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14 Download: 0

색채 주도형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의 제안

Title
색채 주도형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의 제안
Authors
류현선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산업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영식
Abstract
최근 건축물들이 고층화, 대형화됨에 따라 엘리베이터가 건물의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되어지고 있다. 이와 함께 고객의 욕구는 더욱 다양화, 특성화되고 기업은 기술측면의 선행과제 이외에 고객의 감성에 부합하는 디자인을 개발해야 하는 부가적인 과제를 안게 되었다. 특히 주문 생산 방식의 고급 엘리베이터 디자인의 경우 고객의 감성에 정확하게 부합해야 하며, 단기간에 결과를 도출해야만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엘리베이터 개발 특성을 고려한 감성 디자인 전개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단순한 기능과 정형화된 구조를 가진 엘리베이터는 패션디자인과 같이 색채와 재질이 디자인의 모티브가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감성이미지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색채를 체계적으로 계획하여 고객과의 감성의 폭을 좁히는 과정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색채위주 디자인 프로세스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객의 요구사항을 기능적인 면과 감성적인 면으로 나누어 정확하게 파악한다. 둘째, 디자인 트랜드를 중심으로 전반적인 시장조사를 하여 디자인 방향을 설정한다. 셋째, 본격적인 디자인 작업에 앞서 개념적 디자인을 전개한다. 이는 색채계획, 재질계획, 그리고 코디네이션 계획을 포함한다. 고객의 니즈를 반영한 색채계획을 통해 디자인에 적용될 색채를 추출하고 배색을 계획한다. 넷째, 개념적 디자인 전개과정을 고객과 함께 공유하여 디자인 방향을 검토한다. 다섯째, 구체적인 형태 디자인 작업을 진행한다. 이때 초기 설정한 색채와 재질을 다양하게 적용시킨다. 여섯째, 구체적인 디자인 결과물을 평가한다. 평가 기준은 초기 설정한 언어 이미지로 초기의 개념이 결과물에 적절히 반영되었는지를 검토한다. 형태위주의 디자인 프로세스는 고객과의 감성의 폭을 좁히는 선행적인 작업의 부재로 여러 번의 시행착오를 감수해야만 했다. 그러나 색채계획 위주의 디자인 전개방법은 기존의 전개방법보다 유연하여 디자인 트랜드 적용이 용이하다. 따라서 고객의 니즈를 정확하게 예측하는데 효과적이며 적은 비용으로 디자인 전개를 다양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설정된 초기 이미지 컨셉은 결과물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제품디자인 개발과정에서 형태디자인에 비해 비교적 소극적으로 다루어졌던 색채를 감성이미지 전달의 중요한 요소로 활용함으로써 그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색채계획의 과정을 체계적으로 정리함으로써 실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디자인 개발 과정을 통해 고객의 참여는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어 고객 지향적인 디자인 개발을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ver-increasing height and size of the modern skyscrapers have made elevators an important architectural element both functionally and aesthetically. Therefore, more and more customers are demanding designs that are diverse and unique with distinctive features adding on to the manufacture job of finding engineering solutions with the task of developing extensive designs to meet these demands. Especially, custom-designed elevators for upper-end market require more accurate assessment of customers aesthetic tastes and needs, and in most cases, a very short design lead-time. This paper explores and looks into the development method for the sensory-based designs for such elevators. With straightforward mechanical performance requirements and heavy emphasis on standardized structure, elevator design leaves very little room for any imaginative form exploration and/or creative design expression. Hence, the surface finishes and material color selections become the deciding factors in the final designs similar to that of fashion design method where motifs are mainly based on color and textu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systematical color schemes plans, which have deep relations to emotion-sense, and try to bring human sensory-based design process to practical reality. The color-based design process that is being presented in this paper is as follows: Fully comprehend the customer s requirements/demands by categorizing them into either functional- based need or sensory- based need. Do market study centered on the design trend, and decide on the design direction. Develop the design concept before going into the actual designing . This includes color, texture and coordination planning. From the color planning, extract the colors that will be applied and make color schemes. Go through the design concept development process and the design direction with the customer. Proceed in producing the actual design. Variously apply all the selected colors and textures. Evaluate the design outcome. The image key words selected in the initial stages are used as the criteria to see how well the concept was reflected in the design outcome. Conventional form-based design processes did not include the preliminary design steps of human sensory-based process, and therefore had no choice but to go through trial and error. However, this type of color coordination based design process is more flexible to apply contemporary design trend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process. Thus, making it possible to effectively and accurately assess the customer s needs, and develop various types of designs with little expense. Also, the initial image concept can be used as a criterion in evaluating the design outcomes.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that it explores and defines color, which hasn t been dealt enough up to now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form/structure in Product Design development process, with importance underlined as a major element in sensory-based design. Furthermore, it provides a systematic color planning process so that it can be applied in design practice. Through such design development process customers can naturally take part in the design process, which can also be applied in developing customer oriented design process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