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기숙-
dc.contributor.author서정숙-
dc.creator서정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9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9Z-
dc.date.issued198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56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23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56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유아교육 현장에 있는 교사와 교수들의 유아교육교사 양성 교과목에 대한 선호경향과 현행 유아교육교사 양성 교과목들의 설치 현황을 비교함으로써 앞으로 유아교육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내용을 구성하는 데에 필요한 기초 자료가 되고자 하였다. 이런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교사와 교수집단의 교육내용 영역에 대한 선호경향은 어떠한가? 2. 교사와 교수집단의 교과목에 대한 선호경향은 어떠한가? 3. 현행 유아교육교사 양성 교과목의 구성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내 사립 유치원 교사 197명과 전국에 있는 유아교육교사 양성 기관의 교수 6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현행 유아교육교사 양성 교과목은 7개의 4년제 유아교육교사 양성 기관을 대상으로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교사, 교수집단의 교육내용 영역에 대한 선호경향 두 집단은 모두 인간발달, 인간과 환경과의 관계 영역을 가장 비중을 두어 생각하고 있고 새로운 지식의 습득을 위한 기술 영역을 가장 덜 비중을 두어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교사, 교수집단의 교과목에 대한 선호경향 1) 인간발달·인간과 환경과의 관계 영역 - 두 집단 모두 '유아발달과 교육'을 가장 비중을 두어 생각하고 있고 '유아와 지역사회'를 가장 덜 비중을 두어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유아교육의 이론적 배경 영역 - 두 집단 모두 '유아교육개론'을 가장 비중을 두어 생각하고 있고, '비교유아교육'을 가장 덜 비중을 두어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기본 전공내용 영역 - 두 집단 모두 '유아언어교육'을 가장 비중을 두어 생각하고 있고, 특수교육개론을 가장 덜 비중 두어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전문적 기술 영역 - 두 집단 모두 '유아교육현장연습'을 가장 비중을 두어 생각하고 있고, '기악'을 가장 덜 비중을 두어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새로운 지식의 습득을 위한 기술 영역 - 두 집단 모두 '교육평가'를 가장 비중을 두어 생각하고 있고 '교육통계'를 가장 덜 비중을 두어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현행 유아교육교사 양성 교과목의 구성 첫째, 기본 전공내용 영역에 속하는 과목들이 가장 많고 새로운 지식의 습득을 위한 기술 영역에 속하는 과목들이 가장 적었다. 둘째, 7개 대학 중 5개 대학 이상에서 개설하고 있는 교과목은 아동발달, 부모교육, 유아교육개론, 아동교육사상, 유아교육과정, 유아언어교육, 유아수학·과학교육, 유아사회교육, 유아음률교육, 유아미술교육, 기악, 아동복지, 유아놀이지도, 유치원 경영관리, 유아교육연구법 등이었다. 셋째, 7개 대학에서 전공 필수과목으로 개설하고 있는 과목의 수는 전체 전공과목의 약 1/3이었다. 연구 결과, 현행 유아교육교사 양성 교과목의 설치 현황과 교사와 교수의 이에 대한 선호경향은 부분적으로 일치하고 있었으며, 앞으로 유아교육교사 양성 교육내용을 구성하는 데 관련되는 그 밖의 요소들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it first analyzes the present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and secondly it strives to compare the preference trend of the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rofessors against the results of the first analysis. For this study, 197 private kindergaten teachers and 66 professors were surveyed through questionnaires. In addition the curriculums of 7 four-year colleges and universities were analyzed.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A.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Analysis 1. Preference Trend of Teachers and Professors in Educational Area The area of Human Developm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 was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area for both groups. The area of Skills for Acquiring New Knowledge was the least recognized. 2. Preference Trend of Teachers and Professors of the Courses Offered in Each Educational Area 1) Area of Human Developm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Environment. The course of 'Young Children Development and Education' was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course for both groups while 'Young Children and Community' was the least recognized. 2) Area of Theoretical Background of ECE 'Introduction to the ECE' was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course for both groups while 'Comparative ECE' was the least recognized. 3) Area of Basic Content Knowledge 'Language arts for Young Children' was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course for both groups while 'Introduction to the Education for Special Children' was the least recognized. 4) Area of Professional Skills 'ECE Laboratory' was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course for both groups while 'Musical Instruments' was the least recognized. 5) Area of skills for Acquiring New Knowledge 'Educational Evaluation' was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course for both groups while 'Educational Statistics' was the least recognized. B. Results of the Curriculum Analysis 1. The most number of courses belonged to the area of Basic Content Knowledge while the area of Skills for Acquiring New Knowledge contained the least. 2. The courses being developed in over five of the 7 educational facilities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were 'Child Development', 'Parent Education'. 'Introduction to the ECE', 'Thought of Child Education', 'Curriculum of ECE', 'Language Arts for Young Children', 'Mathematics. Science for Young Children', 'Soci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Music and Dance for Young Children', 'Arts for Young Children', 'Administration of Kindergarten', and 'Method of ECE Study'. 3. One-third of the total number of concentration courses offered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was identified as compulsory courses in all of the college and universit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 1 B.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 4 C. 연구의 범위 = 5 Ⅱ. 이론적 배경 = 8 A. 유아교육교사 교육과정 모형이론 = 8 B. 유아교육교사 양성 교육내용의 구성요소 = 13 C. 우리나라 유아교육교사 양성 교과목의 변천과정 = 22 Ⅲ. 연구방법 = 27 A. 대상 = 27 B. 도구 = 29 C. 자료 처리 = 30 Ⅳ. 결과 = 31 A. 유아교육교사 양성 교과목에 대한 선호경향 = 31 B. 현행 유아교육교사 양성 교과목의 구성 = 46 Ⅴ. 논의 및 결론 = 49 참고문헌 = 56 부록 = 60 ABSTRACT =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2008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유아교육교사-
dc.subject양성-
dc.subject교육내용-
dc.subject교육학-
dc.subject.ddc300-
dc.title유아교육교사 양성 교육내용에 관한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f the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dc.creator.othernameSuh, Jeong-Sook-
dc.format.pageviii, 7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8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