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백태호-
dc.contributor.author전원희-
dc.creator전원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3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3Z-
dc.date.issued198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63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28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632-
dc.description.abstractMordern arts characterize the compositeness which results from the constant reformations together with the pursuit of the self-regulation on art and make the conception on the genre of arts obscurely. And, the dimension and the aspect of unity on the modern arts become various from introducing the objet into works to combining it with actings, events and entire environment by manufacturing variably the environment. Thefore, nowadays, dyeing in the field of the industrial arts become to take a confirmed position as a formative art pursuing the value of modeling instead of pursuing its beauty and ut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olore the new possibility mating modeling of kite experimentally by finding out the origin of the solid modeling focusing on objet. For this purpose, the theoretical backgrounds had been drawn as follows: First : Establishing the conception of the kite. Second : Making a comparison between Korean kite and foreign kite in respect of their original background historically. Third : Analyzing the modeling of the modern kites by means of its flying principle, its kinds, and its characteristics On these basises of theoretical backgrounds, six works had been made experimentally on purpose of the maker.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 The kite has been used as a playing tool and transmitted in all the countries for many centuries. Second : Korean kite is generally simple and dynamic focused on its function. On the other hands, foreign kite is various and static focused on its modeling beauty. Third : Mordern kites are classified into two types; natural mode and geometric mode. They are excellent not only in modeling but also in aerial dynamics having the characteristics like aggregating modeling, variable modeling, solid modeling, and diffusion of materials. Fourth : In process of making works, solid kite had been made throug being repeated and aggregated the geometric simple mode many times. Therefore, it's possible to appreciate the new different feeling about the kite according to time and environment. Fifth : The kite has been made in expectation of moving according to the change of wind, so its anim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 and a work could be seen. Sixth : By making silky dyeing kite, it has the strong and splendour color contrasting well with the space and the ground. By using the wire and the bamboo as the kite bone, it could be found both the curvaceousness in wire and the lineal in bamboo. There are the problems derived from making. First : As being focused too much on modeling, there was a possibility to get out of its function. Second : It was too simple in its shape and too difficult. to sew it due to use the soft silk. Third : There were trials of making the kite having the various and exciting shape by using many dyeing skills like batik and by studying on the kite bone. But the problems on the property of materials, limitation of time, trained skill in the process of making arose. In consideration of these problems, I think it will be possible to make a high artistic work by the constant study on the kite according to the modern aesthetics, to the technique of dyeing as well as the wind sculpture using the wind and the sky sculpture using the midair.;오늘날의 미술은 예술의 자율성 추구와 함께 끊임없는 개혁에 의한 결과로 「복합성」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고 이러한 복합성은 미술에 있어서의 쟝르의 개념을 모호하게 만들고 있다. 그리고 오브제를 작품에 도입하고 이를 가면적으로 조작하며 나아가서는 환경내부로 직접 들어가서 환경 전체와 오브제 및 행위 내지는 사건들을 결부시키는 일에 이르기까지 그 통합의 규모와 양상은 실로 다양하고 박진감있는 국면에 이르렀다. 그리하여 종래 용과 미를 추구하던 공예적 염색이 오늘날에는 조형적 가치를 추구하는 조형예술로서 거의 위치를 정립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오브제에 겨냥한 입체조형에서 발상을 찾아내어 연을 실험 제작함으로써 염색작품으로서의 새로운 연의 조형적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첫째 : 연의 개념을 정리하고 둘째 : 연의 발생사적 배경을 역사적으로 고찰하여 우리나라연과 외국연의 조형적 의미를 파악하며 셋째 : 현대연의 종류와 특성, 날으는 원리를 통하여 현대연의 조형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하여 연구자의 의도대로 실제 작품을 6점 실험 제작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이 결론을 얻었다. 첫째 : 연은 오랜 옛날부터 세계 여러 나라 여러 민족에게 널리 전해 내려오는 것으로 주로 놀이 기구로 사용되었다. 둘째 : 우리나라 연은 대부분 기능에 중점을 둔 동적인 연으로 그 형태가 단순하며 외국의 연은 대부분 하늘에 띄워놓고 조형을 감상하는 정적인 연으로 그 형태가 다양하였다. 셋째 : 현대의 연은 조형적으로나 항공역학적으로 매우 우수하며 대체 자연적인 형태와 기하학적인 형태로 분류할 수 있었고 입체지향성, 가변조형성, 집합조형성, 재료의 확산 등의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넷째 : 작품제작 과정에서는 기하학적인 단순한 형태를 여러번 반복하고 집합시켜 입체적인 형태의 연을 제작하여 시간과 환경속에 설치함으로써 새로운 환경에 대한 새로운 감정의 기대를 높일 수 있었다. 다섯째 : 바람의 변화에 따라 작품이 훗날리고 그 형태가 바뀌어지기를 기대하고 제작하였 으므로 살아 움직이는 듯한 생동성을 보여줄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작품과 인간의 새로운 유대를 찾을 수 있었다. 여섯째 : 침염한 실크(silk)로 연을 제작함으로써 그 색상이 강렬하고 화려하여 대지와 공간에서도 대조를 잘 이루었으며 철사와 대나무를 연의 골절로 이용함으로써 대나무는 직선적인 형태의 연을 철사는 곡선적인 형태의 연을 제작할 수 있었다. 파생된 문제점으로는 첫째 : 연의 조형적인 면에 너무 치우친 나머지 기능적인 면에 소홀한 것 같다. 둘째 : 부드러운 실크를 사용하였으므로 봉재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연의 형태가 너무 단조롭게 느껴졌다. 셋째 : 납염법을 비롯한 염색의 여러 기법을 이용하고 연의 골절에 대해 연구하여 좀더 재미있고 다양한 형태의 연을 제작하려고 하였으나 연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재료의 특성과 시간상의 문제가 따르고 숙련된 기술면에서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염색의 기법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와 바람을 이용한 「윈드 스칼프취」(Wind Sculpture) 나 공중을 이용한 「스카이 스칼프춰」 (Sky Sculpture) 그리고 현대 미학과 연에 관해 꾸준히 연구함으로써 보다 차원 높고 조형예술로서 승화된 작품의 제작이 가능하리라 생각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ⅸ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2 Ⅱ. 이론적 배경 = 3 A. 연의 개념 = 3 B. 연의 발생과 역사 = 4 1. 한국의 연 = 4 2. 외국의 연 = 9 C. 현대인의 조형적 분석 = 16 1. 현대연의 종류 = 16 1) 자연적인 형태 = 16 2) 기하학적인 형태 = 23 2. 현대연의 특성 = 28 1) 입체지향성 = 28 2) 가변조형성 = 28 3) 집합조형성 = 30 4) 재료의 확산 = 31 3. 비행의 원리 = 32 1) 비행기의 발명과 연 = 32 2) 공기와 바람 = 33 3) 기온과 바람 = 34 4) 지형과 바람 = 34 5) 揚力과 抗力 = 35 6) 전후의 안정 = 36 7) 좌우의 안정 = 36 Ⅲ. 작품제작 및 분석 = 38 A. 작품제작 = 38 1. 재료 = 38 2. 형태 = 38 3. 제작과정 = 39 B. 작품분석 = 42 Ⅳ. 결론 = 54 참고문헌 = 56 ABSTRACT = 5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89454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c.subject-
dc.subject조형-
dc.subject제작가능성-
dc.subjectkite-
dc.title연의 조형적 제작가능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Experimental study on the possibility making modeling of kite-
dc.creator.othernameJun, Won Hee-
dc.format.pagexi, 6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염색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86.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염색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