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8 Download: 0

水墨畵의 抽象性 硏究

Title
水墨畵의 抽象性 硏究
Other Titles
Research on Abstractness of India-ink Painting
Authors
金惠瑛
Issue Date
1983
Department/Major
대학원 회화학과
Keywords
수묵화추상성회화추상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
Abstract
現代에 와서 美術의 傾向은 槪念에로의 길이 폭 넓게 펼쳐 있고 混沌多樣한 變轉의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東洋畵가 가지는 理念 探究와 새로운 造形樣式을 올바르게 受容하려는 움직임이 共存하고 있는 오늘의 現代狀況 속에서 傳統의 水墨畵가 現代 水墨畵로 發展하기 위해서는 世界的으로 共感을 얻을 수 있는 藝術世界를 成立해야 하며, 이를 위해에는 水墨畵 自體가 지닌 本源의 精神性을 깊이 理解하고 樣式的 踏襲에서 脫皮해야 한다. 따라서 李考에서는 이러한 의식 아래 그 歷史的인 文獻과 資料의 硏究를 通하여 먼저 水墨畵의 抽象槪念을 規程 짓고, 佛敎의 禪思想과 老ㆍ莊子의 道家思想을 槪觀하여 봄으로서 水墨畵의 抽象精神을 省察하고자 하였다. 또한 中唐時代로 부터 傳統과 創造의 複合狀況 속에 있는 오늘의 時點에 이르기까지의 變轉過程을 그 時代의 흐름과 作家들의 作品을 比較 硏究하여 봄으로서 水墨畵를 現存的 위치에서 再照明해 보고자 하였다. 東洋圈ㆍ西洋圈이라는 區別된 테두리를 벗어나서 이제 東洋ㆍ西洋의 만남이 그 깊이와 넓이를 더해가고 있는 이즈음에 이 時代는 世界的으로 認定될 수 있고 共感될 수 있는 새로운 우리의 것을 要求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오늘의 作家들에게 주어진 課題는 올바른 「韓國畵」ㆍ「現代 水墨畵의 成立」에 있겠다. 本人 역시 이러한 課題를 痛感하며 韓國의 自然을 바탕으로 그 속에 內在되어 있는 心像ㆍ精緖的인 感興을 「自然 Ⅰ, Ⅱ, Ⅲ, Ⅳ」에서 表現하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抒情性을 지나 「風景 Ⅰ, Ⅱ, Ⅲ」에서는 그 소재를 生活 주변에서 찾아 卽興的인 感性이나 偶然의 效果보다는 배우는 자세로 철저히 硏究 分析하는 畵面의 主知的인 構成에 力點을 두었다. 이러한 一連의 作品들은 本人이 現代 水墨畵를 이루기 위한 의식 아래 制作하고 試圖한 것들이며 이들을 직접 提示, 이미 上述한 理論的 考察과 함께 比較, 批判하여 앞으로의 創作活動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Nowadays art has a strong tendency to conception and shows very complicated transformation. Under the present circumstances in which the research for the idea in oriental painting and the movement to accept properly the new modeling form coexist, the world of art which attracts worldly sympathy should be established in order that a painting in India ink develops, from a traditional one to a contemporary one. And for this we must comprehend profoundly the original mentality of a painting in India ink itself and break from following blindly the conventional forming. Therefore in this paper through studying the historical literature and data with this clear consciousness, priorily the abstraction of a painting in India ink is defined and the abstractness of a India ink painting is reflected by overviewing the Buddhist meditation and the Taoism of Lao-tzu and Chung-tzu. And further by comparison of the currency of the times with the works of the times I intend to re-examine the process of a painting in India ink. I mean that the times is the period from middle Dang to the present age. On these days when contact of East and West's deepening and widening gradually, escaping from the isolation of the two worlds, we need our worldly accepted and are own ne , paintings that sympathized. In view of the fact the problem given to the artists :of today is the settlement of the Korean painting and the modern painting in India ink. I accept this problem sincerely too, so I intend to explain our own nature and the image and emotional feeling in it in my paintings 『Nature I, 11, 111, IV』 and through this delineation of feeling I emphasize on the intellectual forming of the circumferential material in attitude of learning and studying rather than persuing only the unintentional effect and the transitory excitement in my another paintings『 Scenery I, 11, 1111』. These several works I have painted in order to explain the treasure of modern painting in India ink. And I wish it would be a guidance in future working to compare and criticize the above theoretical statement and those several work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