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4 Download: 0

한국 대학생의 성공회피동기 연구

Title
한국 대학생의 성공회피동기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MOTIVE TO AVOID SUCCESS OF THE COLLEGE STUDENTS
Authors
김효성
Issue Date
198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심리학과
Keywords
한국대학생성공회피동기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혜성
Abstract
본 연구는 성공회피동기의 개념을 고찰하고 우리나라 대학생을 대상으로 성공회피동기를 연구하고자 다음과 같은 문제를 제기하였다. 1. 성공회피동기 검사에 의해 남, 녀 대학생 각각 및 전체 대학생의 성공회피동기 수준을 측정하고 성공회피 동기 수준과 성별차와의 관계를 알아본다. 2. 성공회피동기 상관연구로서 주성장지, 재수경험, 군복무, 원하는 학교, 학과입학여부, 가정의 경제수준, 부모의 교육수준, 학업·직업지도에 대한 부모의 태도, 전공만족도, 전공능력평가, 장래직업전망, 직업장애요인 11개 변인과 성공회피동기와의 관계를 알아본다. 3. Horner의 여성의 성공회피동기 이론과 방법을 고찰하고 그녀의 연구결과처럼 성공회피동기가 여성 고유의 동기인가 아니면 남·녀 사회역할 갈등의 표현인가를 알아본다. 서울시내 대학생 366명을 대상으로 성공회피동기 검사, 성공회피동기 상관연구 질문지, Horner의 연구 검증을 위한 성공회피동기 투사적 작문법을 동시에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성공회피동기 검사에서 측정된 성공회피동기 수준에는 남·녀에 따른 성차가 없었다. 2. 성공회피동기 상관연구에 있어서 주성장지, 재수경험, 군복무, 부모의 교육수준에 의해서는 성공회피동기 수준과 유의한 관계가 없었으며 원하는 학교·학과 입학여부, 경제수준, 학업·직업에 대한 부모의 태도, 전공만족도, 전공능력평가, 직업전망, 직업장애요인 모두는 성공회피동기 수준과 유의한 관계가 변량분석 결과 검증되었다. 3. Horner의 여성의 성공회피동기 연구 방법은 성공회피동기 외에 남·녀 사회역할 갈등을 함께 수정하므로서 성공회피동기 측정의 타당한 도구가 아니며 성공회피동기란 Horner가 주장하듯 여성 고유의 동기가 아니다.;This research is intended to study the concept of "Fear of Success" and to investigate the general trend of "Fear of Success" among the College students in our country. The relative problems tested are: 1. Administering "Fear of Success Scale", measured the level of Korean College students' Fear of Success and sex differences. 2.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with "Fear of Success", the following 11 variables are sited: the area of one's home town, any previous experience of the failure to enter college military Service, entering the desired college and major, Socio-economic status,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parental attitude toward the school performance and job guidance, satisfaction with the choice of major, self-rating of personal major ability, job perspective, the limiting factor on one's career. 3. Conducting the intensive study on Horner's theory and research, this study is also direct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fear of success the intrinsic feminine motive or the expression of the sex-role stereotype. 366 College students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tests consist of Fear of Success Scale, Fear of Success Correlational Questionnaire and Horner's Projective story Writing to assess Fear of Success imagery. The results shown in this study are : 1. There is no significant sex differences in the level of fear of success. 2. There i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fear of success and the following 4 variables: the area of one's home town, any previous experience of the failure to enter college, military service and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However, the following 7 variables have shown the significant effect on the level of fear of success: entering the desired college and major. Socio-economic status, Parental Attitude toward the school performance and job guidance. satisfaction with the choice of one's major, self-rating of personal major ability, job-perspective and the limiting factor on one's career. 3. This study does not replicate the Horner's finding that Fear of Success is the intrinsic feminine motive. On the con- 원문누락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