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기숙-
dc.contributor.author任姬玉-
dc.creator任姬玉-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1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1Z-
dc.date.issued198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57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26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577-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examine the memorial effects on the children listened the storied told in either Verse or prose form.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following questions of study were given: 1. Will there be any differences in short-term Retention between the children listened the stories tole in either Verse or Prose form? 2. Will there be any differences in long-term Retention between the children listened the stories told in either Verse or Prose form? 3. Will there be any differences in short-term and long-term Retention between boys and girls listened the stories told in either Verse or Prose form respectively? 4. Will there be any correlation between memorial capability and I.Q? To response the above questions, next studies were conducted. Experimental Conditions were divied to two forms, Verse and Prose, Verse form was consisted of three poems, and Prose form was written for each of the three poems with the rhyming phrases reordered across the prose passages. Ten recognition questions were given to recall the key words of the stories as experimental conditions for short-term and long-term memorial task. Experimental procedure was performed as I.Q test, Experimental treatment, short term memorial test and long term memorial test respectively, and all procedure was performed on the individual child in two rooms separately. The subjects were 51 5- and 6-year-old and were almot equally divided in sex, age, numbers. The score obtained by the results of experimental treatment was divided to short-term and long-term memorial test respectively and was confirmed statistically by t-test in order to find out the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and to compare retention between two condition groups. Also,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memorial capability and I.Q of each chil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r were calculated.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are as follows. 1. The Children listened to stories told in Prose form showed higher recall than the children in verse on short-term Retention. 2. One week lat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long term memorial capability test when they use memory strategy. 3. Sex differences was not critical in memorial effects either in verse or Prose form. 4. There was some positive correlation ship between memorial capability and I.Q.;본 연구는 운문형태와 산문형태로 구분되는 두가지 형태의 이야기가 5.6세 아동의 기억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분석하여, 프로그램에 포함된 운문형태의 이야기인 동시의 교육효과와 그 가치를 증명하는데 그 의의를 두었으며, 이런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운문형태와 산문형태의 이야기가 아동의 단기기억에 미치는 효과는 다를 것인가? 2. 운문형태와 산문형태의 이야기가 아동의 장기기억에 미치는 효과는 다를 것인가? 3. 운문형태와 산문형태의 이야기가 아동의 단기 및 장기기억에 미치는 효과는 남아와 여아에게 어떻게 나타날 것인가? 4. 기억능력은 지능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을 것인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조건은 운문형태와 산문형테의 두가지로 구분하였으며, 운문조건은 두개의 동시와 한개의 전래동요를 구성하였고, 산문조건은 세 개의 운문을 평이한 문장으로 푼 것을 각각 사용하였다. 단기기억검사와 장기기억검사는 실험조건으로 사용한 이야기주제의 욧점이 되는 단어를 묻는 10개의 질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절차는 지능검사와 실험처치, 단기기억검사, 장기기억검사의 순서대로 시행하였으며, 모든 실험절차는 집단별로 두 장소에서 개별아동에 대하여 시행하였다. 실험대상자는 5.6세 아동 51명이며, 두가지 실험조건별로 남·여 아동의 수와 지능지수의 분포가 비슷하도록 배정하였다. 실험처치 후 검사결과 얻어진 점수는 단기기억검사와 장기기억검사 결과로 구분하여 집단별로 기억효과를 비교하고 피험자의 성별에 따르는 차이를 알기 위하여 통계적 분석방법으로 각각에 대한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각 아동의 지능과 기억능력과의 상관관계를 알기 위하여 적률상관계수 r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산문형태의 이야기를 들은 아동은 운문형태의 이야기를 들은 아동에 비하여 단기기억 능력이 우수하였다. 즉, 동시와 동요같은 운문은 두번쯤 듣는 것만으로 이야기의 내용을 기억하는 데는 산문형태의 이야기에 비하여 비효과적이라는 것이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들이 교수계획안에 동시를 포함시키기를 주저하는 이유와 일치하는 결과인 것이다. 2. 산문형태와 운문형태의 이야기를 들은 두집단의 아동은 기억전략을 사용한 결과 일주일이 경과한 장기기억 능력에 있어서 의의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운문은 단기기억면에서 산문보다 불리했으나, 장기기억면에서는 산문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므로, 오히려 정보전달방법으로서는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겠다. 3. 운문형태와 산문형태의 이야기의 기억효과는 남아와 여아에게 비슷하게 나타났다. 4. 지능과 기억능력과는 약간의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상을 살펴볼 때, 동시가 아동의 기억을 향상시킬 것이라는 선행 연구들과 마찬가지로, 본 연구는 아동이 동시를 이해하기 어렵다는 선입관 때문에 프로그램에 포함시키기를 주저하는 유아교육기관의 교사들에게 실험적 근거로써 동시를 권장하는 것이다. 즉 동시는 이야기의 주제를 설명해주는 단순한 기억전략을 통해서도 산문과 마찬가지의 장기기억효과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히 아동이 선호하는 이야기형태인 운문을 이야기 나누기 시간이나 휴식시간, 야외학습현장에서 다양하게 포함시키는 것이 새로운 정보의 학습을 위한 더욱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의의 및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및 문제 = 3 C. 연구의 제한성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동시의 정의와 중요성 = 5 B. 기억의 유형 = 8 C. 선행연구 = 14 D. 가설설정 = 20 Ⅲ. 연구방법 = 21 A. 실험대상 및 집단설정 = 21 B. 도구 = 22 C. 실험절차 = 23 D. 자료처리 = 26 Ⅳ. 결과 및 해석 = 28 Ⅴ. 요약 및 결론 = 32 참고문헌 = 35 부록 = 37 ABSTRACT = 4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324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운문-
dc.subject산문-
dc.subject이야기-
dc.subject어린이 기억-
dc.subject.ddc300-
dc.title운문과 산문형태의 이야기가 어린이의 기억에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VERSE OF PROSE FORM PASSAGES ON CHILDREN'S RETENTION-
dc.format.pageviii , 4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8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