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중술-
dc.contributor.author김인주-
dc.creator김인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6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6Z-
dc.date.issued198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80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20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807-
dc.description.abstractThis is a study to find out if Loevinger's Sentence Completion Test, which is one of the prevalent projective techniques, has any usefulness to apply to Korean clinical population as a clinical instrument. SCT is the most frequently used clinical evaluation battery for group personality assessment except MMPI. It provides the stems or sentence fragments to be completed by the subject. The contents and constructions of the items and instructions vary with the method of classifying the responses. As contents of the items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specific clinical research purpose and as itself can be a method for group administration, the economy and flexibility are its characteristics. And it also is suitable for persons lacking of verbal expression ability or imagination which are essentials for TAT or Rorschach Test. There are various kinds of SCT but I choose Loevinger's because it has well developed, convincing scoring system and because ego development can only be measured by it. The problems dealt with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s there any correlation between their ego level and diagnosis when the psychiatric patient subjects in Korea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diagnosis. 2. Does each of the five categories have any relationship with the total ego level? Among the 50 items in SCT, the items associated with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ex role identity, self concept, authority figure, stress and problem area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3.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level and total ego level, or (land) between educational level and each ego levels of above five categories in clinical population in Korea. 4. In comparison with MMPI what area does it particularly measures, and is there any overlapping area between them? To explore the answers of above questions I selected 100 in and out-patients from 4 General hospitals and 2 mental hospitals to administrate SCT and M.M.P.I. Pearson's r is used to get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The results are; 1. The correlation between TPR & diagnosis was significant. (r=.27 P<.003) 2. a. The correlation between authority figure and TPR was significant, (r= .67 P<.001) b. The correlation between sex role identity and TPR was significant. (r = .662 P<.001) c. The correlation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TPR was significant. (r = .53 P<.001) d. The correlation between self-concept and TPR was significant. (r = .59 P<. 001) e. The correlation between stress and problem and TPR was significant. (r = .65 P<.001) 3. The correlation between stress and problem and educational level was very significant. (r = .42 P<.001) 4. It did not showing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PR and 13 M.M.P.I. scale scores.;본 연구는 투사적 기법의 하나인 Loevinger의 문장완성 검사를 한국 임상집단에게 실시하여 그 임상적 도구로서의 유용성을 알아보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히고자 하는 문제들은 다음과 같다. 1. 한국의 정신과 환자들의 진단명과 이들의 자아수준간에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겠는가? 2. 본 연구에서 보려고 하는 5가지 내용군과 관련있는 문항들로 분류할 경우 이들 내용군의 각 자아수준과 총 자아수준(Total Protocol rating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겠는가? 3. 한국 임상 집단에서 교육수준과 총 자아수준. 교육수준과 각 내용군의 자아수준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겠는가? 4. MMPⅠ의 13개 척도 점수들을 이용하여 자아수준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할 경우 척도 점수(T점수)들과 이들의 자아수준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겠는가? 이를 위해 서울시내 4개의 종합병원과 2개의 정신병원에서 수집한 정신과 입원 및 외래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문장완성 실시하였고 이들의 MMPⅠ 기록들을 연구에 사용하였다. 위 연구문제들에서 제기된 상관관계를 밝히기 위해 Pearson의 관계수를 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환자들의 진단명과 이들의 총 자아수준간에는 의의있는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r=.27 P<.003) 즉, 정신증 환자들의 자아수준이 신경증 환자들의 경우보다 훨씬 낮음을 보여주고 있다. 2. 5개 내용군의 자아수준과 총 자아수준간에는 매우 의의있는 정적상관들을 보여주고 있다. 즉, 내용군들에 대한 환자들의 자아수준에 따라 그들의 총 자아수준을 기대할 수 있다. 3. 환자들의 교육수준과 스트레스, 문제등에 대한 이들의 자아수준과의 관계만 제외하고는 모두 보통정도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교육수준과 스트레스, 문제등에 대한 환자들의 자아수준간에는 매우 의의있는 정적상관이 있다. 4. MMPⅠ의 13개 척도 점수들과 이들의 자아수준 간에는 어떠한 상관도 보이지 않고 있다. 따라서 MMPⅠ가 추정하는 차원과 문장완성 검사가 측정하는 차원이 서로 다르다는 것을 제시해 주고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이론적 배경 = 1 B. 자아 발달 단계 = 3 C. 자아발달 이론과 관련된 선행 연구들의 개관 = 7 D. 본 연구와 관련된 선행연구들 = 10 E. 문제진술 = 12 Ⅱ. 연구방법 및 절차 = 14 A. 검사대상 = 14 B. 검사도구 = 15 C. 분석방법 = 15 Ⅲ. 결과 및 해석 = 18 Ⅳ. 요약 및 논의 = 25 참고문헌 = 27 부록 = 29 ABSTRACT = 3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9481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문장완성-
dc.subject임상적 활용-
dc.subjectSENTENCE COMPLITION-
dc.title문장완성 검사의 임상적 활용에 관한 일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LOEVINGER'S SENTENCE COMPLITION TEST AS A CLINICAL INSTRUMENT-
dc.creator.othernameKIM, Enn-Joo-
dc.format.pagevi, 3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심리학과-
dc.date.awarded198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