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0 Download: 0

3~7세 아동의 수평·수직 개념 발달에 관한 연구

Title
3~7세 아동의 수평·수직 개념 발달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development of horizontal and vertical concept of the boys in Korea at three to seven age
Authors
한미경
Issue Date
1985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수평 개념수직 개념아동공간 개념Piaget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경우
Abstract
수평·수직 개념은 아동의 공간 개념 중 유클리드 공간에서 기초가 되는 개념이다. 본 연구는 3~7세 남아의 수평·수직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자, 반응 양식과 실험 조건을 변인으로 하여 실험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첫째, 우리나라 3~7세 남아의 수평·수직 개념 수준이 Piaget가 제시한 발달 수준과 일치하는지 살펴보고, 둘째, 아동의 수평·수직 개념은 3가지 반응양식(보고알기-recognition, 보고 그리기-drawing, 예측하여 그리기-anticipation)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며 셋째, Piaget의 실험 조건과 Perner-Kohlmann-Wimmer의 실험 조건에 따라 명칭과제를 실시했을 때 아동의 수행력에 차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사립유치원 1개교, 국민학교 병설 유치원 1개교, 그리고 국민학교 1개교를 선정하여 그곳에서 만 3~7세 남아를 각 연령당 15명씩 전체 75명을 무선 표집하였다. 실험 도구는 수평·수직 개념을 측정하기 위하여 Perner-Kohlmann-Wimmer가 제작한 과제를 사용하였고, 각 피험자와 개인 면접을 통해 제시하였다. 피험자가 보인 반응은 보고 알기와 명칭 과제에서는 옳은 반응을 1점, 틀린 반응을 0점으로 처리하였고, 보고 그리기와 예측하여 그리기에서는 피험자가 그린 사물의 각도를 재어 기준선에서 양쪽으로 22.5°이하로 이탈 했을때는 1점을, 그 이상의 이탈은 0점으로 처리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백분율과 두변인이 반복 측정된 3원 변량 분석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 3~7세 남아의 수평·수직 개념 수준은 Piaget가 제시한 것과 비교할 때, 수평은 일치하고 수직은 일치하지 않았다. 수평의 경우 7세 아동에게 수직식 그리기 경향이 나타났으나, 수직의 경우 Piaget가 제시한 9세보다 저연령인 7세경에 이미 개념이 획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반응양식에 따라 아동의 개념 획득 시기는 다르게 나타났다. 각 반응양식별로 수평·수직 개념의 획득 시기를 보면, 보고 알기에서는 7세와 3세, 보고 그리기에서는 6세와 5세, 그리고 예측하여 그리기에서는 7세 이후와 7세로 나타났다. 따라서 수직과제에서는 획득시기가 보고 알기, 보고 그리기, 예측하여 그리기 순서로 빠르게 나타나며 수평과제에서는 보고 그리기, 보고 알기, 예측하여 그리기 순서의 빠르기로 나타났다. 또 전반적으로 수평개념보다 수직개념이 더 빨리 획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Piaget와 Perner-Kohlmann-Wimmer의 실험조건에 따라 명칭 과제를 실시한 결과, 두 조건에서 아동의 명칭 사용 능력은 의의 있는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 수직과제의 경우 Piaget가 주장한 아동의 그릇된 명칭 사용 경향은 나타나지 않았고, 3세 아동도 "삐뚤어진것"과 "똑바른 것"의 구분이 가능했다.;This study is made on the children's development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concept, in expectation of providing more comprehensive and well-organized basic data on children's development. And the data herein are resulted from the study focused on the degree of concept acquisition by age group according to the response modes and experimental & situational conditions suggested herein. The study is categorized in two groups. One aims to study the current level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concept of the boys in Korea at their ages of three to seven and also to study the developmental lag in their acquisition of the concept in each experiment of recognition, drawing and anticipation. And the other is to replicate the previous studies by comparing, in the level task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al condition of Piaget and Perner-Kohlmann-Wimmer. The subjects of the experiment numbered 75 and were provided by sampling 15 boys at each ages of three to seven. By applying experimental instruments developed by Perner-Kohlmann-Wimmer. ExperimentⅠ tested the accomplishment in response modes and ExperimentⅡ tested the same in label tasks. When the deviation of a drawing is within the range of 22.5° from fiducial material, it was given one mark and other-wise no mark. To check statistical significance, percentage and Three-way ANOVA were used. In conclusion, the findings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ExperimentⅠ - Each experiment for respond modes of recognition, drawing, and anticipation developed its own results of concept-acquiring ages. That was, the age was 3 in the vertical and 7 in the horizontal in the response mode of recognition, and each 5 and 6 in drawing, and 7 and later than 7 in the anticipation. ExperimentⅡ - (label task) In the tests of children's ability to choose the correct picture for a given label - "tipped" and "straight" by using the two suggestions of Piaget and Perner-Kohlmann-Wimmer, the two suggested conditions mad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arks. This implies that Piaget's view that children are using the label contrary to that of adults is declin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