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0 Download: 0

원예학문헌의 인용분석에 관한 연구

Title
원예학문헌의 인용분석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ITATION ANALYSIS ABOUT HORTICULTURAL LITERATURE
Authors
김양순
Issue Date
1984
Department/Major
대학원 도서관학과
Keywords
원예학문헌인용분석HORTICULTURAL LITERATURE도서관문헌정보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세익
Abstract
최근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문헌의 양과 도서관에서의 제한된 예산이라는 현실을 보다 효율적이고도 합리적으로 대치해 나가기 위해서는 이들 문헌의 특성과 그 이용자들의 정보에 대한 요구파악이 무엇보다도 우선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원예학자들의 정보요구와 원예학 문헌사이에 존재하는 어떤 상관관계를 밝힘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도서관 봉사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그리고 국내원예학자들의 연구수행상의 참고자료로서 제시하고자 하는 것으로, 학술잡지에 게재된 인용문헌을 분석하는 인용분석방법에 의하였다. 조사범위는 한국 원예학회에서 발행되는 한국원예학회지에 1978년 후반기부터 1983년 전반기까지의 5년동안 발표된 논문 146편에 게재된 인용문헌 총 3,422편중 특히 잡지인용문헌 2,275 편에 치중하였다. 분석방법은 인용된 원예학문헌을 형태별, 잡지명별, 발행국별, 언어별, 연령별, 주제별로 계수하여 분석하였는데, 잡지명에는 논문분산법칙을, 연령에는 이용도감소법칙을 적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국내 원예학자들이 가장 많이 인용하는 문헌의 형태는 잡지로서 전체의 66.6 %였고, 단행본이 12.9 %, 기타자료가 20.5 %였다. (2) 집중적으로 인용된 잡지는 전체 잡지의 4.3 %에 해당하는 13종으로서, 총 인용문헌의 60 %를 수록하며, 가장 많이 인용된 잡지는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로서 전체 인용문헌의 16.5 %를 수록하였다. (3) 가장 집중적으로 인용된 잡지의 발행국은 미국으로서 전체의 46.3 %였고, 일본이 17.3 %, 한국이 11.0%, 영국이 9.1%, 네덜란드가 4.9 %, 덴마크가 3.1 %, 독일이 2.2%, 인도가 1.4%, 카나다가 1.4%, 기타 국가가 3.3%였다. (4) 가장 집중적으로 인용된 잡지의 언어는 영어로서 전체의 68.2%였고, 일어가 16.4 %, 한국어가 11.0 %, 독어가 3.1 %, 불어가 0.5 %, 기타어가 0.9 %였다. (5) 원예학 잡지문헌의 이용도감소율은 약 0.9 %였고, 반감기는 약 7년이었다. (6) 국내 원예학분야의 주제 자기인용도는 광의의 농학으로서는 64.5 %였고, 협의의 원예학으로서는 46.6 %였으며, 타주제에 대한 의존도는 식물학이 21.1 %로 가장 높았고, 생물학, 순수과학, 의학, 화학, 조경학, 식품학, 영양학, 식품공학, 수학, 지학 등과 기타주제에 분산적으로 의존하고 있다.;In reality, the quantity of literature is increasing rapidly and the budget of the library is limited recently. So in order to meet these situations more efficiently and reasonably, first of all, we must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terature and readers' demands for in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clear a certain co-relationship between domestic horticulturists' demands for information and horticultural literature, and on the basis of it, to provide more effective library services and reference tools for the horticultural research to horticulturists. The method of investigation adopted is citation analysis. The present research covers 146 papers report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from late 1978 to early 1983, and puts special stress on 2,275 journal citations. The methods of analysis are by the physical forms of the literature, the titles, the countries and the languages of publication, dates of publication, and the subjects of journal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hysical form of the literature that is used most by domestic horticuturists is journal. And it accounts for 66.6%, book form 12.9%, and other materials 20.5%. Second, thirteen journals are cited most, which make up under 4.3% of the whole journals. They record 60% of all citations from journal and the most cited journal i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and it records 16.5% of all citations from joural. Third, the country that publishes the most cited journals is America. It accounts for 46.3%, Japan 17.3%, Korea 11.0%, England 9.1%, the Netherland 4.9%, Denmark 3.1 % , German 2.2%, India 1.4%, Canada 1.4%, and other countries 3.3%. Fourth, the language of the most cited journals is English. It accounts for 68.2% of the whole, Japanese 16.4%, Korean 11.0% Germany 3.1%, French 0.5%, and other languages 0.9%. Fifth, the obsolescence rate of the joural affecting horticulture is about 0.9%, and its half-life period is about seven years. Sixth, in domestic horticultural science department, the subject self-citation rate is as follows. Agricultural Science in a broad sense accounts for 64.5%, and Horticultural Science in a narrow sense 46.6%. And Botany is depended most highly and accounts for 21.1% and Biology, Pure Science, Medical Science, Chemistry, Landscape Architecture, Food Science, Nutrition Science, Food Engineering, Mathematics, Physical Geography and other subjects are depended dispersed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