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2 Download: 0

학령기 환아의 일반적 공포감과 어머니의 정서적 불안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Title
학령기 환아의 일반적 공포감과 어머니의 정서적 불안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STUDIES ON THE GENERAL FEARFULNESS OF HOSPITALIZED SCHOOL-AGE CHILDREN AND THEIR MOTHER'S EMOTIONAL ANXIETY
Authors
노승옥
Issue Date
1983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학과
Keywords
학령기공포감어머니정서적 불안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문실
Abstract
학령기 환아의 일반적 공포감과 어머니 정서적 불안을 정상아 집단과 비교하고 분석하여 학령기 환아를 위한 포괄적이고 과학적인 간호방법을 모색하는데 기여 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기간은 1983년 9월 5일부터 동년 10월3일까지 였으며 환아군으로 서울시내 3개의 대학부속병원에 입원해 있는 정신질환아를 제외한 7세에서 12세의 학령기환아 81명과 병원에서 그들을 돌보고있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고, 정상아군으로 서울시 도봉구에 소재하고 있는 H국민학교에 재학중인 아동 95명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Spielberger의 STAI와 Geer의 FSS-Ⅱ를 사용하여 설문조사의 방법으로 수집된 자료는 S.P.S.S Program에 의하여 X^(2)-test, t-test, 분산 분석,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환아의 어머니가 정상아의 어머니보다 정서적 불안이 높았다(P=0.000). 2. 환아가 정상아보다 일반적 공포감이 높았다(P=0.000). 3. 환아군의 일반적 특성 중에서 아동연령, 아동성별, 어머니연령, 및 어머니 입원경험은 일반적 공포감과 유의한 관계가 있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7~9세의 환아가 10~12세의 환아보다 일반적 공포감이 높았다(P=0.020). 나. 여아가 남아보다 일반적 공포감이 높았다(P=0.037). 다. 어머니의 연령이 낮을수록 환아의 일반적 공포감은 높았다(P=0.0059). 라. 어머니가 입원경험이 없으면 환아의 일반적 공포감은 높았다(P=0.014). 4. 환아의 어머니의 기질불안이 높을수록 상황불안도 높았다(r=0.694, P=0.000). 5. 어머니의 정서적 불안과 환아의 일반적 공포감과는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r=0.1184, P>0.05).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학령기 환아의 일반적 공포감은 어머니의 정서적 불안뿐만 아닌 다른 환경적 요소에 의하여 복합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가 요구된다.;The general fearfulness of hospitalized school-age children and the emotional anxiety of their mothers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to those of normal children and their mothers, in order to provide theoretical basis for establishing comprehensive nursing care of hospitalized children including their mothers.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from Sept. 5th to Oct. 3rd, 1983. A total of 81 hospitalized children and their mothers were investigated and 95 normal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ir mothers as control group were surveyed. The general fearfulness of children and the emotional anxiety of their mothers were measured through questionaire by using Geer's FSS-II scale and Spielberger's STAI scale, respectively.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computer using S.P.S.S. program and summarized as follows: 1. The emotional anxiety of the mothers of hospitalized children was greater than that of normal children's mothers. (P=0.000) 2. The general fearfulness of hospitalized children was greater than that of normal children (P=0.000) 3. The general fearfulness of hospitalized children varied with children's age and sex, mother's age and mother's experience of hospitalization. a) The general fearfulness of the hospitalized children at the age of 7-9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age 10-12. (P=0.020) b) Girl's scored greater fearfulness than boys. (P=0.037) c) The younger mother's age resulted in the higher children fearfulness. (P=0.0059) d) When the mothers did not have experience of hospitalization, the children's fearfulness was high. (P=0.014) 4. The anxiety-state of hospitalized children's mother was proportionally reacted to their anxiety-trait. (r=0.694, P=0.000) 5.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emotional anxiety and their hospitalized children's general fearfulness failed to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r=0.1184, P>0.05)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general fearfulness of hospitalized children was affected by environmental factors beside mother's emotional anxiety. An extensive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general fearfulness of hospitalized children is need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