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5 Download: 0

서정추상 연구

Title
서정추상 연구
Other Titles
UNE ETUDE SUR L'ABSTRAIT LYRIO、UE
Authors
이수균
Issue Date
1985
Department/Major
대학원 회화학과
Keywords
서정추상회화서정추상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수재
Abstract
On dit que l'activite´ cre´atrice consiste dans le travail de lire le livre inte´rieur de signes inconnus et que l'artiste, en tout cas, doit entendre la voix de son instinct, ainsi qu'il doit e^tre explorateur de l'inconscient. L'inconscient n'est ni intellectuel ni conscient, mais incertain, Donc, il est instantane´, fuyant, mal fixe, et ne peut e^tre senti que par le sens. Il est I'impression, le signe inte´rieur inconnu, l'instinct et le monde du re^ve. Et le temps originel de´tache du temps historique, c'est-a-dire le temps pur existant avant l'ordre du Cre´ateur. C'est le moment qui se de´tacbe, et qui s'affranchit a` la fois de l'ordre divin et humain. Ainsi le travail auquel je me donnerais entierement consiste, autant que possible, a` saisir le moment de l'inconscience en de´passant le temps et l'espace, et a` l'exprimer a` travers des lignes et les couleurs. Le proble`me est de savoir comment exprimer ce moment de l'inconscience, c'est-a-dire le moment du re^ve, a` travers le sens a` l'aide des mate´riaux: canevas, teintures, lignes et couleurs. Pour resoudre ce proble`me, je recherche l'influence de la pense´e orientale et de la calligraphie, ainsi que l'art abstrait lyrique de´veloppe contre l'academisme de l'art abstrait ge´ometriqtie dans les anne´es 1950s. Je crois que la vivacite´ contemplative, informelle et dynamique, la spatialite´ de ces peintures rendraient possible la realisation de ma conception artistique.;창작활동이란 <알려지지 않은 징후로 된 내부의 책을 읽는 작업>이며 예술가는 어떤 경우건 그 자신의 <본능>을 들어야 한다고 한다. 또한 예술가는 <무의식>을 탐험하는 자라고 한다. 무의식이란 지성적인 것이나 의식적인 것이 아니며 명백하지 않은 것들이다. 그래서 순간적이며 달아나기 쉽고 고정시키기 어려우며, 감각을 통해서나 느껴질 수 있는 것으로 <인상>, <알 수 없는 내부의 징후>, <본능>, <꿈>의 세계이며 역사적 시간으로부터 이탈된 태초의 시간, 창조주의 질서가 부여되기 이전의 순수시간인 것이다. 시간에서 이탈되었으며 동시에 인간과 신의 질서에서 해방된 순간이다. 이렇듯이 본인이 원하는 작업은 가능한한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무의식의 순간을 포착하여 본인의 언어, 즉 꿈의 순간을 어떻게 지각을 통하여 캔바스, 물감 또는 색과 선에 의해 나타내느냐 하는 것이다. 이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동양사상과 書道의 영향을 연구하였고 기하학적 추상에 대한 반발로 일어난 1950년대의 서정적 추상 등을 연구하였다. 이들 회화가 가지고 있는 특성인 묵상적이며 비정형적, 또는 역동적인 생명감 그리고 공간성은 본인이 생각하는 예술관을 가능케 한다고 생각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