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8 Download: 0

독서과정에 있어서 탐지 오류를 통해 나타난 한글 세부특징의 지각

Title
독서과정에 있어서 탐지 오류를 통해 나타난 한글 세부특징의 지각
Other Titles
Perception of distinctive features of Korean letters by detection error in Reading
Authors
金永愛
Issue Date
198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심리학과
Keywords
독서과정탐지 오류세부 특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영애
Abstract
This study was to examine if the detection confusion causes more errors in missing feature condition than in added feature condition in case of Korean letters. For this puspose I chose some basic letters and corresponding derivative letters which shared their visual similarities. The Basic letters have their shape missing a distinctive feature of corresponding derivatives, conversely the corresponding derivatives are adding a feature to the basic letter form. From basic letters to corresponding derivatives, the direction of the added feature condition is; ㄴ→ㄷ, ㅁ→ㅂ, ㅅ→ㅈ, ㄷ→ㄹ, ㅣ→ㅏ, ㅣ→ㅓ, ㅡ→ㅗ, ㅡ→ㅗ, and the missing feature condition is the reverse direction. All the consonants and vowels which I had selected have missing and added feature condition. Among them, the consonants are divided into the initial sound phonemes (ex 국) and the last sound phonemes (ex 국). The task was proofreading task for misspellings in reading.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re as follows: The detection confusion errors were more in missing feature condition than in added feature condition. However, the detection confusion error differences between vowels and consonants, and between initial sound phonemes and last sound phonemes, are not significant. These results are interpreted that one tends too overlook the missing feature of the substituted letters, so attention is no more paid to it. On the other hand, the form added feature seems to be more distinctive in vision, so more attention is centered, therefore, the confusion error are fewer. One possible explanations may be offered as the differences of detection error between vowels and consonants, and between the initial sound phonemes, and the last sound phonemes are not significant. Because lone perceives them not individually but wholly in reading context. In other words, in comprehending the meaning of the words, letter perceptions are performed in unit;本 硏究는 한글에서 視覺的 類似性을 띄고 있는 基本子母의 쌍들을 뽑아 基本子母에서 한 획이 添加되어 派生子母를 이루는 細部特徵의 添加條件과 派生子母에서 한 획이 削除되어 基本予母를 이루는 細部特徵의 削除條件중에서 削除條件의 視混同 誤謬가 더 우세함을 보이고 있는지를 밝히기 위해 試圖되었다. 視混同을 일으키는 자극쌍이 자음과 모음으로 구분되었다. 자음은 初聲과 終聲으로 分類된 添加·削除條件으로 구분되었고, 母音은 添加와 削除條件으로 구분되어 提示되었다. 使用된 子音·母音의 添加方向은 ㄴ→ㄷ, ㅁ→ㅂ, ㅅ→ㅈ, ㄷ→ㄹ, ㅣ→ㅏ, ㅣ→ㅓ, ㅡ→ㅗ, ㅡ→ㅜ이며 削除方向은 그 逆의 方向이었다. 배당된 각 條件에 따라 子母雙을 정상문장의單語들속에 代置시켜서, 문장을 읽어나가는 도중에 잘못 씌여진 글자가 있으면 표시하게 하는 矯正課題(Proofreading task)가 사용되었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子音條件과 母音條件 各各에서 細部特徵의 添加條件보다 削除條件에서 混同의 誤謬가 많이 나왔다. 子音과 母音間의 混同誤謬차이는 없었다. 子音의 初聲과 終聲間의 混同誤謬 차이도 없었다. 英語의 子母와 마찬가지로 한글의 子母에서도 細部特徵의 削除條件에서 探知의 混同誤謬가 우세하게 나타남은, 子母의 細部特徵이 削除되어 있어도 그 特徵이 그대로 있는 것으로 생각하여 特徵의 빠짐을 간과하는 傾向性이 있음을 示唆해주고 있다. 따라서 더 세밀한 注意가 가지 않은채 원래의 글자 特徵이 유지된 子母로 探知하고 있는 結果를 보였다. 그러나 子母의 細部特徵이 덧붙여진 添加條件에서는 特徵이 빠져있는 削除條件보다 注意를 더 쏠리게 하는 경향이 있어 적은 混同誤謬를 보이고 있다. 初聲과 終聲 및 전체 子音과 母音間의 混同誤謬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음은 意味가 포함되어있는 독서과정에서 과제가 수행되어진 것에 기인된다. 즉 문장의 意味를 이해하는 과정에서의 글자 知覺은, 初聲과 終聲 및 子音과 母音이 각각 위치하는 장소가 視覺的으로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에게 개별적으로 注意가 가기보다는 전체적으로 注意가 가게되어 그 차이를 주고 있지 않음을 示唆하고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