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9 Download: 0

화조화의 이미지를 응용한 니트웨어 디자인 연구

Title
화조화의 이미지를 응용한 니트웨어 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A research on the Knitwear Design Applying the Images of the Korean Folk Paintings : Focused on the complex knitting techniques
Authors
최문정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의상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정혜
Abstract
As knowledge and industry have been developed highly, modern society intend higher mental value based on material well-being. Dress and its ornaments, that is most typical pattern to represent mental value, reflects certain time of culture, circumstance, radicalism and so on. In recent days, Knitwear, one of the dress and its ornaments, can express feel of characteristic material, which is effected by various change of design, obtained by complex knitting technic, and by unlimited possibility of material. According to this fact, Knitwear overcomes technical limit of past, and it also can express feeling of formative sensation. Also, oriental mode, shown in recent fashion trend, has been based on spreading beauty of oriental flowers and birds. In Korean case, a lot of painting works have used the painting of flowers and birds in the Korean folk painting. The aim of this research is merging pre-mentioned the painting of flowers and birds in the Korean folk painting and the Knitwear. It will be a great chance to spread Korean beauty on all over the world as merging the painting of flowers and birds, which has been absorbed Korean spirit, beauty and so on from the past, and the Knitwear, which can express mixture of various colors and materials. Firstly widely spread information was collected about the painting of birds and flowers, and its modeling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In addition, some cases of using it were searched and analyzed. Next step was concerning about the concepts and techniques of Hand-Knit, and to searching and analyzing cases of using complex techniques of Hand-Knit. Lastly, 8 real models were designed and produced to see the possibilities of merging them based on collected and analyzed information. At the point of making real model, the point was creating natural woman’s silhouette to emphasize the natural beauty of the painting of birds and flowers. Also, it is to make strong impression to applying the manual dyeing of contrast of complementary color among dyeing techniques. At this point, the main achievement was getting higher value added knitwear by applying various texture’s effects, which were supported by stitch, felting, beading and so on. Material of the models were wool-yarn, mohair-yarn, and partly silk-yarn, decoration-yarn etc were used as well. The results of this project were as shown below. First point was that Korean folk painting was the most important our treasure to spread on all over the world easily. It reflects our history and tradition very clearly and it is a connection between the present and the past. Secondly, the painting of birds and flowers has its own characteristics, and will provide unlimited abilities to design field. Thirdly, in the case of usage of colors, various colors could be used as applying manual dyeing technique, which can cover the painting’s blazing contrast effect. Fourthly, using hand knitting technique and various material were help to express natural peculiar expression, and adding stitch, felting and beading on it were helped to focus on higher value added knitwear. Fifth point was its material advantage, which are light, soft and so on. Material of hand-knit was wool-yarn or mohair-yarn or etc, which were light and comfortable. Also