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
dc.contributor.author최영혜-
dc.creator최영혜-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4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4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0472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18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720-
dc.description.abstract한 지역의 문화나 디자인이 세계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지역의 특수성에 따른 문화의 고유한 자주성이 표출되고, 이를 바탕으로 세계적인 가치에 적응하면서 보편적 우수성과 시대성을 표출하여야 한다. 우리의 풍토, 기후, 지형, 사상 등의 영향으로 형성된 전통 사상과 가치 의식은 전일적 자세를 바탕으로 자연주의 인간중심주의 이상주의 그리고 유연하고 수용적 자세를 통해 생명성을 지속시키는 사상이 중심을 이루었다. 특히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전통 조형 정선은 큰 하나의 통일 정선, 개인의 욕심을 억제하고 허를 중시하는 변화 정신 그리고 밝음과 평화와 협동을 중심으로 한 조화의 정신 등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러한 우리의 전통 사상과 의식 조형 정신은 미래의 세계적인 조형 가치의 흐름인 일원 의식, 전체적 사고, 자연 중심, 정선 중시, 특수성 중시 등의 가치와도 일맥상통하고 있어 우리 전통 조형 가치가 미래적 보편성과 세계성에 대한 합당성을 제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한국적 디자인이 현재 세계 시장에서 크게 주목받지 못하는 이유는 한국적 조형의 전개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에 봉착하기 때문이다. 첫째, 한국 문화에 대한 정확한 사료와 자료의 체계적 정립 부족으로 외형적 표현에 치우치기 쉽다는 점. 둘째, 정선문화의 단절과 표면적 접근에서 오는 한국적인 조형의 방향성 문제. 셋째 현대화에의 응용 및 차별화의 어려움 등이 있다. 따라서 우리의 디자인이 세계 속에 진출하려면 우수하고도 세계적인 보편성을 지난 고유한 디자인 가치를 찾아, 미래 환경과의 균형 속에서 발전시키는 열이 시급하다. 여기에서 한국적 미의 표현에 관한 일반적 안위의 탈피와 새로운 시대의 흐름 속에서 우리 전통 조형미의 특정을 디자인의 세계화에 접목시키기 위해서는 전통 조형 가치의 개념을 바탕으로 한국적 디자인을 정립하기 위한 정신과 방법 등의 제사가 필요하다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논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연구자의 의도를 구체화하여 연구하기 위하여 첫째 과정으로 한국인의 조형 의식, 즉 한국적인 것이란 한국인의 타민족과는 다른 삶의 방식과 태도를 의미하는 것이기에 삶의 방식에서 나타난 한국적 사상과 의식의 표현을 사상적 배경과 문양의 형태적 측면과 의미에서 자연 주의, 인간 중심주의, 이상주의적 사상에 배경을 둔 조신시대의 공예와 한옥에 나타난 조형 의식을 연구함으로 한국적 디자인 방법에 있어 본질적 접근을 할 수 있는 기초가 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전통적 의식의 연구로 디자인의 기초에 방향을 제시한다 하더라도 세계적 보편성을 제시해 주는 트랜드의 연구가 동반되지 않고서는 우리의 디자인이 세계 시장에서 합당성을 얻지 못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두 번째 과정으로 트랜드에 적합한 염색 디자인에 있어서의 디자인 소재와 제품을 제시하고자 한다. 2000년대의 트랜드는 그 동안 지속되어 왔던 칼라리스(Colorless)의 분위기에서 벗어나 빛과 움직임, 융합, 리듬감 등을 느끼게 하며, 밝고 상쾌하며 신선하고 가벼운 색상들을 지향하고 있다. 또한 색상들의 겹침, 결합으로 인한 새로운 감각의 표현이 중시되며 색상의 사용에 있어서 빛과 표면 절감과의 관계를 지향하고 있다. 이러한 트랜드 성향은 한편으로는 섬유의 본질적 요소와도 일맥상통하기도 한다. 대부분 투과성을 지난 섬유는 빛의 흐름에 따라 여러 가지 심미적 형태를 표현하며, 드레이프성을 띄고 있어 율동감과 리듬감을 적절히 표현하기도 한다. 이러한 대체적 성격을 갖춘 섬유는 드레이프성이 있는 인테리어 제품인 커튼에서 그 특정이 더욱 잘 드러나고 있다. 이처럼 트랜드경향을 색채에만 적용시키지 않고 섬유라는 소재에 적용 후, 그 소재가 트랜드적 성격을 적절히 표현 할 수 있는 제품 선택에 함께 반영함으로 트랜드의 새로운 해석의 방향을 제시하게 되었다. 또한 트랜드경향의 소재 반영 과정에서 신소재를 도입한 결과 샤워 커튼이라는 아이템을 선정하기에 이르렀다. 예전에 비해 주거 공간의 쾌적함을 지향하는 현대인들이 욕설 환경 개선에의 필요성을 자각한 결과 여러 측면으로 장식성을 부여하게 되었다. 여기에서 욕실의 분위기를 결정 짓는 색채적 요소와 함께 샤워 커튼과 같이 목적성과 장식성을 겸비한 디자인 제품들이 욕설 환경을 장식하게 되었다. 여기에서 목적성을 띈 커튼의 소재, 색상, 문양 면에서의 제한적 요소를 빛, 율동, 겹침이라는 트랜드에 반영하고 한국적 문양을 패턴화 함으로 한국적 조형 의식의 표현과 현대 주거 공간속에서도 가장 서구적 문화공간인 욕설과의 적합성을 고찰해 보았다. 이러한 고찰과 더불어 샤워 커튼의 제한적 요소 중의 하나인 소재의 제한성에서 벗어나, 인간에게 충분한 안정감과 부드러움을 주는 섬유를 소재로 선택함으로 한국적 조형 의식과 더불어 현 트랜드를 섬유에 표현할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를 세 번째 과정으로 삼았다. 투명성이 뛰어난 대표적 섬유인 레이스의 특정을 문양의 표현에 적용하기 위한 기법으로 번 아웃(burn-out)가법을 선택, 응용했으며, 이 기법의 사용이 현트랜드에도 적합함을 고찰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지금까지의 연구를 바탕으로 패턴 제시에만 그치지 않고, 제품으로 제작함으로 디자인과 제품의 연계성도 디자인의 기초 원리에 두어야 한다는 이론의 정당성과 공예와 디자인의 접목성을 시도함으로 나타나는 실용성과 합목적성의 문제 해결의 방안을 제시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문제 해결 방안의 하나로 제품의 목적성의 만족을 위해 섬유의 흡수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수가공 처리를 함으로 좀 더 완성도 있는 염색 공예와 디자인의 접목을 시도했다. 