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2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명래-
dc.contributor.author류화숙-
dc.creator류화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9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9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09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34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09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상악 구치부 측방 접근법을 이용해 상악동내 골이식을 동시 또는 후에 식립한 임플란트의 3년 기능 유지율을 알아 보고자 71명의 환자 93개 상악동에 180개의 표면처리된 치근형 골내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술후 6개월, 12개월, 1년, 2년, 3년후의 기능 보존율(cumulative survival rate)을 추적 조사 하였다. 이식재는 자가골, 자가골과 이종골(Bio-oss-Geistlich Phama, Wolhusen, Switzerland)의 혼합골을 사용하였다. 자가골은 구강내에서는 상악 결절이나 하악지, 하악 정중부에서 채취하였고 이식량이 많을때나 치조골 넓이와 함께 증가할 때는 구강외의 장골을 이용하였다. 초기 안정과 골질, 골량이 5mm이상일 때 임플란트 위치에 따라 조건이 좋으면 임플란트를 상악동내 골이식술과 동시에 식립하였고 조건이 나쁘거나 4mm이하 잔존골일때는 평균 6개월 이상의 치유기간을 두어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2단계 방법을 이용하였다. 임플란트는 표면 처리된 나사모양의 골내 임플란트 Osseotite??(3i, Implant Innovation, USA), Neoplant??(Neobiotec, Korea), Brånemark (Nobel Biocare, Sweden), SSII??(Osstem, Korea) 를 식립하였다. 2002년 1월부터 2005년 12월 까지 상악동내 골이식과 동시 및 후에 임플란트를 식립한 환자 71명의 180개 임플란트를 대상으로 3년 기능 유지율은 다음과 같다. 1. 상악 구치부 무 치악에서 상악동내 골 이식술과 동시 및 후에 식립된 임플란트는 92%의 3년 기능 유지율을 보였고 통상적으로 심어진 상악 구치부 임플란트의 기능 유지율 94.5%와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p>0.05) 2. 연령별, 성별, 술전 잔존골, 임플란트 고정체 길이와, 임플란트 종류에 따른 기능 유지율에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p>0.05) 3. 자가골을 이식한 경우에는 98%의 기능 유지율로써 자가골과 골 대체물을 혼용한 경우의 88%보다 유의성 있게 우수하였다. (p<0.05) 4. 임플란트를 골 이식후 지연 식립하는 경우에는 100% 유지율을 보였으나 임플란트와 동시에 식립하는 경우의 85%의 3년 기능 유지율을 보였다.(p<0.05) 그러므로 위축된 상악 무 치악 부위에서 상악동내 골이식술로 치조골 높이를 증가시키는 것은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에 유용하게 사용되나 상악동내 이식골이 임플란트와 골 유착하고 저작압을 감당하기 위해서는 남아 있는 뼈의 양과 고정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골 대체물보다는 자가골이 바람직하고, 4mm이하 잔존골로 초기안정이 얻기 어렵다고 판단되면 골 이식을 선행한 후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단계적 접근이 장기 기능 유지율에 유효하다고 사료된다.;The application of osseointegrated dental implants has become one of variable treatment options for rehabilitation of partial edentulous patients. However the poor bone quality and insufficiency of bone volume limited implant placement in posterior maxilla area. To overcome these problems, maxillary sinus augmentation procedure has been used to provide more predictable success of implants in the severely atrophic maxill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linical outcome of various treatment options which may affect the predictability of the maxillary sinus augmentation. The sinus floor was augmented with bone grafts derived from the autogenous bone or autogenous and bio-oss. Before implant installation the width and height of the alveolar crest were increased in a first stage procedure in 10 patients and delayed installation(width and height of the alveolar cres<4mm) while in the other 61 patients augmentation and implant installation could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idth and height of the alveolar cres>5mm). One hundred eighty implants placed posterior maxillar were investigated up to 36 months after implant installation and restored with implant supported fixed prostheses. Th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sis by implant type, implant length, gender, age, preoperative residual bone and sinus lift procedures. Kaplan Meier Survival Curve and Long Rank Test were used for life time table and statistical analysis respectively. Within the limits of this study. following results were drawn. 1. The survival rate of the dental implants of the posterior maxilla was 92% in the group of installation by sinus lift augmentation with bone grafts, while 94.5% inthe conventional group of post-maxillary implants. 2. The cumulative survival rate (CSR) of the implants placed lately after the sinus augmentation with bone grafts was 100%,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88% in simultaneous installation group with sinus lift procedures.(p<0.05) 3. Comparing by the graft bones, the CSR in autogenous bone group was 98% which was higher than 88% in the group of combined use with autogenous and allogenic bones.(p<0.05) 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SR between gender and age, implant length, preoperative residual bon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II. 연구 재료 및 방법 = 3 A. 연구 재료 = 3 B. 연구 방법 = 6 III. 연구 결과 = 7 IV. 총괄 및 고찰 = 14 V. 결론 = 20 참고문헌 = 21 Abstract(영문) = 2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5738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상악동내 골이식술과 동시 및 후에 식립된 임플란트의 3년 기능 유지율-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3-year Cumulative Survival Rate of the implant placed with sinus graft-
dc.creator.othernameRyu, Hwa-Suk-
dc.format.pageⅳ, 26-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치의학대학원 임상치의학과임플란트치의학전공-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치의학대학원 > 임플란트치의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