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경우-
dc.contributor.author이문준-
dc.creator이문준-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4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4Z-
dc.date.issued198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56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18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56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유아의 신체. 정서 및 사회성 발달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대소변 가리기의 훈련 실태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선정하였다. 1. 대소변 가리기 훈련에 대한 훈련 실시자의 계획성은 어떠한가? 2. 대소변 가리기 훈련의 실제상황은 어떠한가? 3. 훈련 실시자의 배설습관 형성태도는 어떠한가? 4. 전통적 대소변 가리기 훈련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이상의 문제를 알아보기 위해 대도시(서울특별시), 중소도시(청주시, 태백시), 농촌(충북 영동군)에 거주하는 6세 이하의 유아를 키우고 있는 20∼30세 31세 이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질문지조사를 실시했다. 질문지는 대소변 가리기 훈련과 육아 관행에 관한 연구를 참고하여 본 조사자가 만들었다. 조사결과 대도시, 중소도시, 농촌에서 수집된 자료는 어머니의 연령에 따라 20∼30세와 31세 이후의 두 집단으로 나누어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으며, 필요에 따라 평균치를 구하고, 지방별·분석도 하였다. 조사에 의하여 수집된 내용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훈련실시자의 계획성을 보면 31세 이상의 어머니들이 20∼30세 보다 계획을 세워서 실시하는 비율이 좀더 높았으나 전체적으로 연구 집단 부모들의 반 이상(63.3%)이 유아 대소변가리기 훈련에 대해 특별히 계획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발달단계상 시기가 되었다고 생각되면 대다수(86.0%)가 훈련을 시키고 있었다. 훈련의 주요 담당자로는 어머니가 대부분이었으나, 20∼30세에서는 아버지의 참여 (3.4%)가 약간 있었고, 31세 이상에서는 아버지의 참여가 전혀 없는 대신 할머니의 참여는 더 많았다. 훈련시 참고로 사용한 것은 다양한 분포를 보였으나 어머니의 연령별 차이를 보면 두 집단 모두 가장 많았던 할머니의 조언 다음으로 20∼30세에서는 이웃의 의견(25.0%), 31세 이상에서는 육아 백과사전(26.9%)이 많았다. 전체적으로는 할머니의 조언(30.7%)과 육아 백과사전(25.3%)이 많았다. 2. 유아의 대소변가리기 훈련실제를 보면 대변가리기 훈련의 시작 시기는 대체로 31세 이상이 조금 더 빨리 시작하고 있었으며 전체적으로는 13∼24개월(58.7%)이 가장 많았고, 평균 시작 시기는 17개월이었다. 또한 대변을 보게 하는 때는 연령에 상관없이 유아의 표정을 살펴서 한다는 비율(77.0%)이 많았다. 대변에 사용되는 도구로는 유아용 변기(68.7%)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데 20∼30세의 사용비율이 31세 이상보다 더 높았으며 용어에 있어서는 전체적으로 '응아'가(83.7%) 가장 높아 유아가 알아듣고 발음하기 쉬운 것을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훈련실시에 소요된 기간은 전체적으로 1주∼l개월(45.0%)이 가장 많았고 평균 소요기간은 2.2개월이었다. 소변가리기 훈련의 실제를 보면 시작 시기는 어머니의 연령에 따른 차이는 없었고 전체적으로 7∼12개월(34.3%)이 가장 많았으며 평균 시작 시기는 15개월로 대변훈련보다 2개월 빨리 시작했다. 또한 소변을 보게 하는 하루중의 시간은 유아의 표정을 살펴서 실시한다.(52.7%)가 높기는 했지만 변의 잦은 횟수때문에 부모가 생각나면 실시하는 비율(23.6%)이 대변(4.7%)때보다 훨씬 높았다. 사용되는 도구로는 20∼30세에서 유아용 변기를 사용하는 비율이 더 높았고 전체적으로도 유아용 변기(59.3%)의 사용이 많았지만 변의 내용상 요강이나 깡통(35.0%)도 많이 사용되었다. 용어에 있어서는 연령에 상관없이 '쉬' (96.3%)가 주로 사용되었다. 훈련 실시에 소요된 기간은 대변훈련과 같이 전체적으로 1주∼1개월(40.3%)이 가장 많았지만 평균 소요기간은 2, 3개월로 대변훈련보다 조금 더 걸렸다. 기저귀의 종류에 있어서는 헝겊기저귀 (94.3%)가 주로 사용되었고 종이기저귀(팸퍼)는 20∼30세에서 좀더 많이 사용되고 있었으며, 연령에 상관없이 평균 사용기간은 14.4개월이었다. 3. 훈련 실시자의 배설습관 형성태도를 보면 대소변훈련 성공시 전체적으로 말로 칭찬하는 비율 (80 7%)이 많았고, 실패시에는 알아듣게 설명하는 비율은 20∼30세(47.7%)보다. 31세 이상(54.2%)의 나이든 층이 좀더 관대했으며, 전체적으로는 알아듣게 설명하는 비율(52.3%)이 높게 나타났으나, 야단치는 비율(34.0%)과 벌이나 때려주는 비율(5.3%)도 않았다. 경험으로 본 대변가리기 훈련의 적당 시기는 7∼12개월이 20∼30세(39.7%), 31세 이상(53.8%) 모두 가장 높았으며. 소변의 경우는 13∼18개월(45.5%)과 7∼12개월(43.2%)이 비슷한 비율로 높았고, 전체적으로 대변(83.7%), 소변(88.0%) 모두 18개월 이내였다. 