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4 Download: 0

초등학교 5, 6학년의 음악 교과서 단소 학습곡 분석 및 지도방안

Title
초등학교 5, 6학년의 음악 교과서 단소 학습곡 분석 및 지도방안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 and Analyisis of Dan-So song in the Elementary 5, 6th Music Textbook : Focusing on Cooperative Learning Model
Authors
정채린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권덕원
Abstract
본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5, 6학년 음악 교과서의 단소 학습곡 내용 및 활동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협동학습을 적용한 단소 지도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이론적 기초로써 협동학습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협동학습의 개념 및 특성, 협동학습의 효과와 다양한 협동학습 모형을 고찰하고, 협동학습을 적용한 단소 지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5, 6학년 음악교과서의 단소 학습곡 내용을 분석하였다.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5, 6학년 음악교과서의 단소 학습곡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해진 단기간에 교과서 제재곡을 단소로 불기는 상당히 어렵다고 보아 대부분의 단원에서 해당 제재곡 대신 기초적인 연습곡만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지금까지 율명은 초등학생 수준에 맞게 한글로 표기되어 있고 높은 음은 한글 위에 단지 점으로만 표시하면서 음 높이를 이해하게 하였다. 셋째, 단소 정간보의 호흡 표시가 일률적이며, 호흡법에 대한 지도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넷째, 정간보에 대한 설명이 제시되지 않았다. 다섯째, 단소 지도에 있어서 배정된 시간이 부족하다. 전통음악에서의 협동학습 방향에서는 7차 교육과정에서 전통음악과 창의성 계발을 강조하고 있으나 실제 학습에 활용되는 지도서에는 협동적 요소를 많이 내포하고 있는 전통음악에 적합한 수업 모형이 없다. 개인만이 아닌 모둠 간에 협동하여 단소 연주 활동을 할 수 있는 학습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안내가 없어, 전통음악 단소수업에 협동학습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고 초등학교 5, 6학년의 단소 학습곡을 분석하고 모둠별 학습에 대해 중점적으로 연구하며, 협동학습을 적용한 단소 지도 방안을 고찰해 보도록 하였다. 협동학습을 적용한 단소 지도 방안은 먼저, 학생팀 성취 보상법 STAD (Student Team-Achievement Divisions)을 적용하여 5학년 ‘汰(태) 연습곡’ 단소 지도안과 ‘아침 해’ 단소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과제 중심 협동학습의 Jigsaw Ⅱ 모형은 5학년 ‘汰(태), 潢(황), 無(무) 연습곡’ 단소 지도안과 6학년 ‘개구리 소리’ 단소 지도안에 적용하였다. 마지막으로 함께 학습하기 LT(Learning Together)을 적용하여 5학년 ‘참새 노래’ 단소 지도안과 6학년 ‘도라지 타령’ 단소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지도방안은 교과서 분석에서 미흡했던 부분들을 보완하여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하였고 수업에 보다 쉽게 활용할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지도방안은 여러 지도 방법 중 하나의 가능성을 제시한 것으로 교사의 협동학습에 대한 경험과 익숙함 정도에 따라 더 다양한 협동학습 구조를 이용한 다양한 지도 방법이 가능하리라 본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협동학습을 적용한 단소 지도 방안이 음악수업 현장에서 학생들의 단소 연주 신장에 도움을 주고 교사들의 체계적인 단소 학습 진행에 도움을 줄 수 있길 바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and the activities of instrumental part in traditional music of 5th and 6th grade music textbook which is based on 7th National Music Curriculum and to develope a dan-so teaching method with an application of cooperative learning based on this. In order to give a theoretical foundation and to help basic understanding of cooperative learning, I studied the concept, special qualities, effects and various models it. Also, to develop a dan-so teaching method applying cooperative learning, I analyzed the instrumental section of traditional music in 5th and 6th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 based on the 7th National Music Curriculum. For the analysis, I looked through the contents and the activities of the practical part in the 5th and 6th grade music textbook by units and applied each different cooperative learning model in dan-so learning. The result of analyzing dan-so learning unit among the instrumental part of Korean music in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music text book based on the 7th National Music Curriculum are as follows; First, Since it is hard to play dan-so music in the textbook for an assigned short period, most unit gives only basic practice piece instead of larger works. Second, Yul-Myung(pitch note) was written in Korean for elementary student level and the high note was marked by putting a dot on the top of Korean, so students could understand the pitch. Third, The breathing symbol of Jung-Gan-Bo are same and the teaching of breathing technique is not available. Fourth, it is necessary to give dan-so music in easy and diverse way. Fifth, Since it is hard to understand and read Jun-Gan-Bo by oneself, in order to learn Jung-Gan-Bo reading naturally, the learning of Jung-Gan-Bo reading has to start early as 4th or 5th grade. Sixth, like a recorder teaching, dan-so teaching has to start from 3rd or 4th grade since the assigned time for teaching is very short. In the cooperative learning of traditional music, the traditional music and the creative development of the 7th National Music Curriculum is emphasized, but there are no class models which are appropriate for the traditional music that contains cooperative element in the actual learning. Since there is no specific guide on cooperative dan-so playing by group, I find it very necessary to apply cooperative learning in traditional dan-so music class. Therefore, I planned dan-so teaching steps which can be applied for 5th and 6th graders, studied about group learning, and dan-so teaching plan applying cooperative learning. The dan-so teaching method applying cooperative learning are as follows; First, I applied STAD(Student Team-Achievement Divisions) and presented 5th grade's 'Morning Sun - Making dan-so sound'. Second, I applied Jigsaw II of subject oriented cooperative learning and presented 6th grade's 'Frog Sound' dan-so teaching plan. Third, I applied LT(Learning Together) and presented 6th grade's 'Doragi Taryung' dan-so teaching plan. For the teaching plan, I complemented the parts that were insufficient in the textbook analysis and organized so the various activities can be used and easy to apply in the class room teaching. This kind of teaching method is represented as only one of many different kind teaching methods. And depending on teacher's experience and familiarity of cooperative learning, many teaching methods using various cooperative learning system can be possible. I hope this study of cooperative learning applied in dan-so teaching method can help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and development in dan-so playing and teacher's systematic dan-so teach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