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4 Download: 0

여성의 정치참여에 관한 연구

Title
여성의 정치참여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Women and Political Participation
Authors
이춘호
Issue Date
1985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Keywords
여성의 정치참여정치조직Partisan elite여성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백영옥
Abstract
The Primary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scribe and analyze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systematically and comprehensively in a conceptual framework of the sex role differences and political socialization, and bold attempt to develop the theory of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To support this thesis, the following fundamental questions are kept in mind: (1) What has brought about the lack of political participation and political power held by women? (2) How women can get rid of the barriers to get active political participation and political power. The organization of this study is divided with five chapters Chapter I explains the purpose and importance of the research, and limitations. Chapter Ⅱ analyzes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in general. Some discussion is devoted to a survey of political science and women's studies literature on the subject of conceptual and analytical frameworks which have been utilized in the study of the women and political participation. This chapter also examines women and political socialization. It explains the origin of sex role differences. Chapter Ⅲ and Ⅳ deal with a survey research. It surveys' on party executives (women elite), and analyzes individual characteristic and political behavior of them. The aim of this chapter is to test previous established the theory of Women and political participation. It also attempts to find correlations of each item of questionnaire. Chapter V,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summarizes the research findings and suggestion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that 1. Most of active political participants are originated from high social and economic status. 2. Major barriers for women's active political participation are derived from the sex role and gender role in the process of political socialization. 3. Active women political participants are receiving a lots of husband's help. 4. Their political ambitions are great, but their political knowledges are poor. 5. Their consciousness on women's rights have changed, but their attitudes on husband and son have not changed. They keep traditional way of thinking for men. 6. Most of them have experienced the participation of organizations from the early ages. In order to induce women's active political participation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suggest that 1. Women's organizations and small groups should be developed to the agents of resocialization to increase women's political consciousness. 2. It should be expended women's active political participation level from high class to middle and law classes. 3. It should be developed the women's organizations as strong pressure groups to solve women's problems. 4. It needs to develop the programs for student circle activities and leadership training for girls from the early school ages. 5. It needs to expand a specialized education in the party.;성차별을 근간으로 하고 있는 사회구조적인 요인 때문에 여성들은 거의 모든 영역에서 진정한 자유와 평등을 누리지 못하고 있다. 현대 여성해방운동은 이러한 성차별적인 사회구조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여성이 정책결정과정에 적극 참여할 때 보다 쉽게 여성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여성문제는 더 이상 개인적인 문제가 아니라 정치적인 문제로 간주하여 모든 '여성의 힘'을 조직으로 통합시켜 정치과정에 참여하는 방안을 모색하게 되었다. 本 연구는 이와같은 최근의 여성운동방향에 입각하여 성차별적인 현상이 여성의 정치참여에 어떻게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이러한 성차별적인 요인들이 정치조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한국여성(Partisan elite)들에게는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를 조사분석한다. 그리고, 한국여성의 적극적인 정치참여 방안을 집단수준(Group level)에서 모색하려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추구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전체를 5章으로 구성한다. 제1章, 서론에서는 연구문제의 제기와 목적, 그리고, 연구의 범위 및 제한점에 대하여, 제2章에서는 이론적고찰로서 정치참여의 개념과 정치참여자의 일반적 성격, 그리고 여성의 정치참여에 대한 선행연구를 3집단으로 나누어 고찰한다. 즉, 적극적인 정치참여에 대한 선행연구를 3집단으로 나누어 고찰한다. 즉, 적극적인 정치참여를 하고 있는 여성은 어떠한 요인에 의해 정치에 유도되고 있으며 또한 어떠한 요인에 의해 비참여적이 되는가를 문헌을 통하여 이론적으로 근거를 제시한다. 제3章에서는 이러한 근거에서 구체적인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증명하기 위하여 설문지를 작성한다. 조사대상자는 정치조직에 가입한 여성들 중에서도 적극적으로 정책결정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여, 야 정당 엘리트(정당대의원) 여성 120名을 조사대상자로 하고 있다. 제4章에서는 연구조사의 결과 및 해석을 다루고 있다. 그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여성들은 개인적인 특성, 즉, 사회 경제적 지위가 높은 사람들로 나타난다. 대부분 교육수준이 아주 높고, 중류이상 상류계층의 정치적인 집안 분위기에서 자란 여성들로 나타난다. 특히, 취업경험을 가진 40 - 50 代 여성들로 장녀들이 많이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2. 정치활동을 하는 여성들은 남편의 도움이 절대적이였으며 정치참여의 목적을 여성운동에 두고 열심히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3. 어릴때부터 단체조직에 참여하여 지도자적 입장에서 적극적인 활동을 한 여성들로, 성장후에도 사회단체, 특히 여성단체에서 활동한 사람들이 정치조직에서도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4. 미래에 대한 정치적욕망은 컸으나 정치지식이 낮고 적극성이 부족하다. 5. 적극적인 정치참여를 하는데는 여성의 역할, 즉 가사일과 자녀양육, 그리고 정치조직內의 차별적인 제도가 방해되는 요인으로 나타난다. 6. 여권문제에 대한 의식은 전반적으로 의식화되어 가고 있으나 아직도 가족과의 관계, 특히 남아선호사상과 남편과 아내의 지배 복종의 관계에 대한 태도는 전통적인 사고를 그대로 받아들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7. 정치활동을 위한 전문적인 정치지식과 정당인으로써의 자세와 의식에 대한 교육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以上의 조직결과에 의하면, 여성의 정치참여를 적극화하고 있는 요인은 개인의 환경적여건과 남편의 도움, 그리고 본인 자신의 노력에 의해 이루워 지고 있으며 여성의 정치참여를 저해하고 있는 요인은 여성의 성적역활에서 오는 문화적규범과 정치조직內의 성차별적인 제도에 있다하겠다. 특히 이러한 성차별적인 고정관념을 아무런 비판없이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있는 여성들이 많기 때문에 정치참여의 목적을 여성운동에 두고 있어도 그 목적을 달성하기엔 많은 문젯점이 있다 하겠다. 제5章에서는 以上의 조사결과에 비추어 앞으로 한국여성의 정치참여를 집단수준에서 확장, 개발시킨 수 있는 방안을 제언으로 끝을 맺는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