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5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金泰蓮-
dc.contributor.author宋明恩-
dc.creator宋明恩-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1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1Z-
dc.date.issued198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74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26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746-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atterns of three causal attributions, ability, effort, outcome in achievement situations. Two questions were asked: 1. What is the main effect in achievement situations considering three variables, ability, effort and outcomes? Is there any age difference? 2. Are there any interaction effects among those three variables? And what about the age difference? A total of 120 subjects were used in two groups in this study: One group was comprised of 20 preschool children and 50 university female students. The experimenter presented eight situations to the subjects who were asked to judge them in terms of reward and punishment. The situations were stories about children(or students) of their age characterized according to ability (high or low), effort (high or low), and outcome (success or failure) as Weiner et al.(1970) conducted in their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ll three variables appeared to have effects on young children in achievement situation. [ability: F(1, 552)=62.723 P<.01, effort: F(1,552)=754.02 P<.014, outcome : F(1, 552)=1,251.686 P<.01] The interactions between ability by effort F(1,552)=10.962 P<.01, ability by outcome F(1,552)=5.162 P<.05, ability be effort by outcome F(1,552)=8.156 P<.01,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interaction between effort by outcome was not found significant. Compared with the university students, the young children rewarded the success situations much generously (gave more yellow tokens) than the university students while they were severer about failure situation (gave more black tokens). This means young children took the outcome more seriously than the university students did. As to the university students, the main effects-ability, effort, outcome-were significant [each F(1,392)=14.994 P<.01, F(1,392)= 1,186.032 P<.01, F(1,392)=181.364 P<.01] and the interaction effects were not found significant except interaction between ability by effort F(1,392)=28.945 P<.01. High effort was given higher score by the university students than young children while low effort lower score by the university students than young children. University students considered effort a more important determinant than outcome in achievement situations.;本 연구는 成就狀況 ( achievement situation )에서의 歸因模型(attribution pattern )을 3개의 요인 즉 능력 ( ability ) , 노력 ( effort), 결과 ( outcome )로 나누어 살펴보려고 하였다. 本 연구자가 규명해 보려는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成就狀況에서 능력, 노력, 결과의 歸因模型중 어느 것이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는가? 또 이런 歸因模型의 중요성에 대한 차이에는 연령차가 있는가? 둘째, 歸因模型인 능력, 노력, 결과 간에는 어떤 상호관계가 있는가? 또 이런 상호관계에는 연령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는가? 本 실험에는 학령전 兒童과 국민학교 2학년 兒童 각각 20명과 50명 한 집단, 그리고 대학생 50명 한 집단, 모두 두 집단으로 총 피험자 120 명이었다. 두 집단의 피험자들에게 한 사람씩 실험자가 들려주는 이야기를 듣고 그 狀況을 보상( reward )과 벌 ( punishment )로 판단하도록 요구하였다. 이야기는 8개의 狀況이 다른 조건으로 구성된 것인데, 이것은 능력, 노력, 결과가 다르게 서술된 Weiner et al.(1970) 의 실험에서 사용된 것이다. 本 실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학령전 兒童과 국민학교 2학년 兒童의 경우 능력, 노력, 결과 이 세 개의 요인 모두가 유의한 주효과를 나타내었다. 능력과 노력, 노력과 결과, 능력·노력·결과의 상호작용은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노력과 결과간의 상호작용은 발견되지 않았다. 대학생 집단과 비교해 볼 때 학령전 兒童과 국민학교 2학년 兒童 집단의 성공점수에 실패점수를 뺀 점수차가 대학생 집단보다 큰 것으로 보아, 유치원생이 成就狀況에 있어서 "결과"를 중요시 한다는 歸因模型을 알 수 있었다. 대학생 집단의 경우 능력, 노력, 결과 이 세개의 요인 모두 유의한 주효과를 나타내었다. 상호작용은 능력과 노력 사이에서만이 유의했으며, 다른 요인들간의 어떤 상호작용도 발견되지 않았다. 학령전 兒童과 국민학교 2학년 兒童 집단과 비교해 볼 때, 연령과 노력의 상호작용에서 대학생의 노력을 많이한 것에서 적게한 것을 뺀 점수의 차이가, 학령전 아동과 국민학교 2학년 兒童 집단의 차이보다 큰 것으로 보아 대학생은 成就狀況에서의 歸因을 "노력"에 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論文槪要 = ⅴ Ⅰ. 緖論 = 1 Ⅱ. 理論的 背景 = 4 A. 先行硏究의 槪觀 = 4 B. 歸因의 模型 = 8 C. 연구문제 = 10 Ⅲ. 硏究方法 및 節次 = 12 A. 피험자 및 도구 = 12 B. 실험절차 = 14 C. 설계 및 자료처리 = 15 Ⅳ. 結果 및 解釋 = 17 A. 능력·노력·결과에 따른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 = 17 B. 아동집단의 변량분석 결과 = 18 C. 대학생 집단의 변량분석 결과 = 19 D. 능력과 노력간의 상호작용 = 20 E. 연령에 따른 노력의 효과 = 21 F. 연령에 따른 결과의 효과 = 23 G. 연령에 따른 능력과 결과의 효과 = 24 Ⅴ. 要約 및 論議 = 27 參考文獻 = 30 ABSTRACT-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9624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성취상황-
dc.subject귀인모형-
dc.subjectCAUSAL ATTRIBUTION PATTERNS-
dc.subjectACHIEVEMENT SITUATIONS-
dc.title成就狀況에 있어서의 歸因模型에 관한 一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CAUSAL ATTRIBUTION PATTERNS IN ACHIEVEMENT SITUATIONS-
dc.creator.othernameSong, Myung Eun-
dc.format.pagevi, 3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심리학과-
dc.date.awarded198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