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순혁-
dc.contributor.author이경단-
dc.creator이경단-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3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3Z-
dc.date.issued198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63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28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631-
dc.description.abstractThe rold of the food-life space of our spaces for residence has not been regarded as so important, compared with any other space, and has been regarded as only a means for solving the meal of a family. However, since the industrialization, the sanitary side of the food-life space and the labor in it have been considered highly, and so today it is in a great development-state in the light of its functional side. Especially the proper utilization of the food-life space is being expanded gradually toward the centralization in a residence as a place for the actual behavior of a family.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investigating the right faculty of the functional food-life space which is fit for our living style and so can afford a pleasant atmosphere, and which reflects the user's personality and so can afford a psychological comfort-sence by aesthetic appeal. The unfolding course is as follows. In the 2nd Chapter, I established the concepts of a kitchen and a dining room in order to grasp the meaning and basic concept of food-life space, and I investigated how the food-life space mixed with these was put to practical use under today's actual circumstances. In the 3rd Chapter, I tried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s of users' taste and contentment degree The result is as follows. 1. Most users expressed contentment about the size of a workstand, but expressed discontentment about the whole length. 2. Most users expressed positive response about the size of furniture, but expressed discontentment about the style, the color, and the practicality. Also much percentage(%) of users indicated the insufficiency of quantity. The inclination for style was shown as a style of beeline, that for color was shown as a orchid system, and that for materials was shown as wood. 3. The color of food-life space turned out to be white > yellow-green > green. Materials turned out to be tile (Wall), Wallpaper (ceiling), and wood (floor), in meal space. 4. The application-degree of light was not so high. I found that on the whole, the side of aesthetic function fell behind the side of physical function, in Food-life space. In the 4th chapter, I presented the direction for improving problems extracted from the investigated and analyzed contents.;우리의 주거공간중에서 식생활공간의 역할은 단지 가족의 식사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다른 공간들에 비하여 중요하게 여겨지지 못하였다. 그러나 산업화이후 식생활공간의 위생적인 면과 노동에 대한 고려로 오늘날에 이르러서는 많은 발전을 보게 되었다. 특히 오늘날 식생활공간의 이용은 가족의 실제적인 단란의 행위를 위한 장소로 주거내에서 점차 중심화의 방향으로 확대되어 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쾌적한 식생활공간의 제공을 위해 우리의 생활양식에 맞는 기능적이며 사용자의 개성을 반영한 미적어필(Appeal )로 심리적 안락감을 줄수있는 옳바른 기능을 고찰하고자 다음과 같이 전개시켰다. Ⅱ장에서는 식생활공간의 의의와 기본개념을 파악하기 위하여 부엌과 식당에 대한 개념의 정립과 이들이 복합된 형태가 오늘의 현실속에서 어떤 유형으로 활용되고 있는가에 대하여 고찰하였고 Ⅲ장에서는 사용자의 기호도 및 만족도에 관한 실태조사와 이에 따른 분석을 시도한바. 1. 작업대칫수에 있어서는 대체로 만족하지만 그중 전체길이에 대해서는 대다수가 불만족하다고 나타났으며 2. 붙박이가구에 있어서는 칫수는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형태, 색채, 실용성의 면에서는 불만족을 나타내었으며, 저장량은 많은 율(%)이 부족하다고 나타났다. 형태의 선호도는 직선형적 경향을 보였고, 색채는 재료의 자연색, 재료는 나무로 나타났다. 3. 식생활공간 주색의 선호도는 흰색>미색>녹색이며, 재료는 조리공간에서 타일(벽), 벽지 (천장), 목재 (바닥)이고 식사공간은 벽지 (벽) 벽지 (천장), 목재 (바닥)으로 나타났다. 4. 조명의 활용도에서 전체조명은 높은 율을 보였으나 부분조명의 활용도는 대체적으로 낮았다. 전체적으로 식생활공간에서 물리적기능면 보다 미적기능면이 뒤떨어졌음을 알 수 있다. Ⅳ장에서는 조사분석된 내용에서 추출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향을 면적, 작업대, 가구, 색채에 관하여 제시하는 것으로 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3 Ⅱ. 식생활공간의 일반적 의의와 특성 = 4 A. 식생활공간의 개념 = 4 B. 식생활공간의 유형 = 12 C. 식생활공간의 속성 = 19 Ⅲ. 식생활공간의 조형적 실태조사 = 33 A. 조사개요 = 33 B. 조사내용 분석결과에 관한 고찰. = 36 C. 조사현황에 의한 종합분석 = 57 Ⅳ. 분석결과에 의한 개선방향의 제의. = 61 Ⅴ. 결론 = 67 참고문헌 = 69 부록 = 71 ABSTRACT = 8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7646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c.subject아파트-
dc.subject식생활공간-
dc.subject구성요소-
dc.subject기호도-
dc.title아파트 식생활공간의 구성요소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기호도에 대한 실태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Study of Constituent Elements of the Space for Food Life in an Apartment : Centering Around the Actual Conditions of Taste Degree-
dc.creator.othernameLee, Kyung Dan-
dc.format.pageix, 9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실내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84.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