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
dc.contributor.author민기남-
dc.creator민기남-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9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9Z-
dc.date.issued198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90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34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901-
dc.description.abstract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assess the current theses handing systems in the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and to provide some useful findings for the more efficient handling of the theses in order to encourage the wider usage of the theses information. To achieve the objective, the extent to which the theses serve as information sources was examined through the related literature and the data on the theses handling were gathered from 39 university libraries of 42 libraries question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Of 39 libraries which have responded, 12 libraries have separate theses rooms and 19 libraries keep the theses in the periodical or reference rooms. 2. Although 23 libraries circulate the theses in an open stack, 16 libraries maintain the closed or partially closed stack mode. 3. While 18 libraries keep the theses in some branch libraries besides the central library, 17 libraries keep them only in the central library. 4. Gift and exchange activity is being carried out in the acquisition dept. at 31 libraries, and it is a usual practice to deposit around 50 copies of each master's thesis and 20-30 copies of each doctoral dissertation in the libraries. 5. 15 libraries receive all the theses without any selection policy, and 27 libraries register them as books. 6. Only 2 libraries have a few theses in microform. 7. 10 libraries hold under 10,000 theses and 8 libraries hold around 20,000 - 30,000 theses. 8. All libraries but on catalogue all or part of the theses and they use the same classification rule as that of the books, and 18 libraries use the DDC. 9. The mean time lag between receiving and filing the theses is from 4.7 to 6.5 months except for 3 libraries which answer it takes more than 1 year to file them. 10. 11 libraries publish several kinds of secondary literatures of the theses, and 32 libraries restrict the theses to in-house circulation.;근래와 같이 산업화한 사회에서는 많은 분야에서 석사학위 이상의 고학력과 전문지식의 숙달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국내 과학기술 분야에서의 고급인력에 대한 수요의 증가는 대학원 중심의 교육경향을 유도하고 있으며 따라서 대학원 과정의 연구 결실인 박사 및 석사학위 논문의 계속적인 증가가 예상되고 있다. 이를 계기로 학위논문이 라는 정보매체가 갖는 정보원으로서의 특성과 그것이 학문의 발전과 기술의 개발에 미치는 영향 등을 검토하고, 국내 종합대학교 도서관을 표본으로 그 관리현황을 파악하므로써 학위논문의 효율적 관리방법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우선 학위 수여제도의 발생을 살펴보면, 박사라는 칭호는 이미 기원전에 존재했고, 미국에서는 1861년에 최초의 박사학위가 수여되었으며^(1), 국내에서는 1952년 서울대학교에서 처음으로 박사학위가 수여되었다. 그후 꾸준히 증가하던 국내의 학위논문 생산은 1970년대 후반에 들어 급속한 증가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는 학위논문의 출판율과 인용율에 대한 문헌을 검토한 결과 학위논문이 학술적 정보원으로서 학문의 발전에 미치는 영향은 빈약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위논문의 서지통정과 이용증대가능성의 문제등을 해결하기 위한 미국과 서유럽의 주요 동향으로는 마이크로형태 출판의 확대와 중앙집중화된 관리경향을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국내 종합대학교 도서관의 학위논문 관리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내 42개 종합대학교 도서관에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이중 39개 도서관으로부터 자료가 회수되었다. 그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1. 학위논문실이 독자적으로 마련되어 있는 곳이 12개 도서관(30,8%)이며 다른 부서에 소속되어 있는 경우가 25개 도서관(64.1%)이었다. 나머지 2개 도서관은 박사와 석사학위논문을, 혹은 본교와 타교의 학위논문을 분리해서 관리하고 있었다. 2. 학위논문의 열람방식은 23개 도서관(59%)에서 개가제, 12개 도서관에서는 폐가제를 실시하고 있었으며, 29개 도서관 (74.4 %)에서 준사서 이상의 전문직원이 정리와 열람을 담당하고 있었고 나머지 10개 도서관에서는 일반직원이 담당하고 있었다. 3. 18개 도서관(46.2 %)에서 분관이나 대학원 도서관에도 학위논문을 소장하고 있었으며, 17개 도서관(43.6 %)에서는 중앙도서관에서만 소장하고 있었다. 4. 학위논문의 기증 및 교환업무는 주로 수서과에서 수행되며(31개 도서관 - 79.5 %), 도서관에서 수령받는 본교의 학위논문 부수는 석사학위논문의 경우 한 논제당 50부 이상을 받는 곳이 10개 도서관(25.6 %)으로 가장 많고, 박사학위논문은 일반적으로 20∼30부를 수령하고 있었다. 5. 학위논문을 선정기준없이 모두 접수하는 도서관이 15곳(38.5 %)이며, 입수된 학위논문은 27개 도서관(69.1 %)에서 도서관장서로 등록하고 있었다. 6. 학위논문을 마이크로형태로 소장하고 있는 도서관은 2곳으로, 한 도서관은 외국 학위논문을 마이크로 피시로 소장하고 있었고, 다른 한 도서관은 마이크로필름으로 구매한 외국의 학위논문외에도, 일부 국내의 학위논문을 마이크로필름으로 제작하여 소장하고 있었다. 7. 학위논문의 소장량은 1만권이하인 도서관이 10곳(25.6 %)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이 2만에서 3만권을 소장한 도서관으로 8곳(20.5%)이었다. 8. 한 도서관을 제외한 모든 도서관에서 학위논문의 일부 또는 전부를 목록하고 있었으며 그 가운데 6개 도서관에서는 주제명을 첨가하고 있었다. 9. 분류방식은 단행본과 같은 체계를 사용하는 곳이 30개 도서관(76.9 %)이었으며 그 가운데 18개 도서관에서 DDC를, 11개 도서관에서 KDC를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7개 도서관에서는 간략한 분류체계를 사용하였다. 10. 학위논문이 입수되어 서가에 배열되기까지의 소요시간은 평균 4.7∼6.5개월 이상이었다. 그리고 본교에서 생산된 학위논문의 색인지나 초록지를 발간하는 곳이 11개 대학교(28.2 %)였으며, 32개 도서관(82.1 %)에서 학위논문은 관내열람만을 허용하고 있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방법 및 제한점 = 2 Ⅱ. 학위논문의 의의 = 5 A. 학위논문의 성격과 역사적 배경 = 5 B. 학위논문의 생산 및 유통구조 = 9 Ⅲ. 학위논문 관리의 이론과 실제 = 17 A. 학위논문 관리의 문제점 = 17 B. 사례의 고찰 = 30 C. 선행연구 = 36 Ⅳ. 국내 종합대학교 도서관의 학위논문 관리현황 = 42 A. 업무조직 = 42 B. 수서업무 = 46 C. 정리업무 = 50 D. 열람업무 = 55 Ⅴ. 요약 및 결론 = 58 참고문헌 = 63 부록 = 69 ABSTRACT = 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6327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학위논문-
dc.subject관리-
dc.subject도서관-
dc.subject국내-
dc.subject종합대학교-
dc.title학위논문의 관리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국내 종합대학교 도서관과 관련하여-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Theses Handling in Libraries :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dc.format.pagevii, 7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도서관학과-
dc.date.awarded198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