본 연구자는 이번 연구를 통하여 한국적 미의 표현을 우리의 전통생활 의식 속에서 고찰해 봄으로 막연히 문양을 현대화 혹은 타 디자인에 접목시킴으로 인해 도래할 수 있는 문화적 중성의 위험에서 한국적 마를 구할 수 있는 계기가 될 뿐 아니라 전통 조형 의식과 세계적 트랜드의 공통점을 연구하여 디자인의 기초가 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할 수 있었으며, 조형 의식과 트랜드를 디자인 방법으로의 다양한 접근을 시도함에 따라 세계적 합당성과 보편성에 맞는 한국적 디자인 결과물을 얻을 수 있었다. 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에 즈음해서 연구의 범위와 가능성이 확대되어, 작품제작에 있어 발생하는 마감처리와 색채, 가공처리등의 문제를 발견하게 되었으나 뚜렷한 방향 제시를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과 확대된 가능성을 각 분야에서 연계 연구함으로 완성도 있는 한국적 디자인 제품의 제시가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바이다. ; To make a certain region s culture or design have global character, the unique independence of culture follow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should be displayed, and universal excellence and time character should be presented, adapting global value based on it. Our traditional thoughts and value formed by our climate, geography and ideas mainly have naturalism, humanism, idealism and the thoughts of lasting life through flexible and accepting attitude. Especially, Korean traditional modeling spirit is made up of unification spirit, change spirit thinking highly of nullity rather than individual desires, and harmony spirit of brightness, peace and cooperation. All these traditional thoughts and modeling spirit are connected to global modeling value of the future including member spirit, general ideas, nature-based, spirit-based, and peculiarity-based value, and we find that our traditional modeling value can be compatible to futuristic universality and globalism. However, the reason why Korean design has not been highly appreciated so far is related to the following problems. First, there are not enough reliable information on Korean culture, and the systematic establishment of that information is also needed, and it is subject to external expression. Second, the problem of the direction of Korean modeling steaming from the discontinuation of spiritual culture and super facial approaches. Third, difficulties in application to modernization and differentiation. Accordingly, to make our design advanced into the world, we should develop our original design harmonizing with future environment by finding our unique design value having excellence and universality. Hereby, through this study I d like to show that we need to suggest spirit and method for establishing Korean design based on traditional modeling value to apply the characteristics of our traditional modeling beauty to the globalization of design in the flow of escaping general comfort on Korean aesthetic expression and a trend of a new ag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 1 1.1 연구의 목적 = 1 1.2 연구의 내용 = 3 2. 한국적 디자인의 조형 의식 = 4 2.1 공예와 한옥에 나타난 빛과 담백함의 조형 의식 = 6 2.2 공예에 나타난 모순의 조형 의식 = 13 2.3 전통 공예에 나타난 조형 의식의 디자인화 = 18 3. 커튼 디자인 = 23 3.1 커튼의 목적과 효과 = 23 3.2 커튼의 소재에 따른 분류와 특징 = 25 4. 캐미컬 프린트(chemical print)로서의 번 아웃(burn out)프린트 및 안료 프린트(print) = 27 4.1 번 아웃(burn out)프린트 = 27 4.2 안료 프린트 = 34 5. 빛, 율동 이미지를 디자인화한 제품 제작 = 35 5.1 작품 제작 컨셉(concept) = 35 5.2 제작 과정 및 방법 = 38 6. 결론 = 78 참고문헌 = 80 ABSTRACT = 8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90048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한국적 조형의식에서 나타난 이미지에 의한 케미컬프린트(Chemical print)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샤워커튼 디자인 중심으로-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염색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0.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염색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