 초과된 비만군학생 168명이었다. 연구도구는 Wallston외 3인이 개발한 건강통제위척도와 Secord와Jourard의 신체만족도 측정도구와 Osgood의 의미척도법도구를 사용하였다. 위의 도구를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는 χ^(2)-test,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방법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비만군과 표준체중군 사이에 건강통제위성격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0.001, P=0.989). 2. 비만군이 표준체중군에 비해 부정적 신체상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T=5.53, P=0.000, T=3.22, P=0.001). 3. 비만군과 표준체중군 그리고 전체집단에서 내적통제위성격일수록 긍정적 신체상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r=-0.1440, p=0.003, r=-0.2003, p=0.002).;Obesity is a kind of nutrition disorder characterized by excess accumulation of fat , and it has been recognized as serious problem in Europe and America. The interest in it in Korea has increased nowadays recogniging its importance and extension. In fact , there are two reasons for the increased interest : one is the fact that the various evil influences of it are imposed on the body, and the other is that the obesity shortens the span of life. In the past , the obesity of Korean was appeared after the middle age or in pregnant or nurturing women, and the adolescent obesity was very rate , But the obesity patients are increasing gradually. In particular, the physical growth of adolescence was promoted acceleratingly , and obese children were increased strikingly , which becomes an important public health problem. In this thesis , proving that the "Health locus of control " is related to the cause of obesity , that the obesity affects the "Body Image", and that the "Health locus of control" is also related to the "Body Image", I suggested the application of "Health locus of control" and "Body Image'' as basic concepts which can make the health education more scientific and systematic. The survey of data was conducted among 168 obese students and 195 standard-weight students , from October 8th to 20th in 1984. While the students of the former class overweigh than the ideal body weight of Koreans by 20% and have the physical completeness index "E", those of the latter have the range ± 10% of the ideal body weight of Koreans and have physical completeness index "C". All of them are in the range from 1st grade to 3rd grade in two girls' high schools , two boys' high schools and one co- educational school.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urvey were Wallston and others' Health locus of control scale , Secord & Jourand's Body Cathexis and Osgood's Semantic differencial method.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use of x^(2)-test, T- test ,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Collection of data was done with survey paper.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erized as follows. 1. There was not any difference in health locus of control between the obese students and the standard-weight students (T=0.001, P=0.989). 2. Obese students had the negative body image in comparison with standard-weight students (T=5.53 P=0.000, T=3.22 P=0.00l). 3 . The obese students class, standard-weight students class and the whole class had positive body image in proportion to the higher health locus of control-internal. (r=0.1440 p=0.003, r=-0.2003 p=0.002).-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및 가설 = 5 C. 용어의 정의 = 5 D. 연구의 제한점 = 6 Ⅱ. 이론적 배경 = 7 A. 건강통제위성격 (Health Locus of Control in Personality) = 7 B. 비만증 (Obesity) = 9 C. 신체상 (Body Image) = 15 Ⅲ. 연구방법 = 17 A.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 17 B. 연구도구 = 18 C. 자료분석 방법 = 20 Ⅳ. 결과 = 22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2 B. 대상자의 건강통제위성격과 신체상 = 29 C.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건강통제위 성격과의 관계 = 29 D. 대상자의 일반적특성과 신체상과의 관계 = 31 E. 가설검정 = 38 Ⅴ. 고찰 = 42 Ⅵ. 결론 및 제언 = 46 참고문헌 = 49 부록 = 58 ABSTRACT = 6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7753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비만학생-
dc.subject표준체중 학생-
dc.subject건강 통제위-
dc.subject간호학-
dc.subject.ddc600-
dc.title비만학생과 표준체중 학생의 건강 통제위 성격과 신체상에 대한 비교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서울시내 남녀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COMPARATIVE STUDY IN HEALTH LOCUS OF CONTROL AND BODY IMAGE OF OBESE STUENTS AND STANDARD WEGITH STUDENRS : WITH BOYS' AND GIRLS'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dc.format.pageviii, 7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198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