satin and chiffon were used to be placed inside the model. These effects were caused more natural and feminine silhouette. This research gave possibilities of unlimited progress in materials and techniques as producing knitwear based on the painting of birds and flowers. This might be a chance to show to the world our traditional beauty, which was modified modern way. Also, it has carried on point of using hand-knitting, but more essential way would be required to overcome the time limits. Additionally, there are much more Korean folk paintings which can be applied. In order to use them efficiently, continuous and widespread research should be carried on.;오늘날의 현대 사회는 지식과 산업이 고도로 발달되면서 물질적 풍요를 기반으로 보다 높은 정신적 가치를 지향하고 있다. 복식은 이러한 정신적인 가치를 표현하는 대표적인 양식으로, 그 시대의 문화와 환경․사상 등을 다양하게 반영한다. 이에 따라 복식의 한 종류인 니트웨어는 현대에 들어와 복합적인 기법의 사용으로 얻어지는 디자인의 다양한 변화와 소재의 무한한 가능성에 힘입은 독특한 질감 효과로 과거의 기능성에서 더 나아가 예술적 차원의 조형감각을 표현하는 영역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또한 최근의 패션 경향에서 나타나는 오리엔탈 모드는 동양적인 조형미를 세계에 널리 알리는 발판이 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민화에 나타나는 화조화(花鳥畵)를 응용한 작품들이 많이 보여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경향을 바탕으로 우리 민족의 미의식과 생활 감정이 반영되어 있는 표현물인 민화 중에서 상징성과 장식성이 강한 화조화(花鳥畵)를 모티프(motif)로 도입하였다. 기법은 니트웨어의 부조적인 질감 표현과 색채와 재료의 혼합을 다양하게 할 수 있는 프리폼(free-form) 제작 방식을 채택하였으며, 색채에 있어서는 화조화의 색채를 바탕으로 염색 기법을 사용하여 보다 안정감이 있는 색감을 표현하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민화에 나타난 화조화의 이미지를 복합적인 다시점과 나열형 구조 등의 조형적 특성을 바탕으로 니트웨어에 현대화하는 작업을 함으로써 전통미를 바탕으로 한 니트웨어 디자인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내용 및 방법은 먼저 민화에 나타난 화조화의 개념 및 역사에 관한 문헌 고찰을 하고, 화조화에 나타나는 일반적인 특징과 조형적인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현대 패션에서 화조화를 응용한 사례들을 조사․분석하기 위하여 사진수집과 인터넷 검색을 하였다. 다음으로 핸드니트(Hand-knit)의 개념과 기법에 관한 문헌 고찰을 하고, 복합적인 핸드니트 기법을 사용한 사례들을 조사․분석하였으며, 화조화의 현대적 활용에 적합한 디자인 요소를 추출하여 이를 토대로 실물 8작품을 제작하였다. 실물 작품을 제작하는 데 있어, 민화에 나타난 화조화의 자연적인 미를 강조하기 위하여 인체의 흐름을 따르는 자연스럽고 여성적인 실루엣을 사용하였다. 또한 화조화의 색채를 의상에 적용함에 있어서 염색 기법 중 보색(補色) 혼합에 의한 침염(浸染) 기법을 활용함으로써 안정적이고 다양한 색감을 표현하려고 하였으며, 부가적으로 스티치(stitch)와 펠팅(felting), 비딩(beading) 등의 수공예적인 기법을 활용함으로써 다양한 텍스쳐(texture) 효과와 장식성을 고려하여 예술적인 조형성을 갖춘 니트웨어를 제작하고자 하였다. 작품의 소재는 염색을 할 때에 색채 표현에 있어서 염착성과 견뢰도가 뛰어난 양모(毛)사와 모헤어(mohair)를 주로 사용하였으며, 부분적으로 실크사, 장식사 등을 병행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민화는 우리 민족의 역사와 전통이 그대로 반영되어 있는 미적 표현물이며 오늘날 과거와 현재를 연결시켜주는 매개체로서 민족 고유의 독창성을 널리 알리는 귀중한 자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민화 중에서 꽃과 새를 소재로 하는 화조화는 구도, 색채, 선에 있어서 전통 회화와는 다른 조형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구도에서는 복합적인 다시점, 자유로운 원근법의 사용, 시간의 동시적 표현, 사물의 평면화, 대칭․나열형 구조가 있었고, 색채에서는 오채색에 의거한 원색의 개별적인 색채를 사용하였으며, 선의 표현에 있어서는 도식적인 선의 형태와 유사색으로 된 외곽선 등을 찾아볼 수 있었다. 셋째, 색채의 표현에 있어서 화조화에 나타나는 화려한 색감을 바탕으로 보색 및 유사색의 조화를 위하여 원사(原絲)에 보색(補色) 혼합에 의한 침염(浸染) 기법을 활용함으로써 색상과 색조의 변화를 통한 화려하면서도 안정적인 색채의 조화를 표현할 수 있었다. 넷째, 화조화의 이미지 표현에 있어서 대바늘뜨기(hand-knitting), 코바늘뜨기(hand-crocheting), 수편기뜨기(hand-knitting machine) 등 복합적인 뜨기 기법을 사용함으로써 자유로운 형태의 표현과 부조적인 질감표현이 가능하였다. 또한 그 위에 스티치(stitch)와 펠팅(felting), 비딩(beading) 등의 수공예적인 기법을 사용함으로써 디자인에 고부가가치를 부여할 수 있었다. 다섯째, 핸드니트(Hand-knit)의 소재에 있어서 모헤어(mohair)나 양모(毛)사 등 포근하고 가벼운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화조화의 조형미와 어울리는 보다 여성스럽고 자연스러운 실루엣을 연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우리 민족의 미의식이 잘 드러나 있는 민화 중에서 화조화의 이미지를 니트웨어의 모티프로 현대화하는 작업을 함으로써 우리의 전통미를 현대적인 감각으로 잘 표현할 수 있었으며, 핸드 니트의 복합적인 기법을 통하여 다양한 색채와 부조적인 질감을 니트웨어에 표현할 수 있었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모티프의 응용에 있어서 민화의 일부분인 화조화를 활용하였지만 앞으로는 우리 전통에 대한 폭넓은 연구가 요구되며, 현대 복식 디자인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표현 방법에 관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