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0 Download: 0

인터랙션 개념 적용을 통한 공간디자인 연구

Title
인터랙션 개념 적용을 통한 공간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Space Design Applying a Concept of Interaction : Centered at transition and mediation of H company
Authors
최진원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환경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경실
Abstract
공간디자인 패러다임의 변화는 사회적인 변혁과 지속적으로 긴밀한 연관성을 보여 왔다. 최근에 나타나고 있는 디지털 혁명 또한 공간디자인에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많은 공간디자이너들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새로운 현대적 시도를 선보이고 있으며, 인간의 활동영역은 그 공간의 규모와 형식의 측면에서 확장되고 다변화되고 있다. 이와 같이 최근 디지털 사회로의 전환에 따라 사회, 문화적 특성이 다변화 되면서 공간의 형식과 프로그램, 사용자의 요구 등이 끊임없이 변화되고 성장하고 있다. 현재의 다양한 요구와 행태를 수용하고 지원하기에는 과거의 물리적인 공간개념에 한계가 있음이 지적된다. 이전의 물리적 환경은 이제 디지털 사회에서 인간과 의사소통하고 상호반응을 인식하는 환경으로 진화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디지털 사회로의 변화 속에서 공간에 대한 재 정의는 물론 시대적 요구와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공간조형 언어(공간개념)의 정립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상을 전제로, 본 논문은 인간이 소외된 물리적 공간디자인에 대한 한계로부터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공간에서의 인터랙션 디자인 적용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디지털 사회의 다양한 업무 환경 중에서 오피스 실내 공용 공간은 기업의 이미지와 기업 문화를 공유하고, 인간의 지적 활동 등 복잡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디자인이 반영되어 새로이 부각되고 있는 오피스 실내 공용공간 중 특히, 전이·매개 공간을 대상으로 인터랙션 디자인의 개념과 원리를 공간디자인에 새로운 시각으로 적용하고자 한다. 연구과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제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범위 및 방법을 서술하였고, 제 Ⅱ장에서는 디지털 사회로의 변화에 따른 디지털 기술발전과 공간디자인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공간디자인의 변화가능성을 가늠해 보았다. 제 Ⅲ장에서는 현대 인터랙션 디자인의 토대를 형성한 관련 분야 연구들의 문헌연구를 통해 이론적 배경을 살피고, 인터랙션 개념과 디자인 원리들을 추출하여 정리하여 이를 기초로 공간디자인을 위한 인터랙션 개념을 도출하였다. 제 Ⅳ장에서는 공간디자인에서 인터랙션 디자인의 개념이 적용되거나 인터랙션 디자인의 개념으로 해석할 수 있는 공간과 작품사례들의 내용을 비교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공간디자인에서 유효한 인터랙션 개념과 공간적용 방법 및 방향을 제시하였다. 제 Ⅴ장에서는 앞의 이론 연구를 바탕으로 이상적인 계획기준과 개선방향을 제시하고 오피스 전이·매개 공간을 중심으로 인터랙션 디자인 개념을 적용한 디자인을 구체화 하였고, 마지막으로 Ⅵ장에서는 본 연구의 타당성과 의의를 제시하고 디자인 종합 및 평가 후 결론을 맺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연구자는 디자인과정에서 디지털 기술의 무한한 창조적 가능성을 적극 활용하여 인터랙션 개념을 공간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었으며, 미래의 환경에서 요구하는 탈시공간성, 탈중심성, 탈물질성, 지능성, 인간적 감성, 감각성, 하이브리드 세계 등의 다양한 특성을 나타낼 수 있었다. 또한 연구자는 인간이 소외된 물리적 공간에 대한 한계에 대응하는 인터랙션 개념이 적용된 공간디자인 방법과 가능성을 제안하였다는 데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인터랙션 개념 적용을 통한 공간디자인 연구는 특정 공간에 국한되지 않고, 전체 공간디자인에 확대되어 적용될 수 있고 인간과 상호작용 하는 모든 공간디자인에 응용될 수 있다. 인터랙션 개념을 더욱더 확장, 발전시켜 실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사례 연구가 필요하며, 디지털 기술과 공간의 통합에 따른 인터랙션 디자인의 새로운 개념의 연구가 지속되길 기대한다.;Changes in paradigm of space design has continuously shown a close connection with social changes. A recent digital revolution also has brought significant changes to space design. Many space designers have made new modern attempts using digital technologies and the scope of human activities have been enlarged and diversified in terms of the forms and scales of the space. According to a transition to a digital society like this, social and cultural features have become diversified and forms of the space, programs and users' demands are ceaselessly changing and developing. A criticism is being raised that as the past physical space concept has its limitation, it can't accept and support the current, diverse demands and behaviors. The previous physical environment is evolving from a digital society to an environment which communicates and interacts with human beings. In consequence, there rises a necessity to establish a language of new space formative arts which can reflect demands and changes of the times as well as redefinition about space in such changes into a digital society. Assuming these situ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a direction to apply the interaction design in spaces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about design of physical space from which humans are alienated. Out of various business environment of a digital society, the space for public use in offices shares corporate image and culture and where complicated interactions such as human intelligent activities happen. This study intends to apply concepts and principles of interaction design to space design with a new sight targeting space for public use in offices, especially space for transition and mediation, which have newly emerged because diverse designs are reflected for it. Following shows the process of study. Chapter I explained the purpose, scope and methods of the study and Chapter II looked into a possibility of digital technologies development following a transformation into a digital society and a possibility of changes in space design following paradigm changes of space design. Chapter III inquired into a theoretical background through studies on related books which formed the basis of modern interaction design. Then I adjusted interaction concepts and design principles and deduced a concept of interaction for space design based on them. At Chapter IV, I compared and analyzed space and contents of artworks which, in space design, we can apply concepts of interaction design or we can interpret as a concept of interaction design, and I attempted to suggest methods or directions to apply space and an effective concept of interaction in the actual space design based on them. At Chapter V, based on previous theoretical studies, I suggested the ideal standards of planning and directions of improvement and materialized design to which a concept of interaction design centered at transition and mediation space of an office was applied. At the final Chapter VI, I suggested the appropriateness and meaning of this study and made a conclusion after integrating and evaluating this study. Through the processes of this study, I positively used an infinite creative possibility of digital technologies in the design process. After that I could apply the concepts of interaction to space design and express various features such as timelessness and placelessness, decentralization, dematerialization, intelligence, human emotion, sensation and hybrid world. In addi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 suggested a method and possibility of space design to which concepts of interaction corresponding to the limitations about physical space from which humans are alienated was applied. A study on space design through application of interaction concepts isn't limited to certain spaces and can be applied to the entire space design and to design of all the spaces interacting with humans. It is necessary to make researches on diverse examples so that we can practically apply the interaction concepts after expanding and developing it further. Finally, I expect new concept of studies on interaction design following integration of digital technologies and space will be made continuously.
Description
☞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