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동원-
dc.contributor.author張和卿-
dc.creator張和卿-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3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3Z-
dc.date.issued198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79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17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790-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사무직여성의 직업사회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취업여성의 취업태도 형성과정과 관련요인들을 부분적이나마 밝혀보고자 한 것이다. 「인구 및 주택 센서스 보고」(1980)를 통한 사무직여성의 현황 파악에 의하면, 사무직여성들은 대체로 고졸 이상의 학력을 가진 20대 미혼여성으로서 결혼 이전까지라는 기간을 전제로 한 취업을 하고 있었고, 사무직 내의 직종에 있어서는 성별격리 현상이 뚜렷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임의적인 표본추출방법을 통해 추출된 총 취업 기간이 1년 이상인 사무직여성 317명을 대상으로 한 질문지 조사와 면접을 통한 소수의 사례수집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내용에는 가정·학교·직장에서는 직업사회화 과정 그리고 경력지향성을 통해 살펴본 취업의식 등이 포함되었다. 조사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직업사회화 과정을 보면 가정에서는 취업여성의 역할모델이 제공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부모의 기대도 결혼 전 취업으로 한정되어 있는 경향이 있었다. 학교에서는 인문계 고등학교의 경우 취업 교육이 아주 부진하고, 실업계 고등학교에서는 기술교육을 중점적으로 다룰 뿐 취업의식교육은 거의 없고 전통적 여성의 역할을 가르치고 있었다 대학에서의 취업교육은 비정기적이고 산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와같이 가정과 학교에서의 취업준비를 위한 예비사회화가 부족한 상태에서 경제적 이유와 사회경험을 위해 사무직에 취업을 하고 있었다. 또한 직장에서의 직업사회화는 직장의 제도에 따라 큰 차이가 있었다. 국내은행이나 정부기관, 외국직장과 같이 기혼여성을 허용하는 직장에서는 비교적 적극적인 직업사회화가이루어지는 반면, 남녀 차별적 제도를 가지고 있는 대부분의 국내직장에서는 직업사회화가 보조적 직업인이라는 범위에 제한되고 있었다. 그리고 사무직여성의 취업의식은 전반적으로 가정이 우선영역이고 취업은 이차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고졸여성 보다 대졸여성의 경력지향성이 다소 높은 경향이 있었다. 취업의식 형성에는 교육수준과 부모의 기대가 큰 영향을 미쳤고, 직장을 통한 영향력은 연수·재교육 경험, 취업경로, 총취업기간 등의 순서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한국사회의 가부장적 사회구조에서 여성의 직업사회화는 전통적 성역할 규범의 범위 내에 제한되고 있다는 것과 직장의 제도적 여건이 취업여성의 직업사회화에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This thesis was an attempt to verify partly the process how working women had had occupational attitude and relational factors by examining the occupational socialization process of clerical women. According to the present state of clerical women through census data (1980), they generally consisted of unmarried women in twenties who graduated high school and upward. They worked assuming that only the period before marriage was possible and sex segregation was distinctly noted in clerical occupations. The data used this study were collected in September, 1984,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with 317 clerical women and a few case studies. The main contents of the study included the occupational socialization in family, school and workshop, and career consciousness.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ellows : In the process of occupational socialization, family didn't offer role model of working women, and parents' expectation was inclined to be limited to career until marriage. In case of general high school, the education for career was very inactive, and vocational high school laid empasis on the education of technique and yet taught not career consciousness but role of traditional women. The education for career in university was irregular and sporadic. In accordance with this lacking anticipatory socialization for the preparation of career in family and school, women were going to work for economical reason and social experiences. The occupational socialization in workshop depended upon institutional situation. The occupational socialization was being accomplished actively in a few workshops assorting institutional situation for utilizing female manpower positively. However many workshops used clerical women as substitutive manpower for simple and repetitious business. The discrimitive employment like this was institutionalized and made women's short term employment before marriage more universal. And occupational consciousness of clerical women presented that they considered the family primarily and took into account the career secondarily. University graduate women had higher career salience than high school graduate women. The occupational consciousness was affected mainly by education and parents expectation. Above-mentioned results revealed that patriarchal structure of Korean society kept occupational socialization of women within bounds of the norm of traditional sex role, and that the institutional situation of workshop was very significant factor in working women's occupational socializ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문제의 제기 = 1 B. 사무직여성의 현황 = 7 Ⅱ. 이론적 배경 = 16 A. 직업사회화 = 16 B. 여성과 취업 = 21 C. 조사연구를 위한 분석의 틀 = 25 Ⅲ. 연구의 대상과 방법 = 31 Ⅳ. 조사결과의 분석 = 33 A.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33 1. 인구학적 특성 = 33 2. 취업특성 = 36 B. 사무직여성의 직업사회화 = 44 1. 가정에서의 직업사회화 = 44 2. 학교에서의 직업사회화 = 48 3. 직장에서의 직업사회화 = 60 C. 사무직 여성의 취업의식 = 75 Ⅴ. 결론 = 84 참고문헌 = 89 사무직에 취업하고 있는 여성에 관한 조사 = 95 ABSTRACT = 10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52952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취업여성-
dc.subject직업사회화-
dc.subject사무직-
dc.subject사무직 여성-
dc.title취업여성의 직업사회화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사무직 여성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occupational socialization of clerical women-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학과-
dc.date.awarded198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