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현자-
dc.contributor.author李恩姃-
dc.creator李恩姃-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5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5Z-
dc.date.issued198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87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30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878-
dc.description.abstract金 春洙는 韓國 現代 詩文學史에서 다양한 실험기를 통하여 독특한 詩論과 아울러 새로운 詩世界를 열어보인 詩人이다. 따라서 旣存 硏究들이 대부분 그의 詩論과 作品을 함께 究明하는데 치중하고 있을 때, 작품 자체의 分析을 통하여 詩人의 意識에 접근하고자 하는 작품 내적인 硏究는 그의 詩世界를 밝혀내는 한층 本質的인 硏究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本 論文에서는 끊임없이 變化를 시도한 詩人에게 잠재되어 있을 一貫된 意識에 이르기 위해, 다양하게 變奏되는 이미지들을 통하여 金 春洙의 主要한 詩的 對象들을 分析하여 보았다. Ⅰ章에서는 金 春洙 詩에 관한 旣存 연구들을 검토하고,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詩人의 意識行爲의 表出인 이미지 연구와 그러한 이미지가 形象化되어 나타나는 詩的 對象에 관한 연구가 金 春洙 詩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요구되고 있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本 論文에서는 文學 現象學的 硏究方法에 따라 주요한 이미지를 保有하는 金 春洙의 특징적인 詩的 對象들―人物, 植物, 時間과 風景의 관계―을 分析하여 보았다. Ⅱ章에서는 詩人과 事物의 原初的인 만남에서 詩人이 그 事物을 認識하는 특징으로 나타나는 '命名行爲'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對象에 알맞는 이름을 부여하고자 腐心하던 詩人은 자기 자신의 이름 또한 探索하는 과정에서 "處容"과 "李仲燮"이라는 古代와 現代의 神話的 人物을 선택하였다. 詩人은 그들의 공통점―어리석고 바보스러운 行動 이면에 깊이있고 폭넓은 肯定的인 世界觀을 가지는 한편 우리 民族의 보편적인 原型을 띄는―을 통하여 자신의 志向意識을 投影하여 나타내고 있었다. Ⅲ章에서는 植物에 대한 기존의 관념들을 버리고 存在를 發顯하는 植物자체의 現象의 方法을 통해 植物을 묘사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詩人은 "빛깔" "香氣" "소리의 울림"에 의해 植物을 인식하며, 그러한 方法에 따라 각 植物의 이름들을 命名하고 있었다. 그럼으로써 그의 植物語들이 指示的인 파악보다는 現象學的 還元을 이루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Ⅳ章에서는 詩人의 人爲性에 의해 時間과 風景이 새롭게 開示되는 것을 살펴보았다. 詩人은 異質的인 時間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三月의 눈'과 '낮달'이라는 非日常的인 時間을 가장 아름다운 風景物로 끌어내고 있다. 또한 일부 風景에서 時空的인 흐름을 배제하고 固定하여, 結晶化된 風景을 이루고 있는 것을 보았다. 즉, 詩人은 우리에게 인식되어지지 않는 時間과 風景들을 새롭게 드러내 보여 주고 있었다. 本 論文은 金 春洙의 다양한 시도로 이루어진 詩 254篇에 나타난 主要한 詩的 對象들을 分析하여 보았다. 그리하여 詩人이 스스로 선택한 對象들에 자신의 志向意識과 超越에의 意志를 투영하고, 그러므로써 각 對象을 통해 詩人의 독특한 超越의 方法과 樣式들을 提示하고 있는 것을 밝혀 볼 수 있었다.;Through his various experimental efforts with poems, Kim Choon-soo has contributed to the achievements of the Korean modern poetic history by introducing a unique poetics and thereby opening up a new horizon. Subsequently, investigating his poetics in conjunction with his poetic world has constituted the theme for mainstream of the studies previously done. In this study it is understood that a literary work's artistic significance can be revealed through clarification of the poet's conscious behaviors. It is hence believed that an investigative study can be of more substance when it has examined such inner meanings within the literary work. This thesis has attempted to understand his poems by analyzing the important poetic objects through images selected among the various in order to arrive at the consistent and continual consciousness lying dormant in the poet who forever attempts to effect changes. In the first chapter the purpose of image analysis that demands the readers' spontaneous imagination is examined as the expression of the poet's conscious behavior, Also examined are the achievements and problems of the previous investigative works that have dealt with the same topic. As a result, it was found out that understanding his poems necessarily demands an analysis of the inner meanings which is to be done by examining the poetic objects that retains his important images. The second 2nd the third chapter examines the poet's distinct way Of perceiving upon his initial meetings with objects, the "naming behavior" which in naming personages and plants changes not its actual content but only in its outer appearance. This consistent consciousness of the poet was tracked by examining the Yong(處容) “ to the subsequent "Lee Jung-seop(李仲燮)”. Plants are named that express the beautiful lightness of 'color', "fragnance" and 'resonance of sound', and in search process can be seen that the expression for plants are becoming phenomenological reduction. In chapter four was examined the poet's artificial sense of time by looking at the extraordinary time expressed as "Snow in March(三月의 눈)“ and "Daymoon(낮달)”. Examination of this distinct sense was further pursued by looking at the way in which he immobilized the scenery that escape from context of time. In sum, it is concluded that Kim Choon-soo's workof writing poems consists not of method, the "how" of transcendency. Analyzing the important poetic objets that are described in Kim Choon -soo's 254 poems, created as a result of his various experimental efforts, was studied as the basis to this thesi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論文槪要 = ⅳ Ⅰ. 序論 = 1 Ⅱ. 命名행위와 人物에의 투영 = 6 A. '이름'의 個體性 = 6 B. '處容'과 詩的 話者 = 15 C. '李仲燮'과 純粹自我 = 28 Ⅲ. 植物語와 現象學的 還元 = 38 A. 存在發顯으로의 '빛깔' 과 '香氣' = 39 B. <소리>로서의 이름 = 46 Ⅳ. 時間과 風景의 志向性 = 53 A. "三月"의 눈'과 '낮달'의 時間意識 = 57 B. 風景의 結晶化 = 64 Ⅴ. 結論 = 70 參考文獻 = 74 ABSTRACT = 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8863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김춘수-
dc.subject-
dc.subject대상-
dc.subject국어국문학-
dc.subject.ddc800-
dc.title金春洙의 詩的 對象에 관한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udy of Kim Choon Soo's Poetic Objects-
dc.creator.othernameLee, Eun Jeong-
dc.format.pagev, 7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198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