또한 평균 적당 시기는 대변이 12.7개월, 소변이 10.2개월로 장의 훈련이 방광훈련보다 빠른 유아의 신체적 특성은 무시되고 있었다. 어머니가 생각하는 바람직한 훈련태도로는 전체적으로 유아의 발달상태에 따라 시키되 실수시 알아듣게 설명한다.(60.3%)가 가장 많았지만, 훈련을 실시하되 때로는 야단치거나 벌을 가한다는 비율은 20∼30세가 31세 이상보다 조금 더 높았다. 대소변 실수시 전통적 방법사용에 대한 의견은 전체적으로 반대하는 비율(95.0%)이 절대적으로 높았다. 4. 대소변 실수시 전통적 훈련방법에 대해서는 널리 알려진 것으로 소변 실수시에 키를 쓰고 소금을 받아오게 했는데, 그 방법상 지방별로 약간 다른 것이 몇 가지 있고. 또한 지방에 따라 은행, 토끼, 거미를 독특한 방법으로 먹게 했으며, 대변 실수시에는 닭장앞장 가서 밤에 열번씩 절을 하고 오게 하는 방법이 있었으며, 대부분은 무응답이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everal questions of toilet training for children in Korea.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is parents' plan for toilet training of children? 2. What is practical condition of children's toilet training? 3. What is trainer's attitude about toilet training? 4. What is our traditional toilet training method?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a quota sampling method and the data was collected in the special city of Seoul, the cities of Cheong-ju and Tae-back and the town of Yeong-dong (Cheung Buk). The sample consisted of 300 mothers. The survey instrument was a questionnaire designed by the author. Most of the data was analyzed with number and percentag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ajority of mothers didn't have a special plan for toilet training, but they had a positive concern about toilet training. 2. The practical conditions in toilet training gave the first consideration to children. For instance, the starting period was late and great number of children had their potty. Most parents uses easy words like 'Eung-a' for defication and 'Shii' for urination. 3. The trainer's attitude to toilet training was generous. Most mothers encouraged their children with varbal expression. More than half of Mothers were likely to scold instead of panalise the child who could not do well after their toilet training. 4. Most mothers didn't know traditional method of toilet training except well known methods. The methods are as follows: 1) Mothers let their children put on ki(키)visit neighbors. 2) Mothers let their children put on ki(키)and then visit neighbors to get salt. Neighbors would give them some salt, hitting the ki(키) with stick. Neighbors say, "Do not wet the bed again." 3) According to locality, mothers let their children eat specially prepared gingkos, spiders, and rabbi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및 문제 = 5 C. 연구의 제한점 = 5 Ⅱ. 이론적 배경 = 7 A. 대소변 가리기의 발달과업적 의미 = 7 B. 대소변 가리기의 효율적 지도 = 17 Ⅲ. 연구방법 = 28 A. 연구 대상 = 28 B. 연구 도구 = 32 C. 연구 절차 = 32 D. 자료 처리 = 33 Ⅳ. 결과 및 해석 = 34 Ⅴ. 요약 및 결론 = 58 참고문헌 = 63 부록 = 66 ABSTRACT =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7650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유아-
dc.subject대소변 가리기-
dc.subject유아발달-
dc.subject유아교육-
dc.title유아 대소변 가리기에 관한 일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oilet Training of Children-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유아교육분야-
dc.date.awarded198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