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8 Download: 0

大學生의 性 役割 觀念에 관한 一硏究

Title
大學生의 性 役割 觀念에 관한 一硏究
Authors
朴善英
Issue Date
1985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심리학과
Keywords
대학생성역할관념일연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혜성
Abstract
本 硏究는 대학생의 性役割 觀念과 適應度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고 아울러 각 영역간의 知覺差에 관하여 조사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叫明하고자 하는 硏究問題는 다음과 같다. 1. 대학생의 性役割 觀念은 어떠한가? 「실제적 나」, 「이상적 나」, 「반대성의 이상적 이성에 관한 기대」등의 각 영역에서 지각된 성역할 관념은 어떠한가? 反對性의 理想的 異性이라고 個人이 知覺한 유형과 實際로 反對性이 理想的 異性으로 知覺한 유형 사이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대학생의 適應度는 어떠한가? 3. 知覺된 性役割 觀念과 適應度 사이에는 어떤 관련이 있는가? 4. 知覺 不一致와 適應度 사이에는 어떤 관련이 있는가?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내 5개 대학교 남·녀 대학생 128명을 대상으로 質問紙 檢査를 하였다. 성역할 관념 측정은 Bem (1974 )이 제작한 Bem Sex Role Inventory (BSRI)를 번안하여 사용하였고, 적응도 측정은 정 원식·김 호권이 제작한 성격진단검사(대학생·성인용)중 적응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조사결과 수집된 자료에 대한 統計的 分析으로는 차이 검증, 적률상관계수, 카이 검증 등의 통계 방법이 사용되었다. 硏究의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性役割 觀念 (1) 「실제적 나」의 영역에서 남자는 "약간 남성적 " 유형으로 여자는 "약간 여성적" 유형으로 지각했고, 「이상적 나」의 영역에서 남자는 "약간 남성적" 유형으로 여자는 "양성적" 유형으로 지각했으며, 「반대성의 이상적 이성에 대한 기대」 영역에서 남자는 "약간 남성적" 유형으로 여자는 "아주 여성적" 유형으로 지각했다. (2) 반대성의 이상적 이성이라고 개인이 지각한 유형과 실제로 반대성이 이상적 이성으로 지각한 유형 사이의 관계에서 남성의 경우 "약간 남성적 "유형으로 一致했으나, 여성의 경우는 각각 "아주 여성적" 유형과 "약간 여성적" 유형으로 知覺 不一致를 보였다 (t=7.50, p< .01). 2. 適應度 대학생들의 적응도는 일반적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높았다 (t=2.51, p< .05). 3. 性役割 觀念과 適應度 남자들은 자기자신을 "약간 남성적" 유형으로 지각하는 것이 "양성적" 유형으로 지각하는 것 보다 효율적인 적응도를 나타내었고 (t=2.80. p< .01), 반면 여자들은 자기자신을 "양성적" 유형으로 지각하는 것이 "약간 여성적 "유형으로 지각하는 것 보다 효율적인 적응도를 나타내었다 (t=2.02, p< .01). 4. 知覺 不一致와 適應度 「실제적 나」, 「이상적 나」, 「반대성의 이상적」이성에 관한 기대」의 영역에서 知覺한 性役割 觀念이 모두 一致하는 集團이 모두 다르게 효율적으로 적응함을 나타내었다(X^(2)(1)=4.11, p<.01).;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sex-role stereotype and adjustment of college men and women and to delineate relationships between certain sex role perceptions, The following are the questions to be cleared in this study. 1. What are collegians' percept of sex-role stereotype and personal sex-role percept in the instruction of "real self, "ideal self," "ideal other sex (i.e., ideal other)" and "belief about the other sex's ideal other self (i.e., belief)'' and are their differences between the stereotype perceived belief" and the stereotype a actually perceived "ideal other" by other sex? 2. What is their adjustment? 3. Is there any relation between the perceived sex-role stereotype and adjustment? 4. Is there any relation of concept discrepancy in the instruction of "real self ,I' "ideal self" and "belief" to adjustment? For this purpose, Questionaire test was administered to 128 college men and women in five university in Seoul. Bern's BSRI (Bem Sex Role Inventory) was adopted for sex- role stereotype test and Jeong won-sik and Kim Ho-Kweon's adjustment measurement (out of their personality diagnosis test) was used for adjustment test. For statistical analysis, collected data from the test went through T-test, Pearson's r and Chi-square test. The result are as follows: 1. Sex-role stereotype (1) a. Men perceive "real self" with "slightly masculine sex-typed" and Women perceive "real self" with "slightly feminine sex typed," b. Men perceive "ideal self" with "slightly masculine sex-typed" and Women perceive "ideal self with "androgynous." c. Men perceive "belief" with "slightly masculine sex-typed'' and Women perceive "belief" with "highly feminine sex-typed." (2) In the instruction of "belief" and "ideal other" actually perceived by other sex, men perceive both of them "slightly masculine sex-typed," showing congruence, but women perceive the former with "highly feminine" and the latter with " slightly feminine," showing discrepancy (t=7.50, p<.0l) 2. Adjustment As a whole, men's adjustment was higher than women's (t= 2.51, p<.05). 3. Sex-role stereotype and adjustment (1) In men, subjects, who perceive "real self" with "slightly masculine" showed good adjustment than subjects who perceive "real self" with "androgynous" (t= 2.80, p<.0l) (2) In women, subjects who perceive "real self" with "androgynous" showed good adjustment than subjects who perceive "real self" with "slightly feminine" (t= 2.62, p< .0l). 4. Concept Discrepancy and adjustment Low discrepancy subjects who perceive equal sex-role stereotypes in the instructions "real self ," "ideal self" and "belief" showed good adjustment than high discrepancy subjects who were define as having the three score ( real self, ideal self and belief ) in three different BSRI Range [ x^(2)(l) = 4.11,p<.0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