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문영일-
dc.contributor.author趙貞蘭-
dc.creator趙貞蘭-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3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3Z-
dc.date.issued1983-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62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27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628-
dc.description.abstractRecently many studies and development of allergology especially in allergic rhinitis have been carried out and clinically correct diagnosis is most important. Diagnostic procedures for allergic rhinitis are detail history taking, anterior rhinoscopic examination and skin test for specific allergen extract but detail history taking is most import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guidance of diagnosis and treatment for allergic rhinitis. This paper presents a clinical study of 52 cases of allergic rhinitis, they were diagnosed as allergic rhinitis at allergy clinic of Ewha Womans University from September, 1981 to February, 1983. The results are as follow; 1. Male to female ratio is 1 : 1.3 and peak age incidence is in the age group 21 to 30 and 31 to 40. 2. Predominant symptoms are nasal obstruction, watery rhinorrhea and sneezing. 3. Seasonal predominance is not observed and in 65.4% the allergic symptoms sustain throughout the year. 4. Family history for other allergic diseases is 55.8% of allergic rhinitis. 5. The color of nasal mucosa is pale in 63.4%, normal in 32.8% and congestion in 3.8%. 6. Finding of P.N.S X-ray is normal in 65.7%. 7. Eosinophilia in blood is 15.4% and serum IgE level increases in 56.4%. 8. Positive response for allergic skin test is 65.5%. 9. Common positive allergens are house dust mite in 55.7% and house dust in 44.2%.;알레르기는 19세기 초 하나의 독립된 학문으로 발전하게 되었고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알레르기성 질환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본 논문은 알레르기성 비염의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되고저 1981년 9월부터 1983년 2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이비인후과 알레르기 진료실을 방문한 환자중 알레르기성 비염이 의심되어 피부반응검사를 시행하고 설문조사에 응한 52명을 조사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남녀의 비는 1 : 1.3이었으며 20대와 30대의 연령층이 가장 많았다. 2. 증상은 비폐색(88.5%), 수성비루(80.7%), 재채기(78.8%)가 주 증상이었고 과거력은 빈번한 감기증상(78.8%), 안소양감(59.6%), 기침(51.9%)의 순으로 나타났다. 3. 알레르기성 비염의 증상은 비계절적인 경우가 34명(65.4%)으로 계절적인 경우 18명 (34.6%)보다 많았다. 4. 가족력상 알레르기성 질환이 있는 경우는 29명(55.8%)이었다. 5. 비점막 소견상 창백 33명(65.4%), 정상 17명(32.8%), 자색 2명(3.8%)이었다. 6. 부비동 X-선 소견상 정상 23명(65.7%), 부비동 점막비후 및 혼탁 12명(34.3%)이었다. 7. 혈중 호산구 증가는 6명(15.4명)이었고 1gE 농도가 증가한 경우는 22명(56.4%)이었다. 8. 알레르기성 비염의 피부반응 양성률은 대조균에서는 26.6 %였으나 조사군에서는 65.5%였고 6종이상의 양성반응을 나타낸 경우는 16명(30.7%)이었다. 9. 피부반응검사상 먼지 진드기에 양성인 경우 29명(55.7%), 집 먼지에 양성인 경우 23명(44.25)의 순이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Ⅱ. 연구대상 및 방법 = 3 A. 연구대상 = 3 B. 연구방법 = 3 Ⅲ. 연구성적 = 5 A. 연령 및 성별분포 = 5 B. 임상증상 = 6 C. 계절적 분포 = 7 D. 가족력 = 7 E. 비점막 색조 = 8 F. 부비동 X-선 = 9 G. 혈중 호산구수 및 IgE농도 = 9 H. 피부반응검사 = 10 Ⅳ. 고안 = 14 Ⅴ. 결론 = 18 참고문헌 = 19 *ABSTRACT* = 22 별첨 = 2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9159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알레르기성-
dc.subject비염-
dc.subjectALLERGIC RHINTIS-
dc.subject.ddc600-
dc.title알레르기성 비염 환자의 임상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LINICAL SURVEY FOR ALLERGIC RHINTIS-
dc.creator.othernameCho, Jung Ran-
dc.format.pagevii, 2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198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