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7 Download: 0

幼兒의 音色. 音槪念 發達에 關한 實驗 硏究

Title
幼兒의 音色. 音槪念 發達에 關한 實驗 硏究
Other Titles
(An) Experimental Study of Children's Tone Color & Tone Concept Development
Authors
朴明淑
Issue Date
198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유아음색음개념발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李基淑
Abstract
어린이 음악교육에서 가장 기초가 되는 듣기교육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 어린이의 주위에 있는 다양한 소리들을 탐색하게 하고 서로 다른 소리의 질을 구별할 수 있는 발견의 기회를 주어야 한다. 또한 음악 기본개념을 뚜렷하게 인식시키고 능동적인 가치판단을 길러주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소리탐색 능력과 음악의 기본 개념을 이루고 있는 음의 요소들 가운데 강도(intensity), 지속(duration), 음높이(pitch), 음질(timbre)에 대한 반응을 검사하여 유아의 기초적 음악능력을 알아 보아 유아기에 음악교육을 가장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하나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는데 이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실험에 의한 연구로 연구의 대상은 서울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 두 곳에서 특별히 음악교육을 받지않은 만 5∼6세의 어린이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소리탐색 능력과 음악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도구는 연구자가 제작한 환경의 소리 12문항, 사람의 목소리 4문항, 악기의 소리 9문항, 강도 6문항, 지속 6문항, 음높이 7문항, 음질 2문항으로 총 46문항이다. 자료의 처리는 각 문항에 대한 연령별, 성별, 평균을 산출하고 유의도 검증을 위하여 t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기된 문제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환경의 소리 반응에서 유아들은 일상생활에서 자주 듣는 소리에 더 잘 반응했다. 특히 일상생활에서 친숙한 소리는 5세 여아들이 잘 반응한 반면 비(雨)소리나 손가락 튕김소리, 바람소리는 6세 여아들이 더 잘 반응하여 발달차를 나타냈다. 2. 사람의 목소리에서 유아들은 말보다 리듬이 있는 노래에 잘 반응했고, 어른의 말이나 노래보다 어린이들의 말이나 노래에 더 잘 반응했다. 연령차와 성차도 뚜렷하게 나타났다. 3. 강도 반응에서 유아들은 작은음 보다는 큰음에 더 잘 반응했다. 유아들은 강도의 변화를 비교적 잘 구별하여 반응했으며 그 중에서도 점점 커지는 음에 더 잘 반응했다. 강조된 음이 있는 음과 없는 음의 구별은 다소 낮은 반응을 나타냈으며 강조된 음이 있는 음에 더 잘 반응했다. 4. 지속 반응에서 유아들은 긴음보다 짧은 음에 더 잘 반응하였고, 여운이 있는 악기에서는 긴음에 잘 반응했다. 5. 음높이 반응에서 유아들은 낮은음 보다 높은음에 더 잘 반응하여 높은음이 유아들에게 더 강한 자극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자리에서 반복되는 음은 잘 구별하지 못하였다. 6. 음질 구별은 전체유아가 잘 반응하여 음질 구별능력이 이미 높은 수준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 유아들의 기초 음악능력에 있어서 성별에는 의미있는 차가 없고, 연령간에는 매우 의미있는 차가 있다.;It is important to make help the child investigate the various sounds in his environment and also to give him the chance of distingushing the different musical qualities in order to make the most basic hearing education to be effective in the musical education of the child. Also it is necessary to help the children to recognize the basic musical concept more distinctively and to grow the active value judgement. This study has a purpose and necessity to suggest the basic material by which we can educate the music very effectively, so it has examined the response for the Intensity, Duration, Pitch and Timbre among the musical elements which compose the ability of sound investigation and the basic musical concepts in order to know the basic musical ability of child. As this study is based on the experiment, the objects are the hundred children, about 5-6 years old, who havn't received the special music education at two kindergarten in Seoul. The contents, which is used to test the ability for the sound investigation and music are the whole 46 question composed by the author. Speaking the whole 46 question in detail, these are the 12 questions for the environmental sound, the 4 for the vocal sound, the 9 for the instrumental sound, the 6 for the intensity, the 6 for the duration, the 7 for the pitch & the 2 for the timbre. The disposition of the material produced the average for age & sex about the each questions and it certified the meaning of this result by the 'T' Test. The result for the suggested questions in this study are following. 1. In the case of the environmental sound, the infants responded the frequent sounds of usual life. Especially, to the contrary that the 5 year-old girls responded to the accustomed sounds, the 6 year-old girls responded to the sound of raining, finger-cutting and wind very well. So this result showed the difference of development. 2. In the case of the vocal sound, it makes sure the whole infants responded very well. They responded to the rhythmic songs rather than the words and also the children's songs or words than the adults. In addition, they showed th difference of age & sex. 3. In the case of intensity, the infants responded to the loud sound rather than the soft sound. They also responded to the variation of intensity comparatively, especially the increasing sound. But they couldn't respond to the distinction between the assented sound & the non-accented one, even though they res-pond to the asscnted one very well. 4. n the duration, the infants responded to the short tone better than the long one but in the case of the resonant sounds, they responded to the long sound than th the short one. 5. In the pitch, they responded to the high pitch than the low one. It means that the high one hives the strong stimulation to the infant. But the infants couldn't respond to the repetive sounds. 6. In the case of timbre, the whole infants responded to the test of timbre so well. It showed that the ability of timbre response has already been built up to the high degree. 7. In the basic musical ability of the infant,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for the sex, but there a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for the ag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