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白泰昊-
dc.contributor.author鄭容旬-
dc.creator鄭容旬-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8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8Z-
dc.date.issued1983-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77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11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774-
dc.description.abstractThe unity and harmony of the natural phenomena is in perfection and in good order. The nature has infinite meanings for men and has been the object of constant observations and expressions of men. Art is a concrete means of finding out beauty in this nature. It can be completed by expressing something. Then, it is the imagination that creates art. Through the unique deformation of the artists, they express and objectify the subjective nature which they experience by their own imagination. Then, the expression is a creative one and the artistic works can be created in an agreement between the inner logic of the artists and the manners of expression. For this research, lights and flowers are taken as materials. The objects of this thesis are to give life to the nature experienced through the imagination of the researcher and to give the orderly space formation of it through the dyeing techniques. The researcher advanced the theory based on the following subjects in relations to : nature and art, expression through imagination, which has three sub-parts : artist and imagination, expression and the reasons for the deformation, and some examples of real works, and the consideration of the principles and the formative elements of expression. In chapter Ⅲ, for the methodology, it is described which materials are taken from the nature, how to deform them, and how to form the process of expressing the space. In chapter Ⅳ, the researcher deal with the process of creating pieces of work and analize the works as creature by these theoretical background. The conclusions which are obtained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was realized that nature provides abundant materials for the creation of beauty and the new, original world can be created through the imagination of artists. Second, in order to express and reform the subjective nature,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deform it into proper patterns in accordance to the visual perception theory. Also, the forming principles in accordance to this deformation are regarded as an important theory for producing artistic works of harmony. Third, the techniques of air brush and the screen printing ones with photographs served properly the purpose of expressing light, and flowers which exist in nature as well as the purpose of expressing the orderly, infinite space of nature. In the process of applying this techniques, the problems which has been encountered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air brush is used, dyes do not soak well into the fiber, but thinly coat only the surface, dropping down the chroma and when dyes apply too much, they tend to spread. Therefore dyes must be applied many times over after they dried, and it should be considered carefully that the chroma becomes higher after the stream process. Second, if the masking tape is used repeatedly, naps tends to appear on cloth, bringing about the unevenness of dyes, and therefore, it is likely to have bad influence on value and chroma. Third, the value and chroma of the screen-printed parts are not likely to change after the steam process. Therefore, considering these facts, the creator should try to make pieces of work of whole harmony. I'll do my best to research the solutions of these problems more and more in future, and I believe that, thanks to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dyeing, these continuous efforts might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advanced dyeing industrial art.;자연현상의 조화는 완벽하고 질서정연하며 이 자연은 인간에게 무한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인간의 끊임없는 관찰과 표현의 대상이 되어왔다. 예술은 이 자연에서 美를 발견하는 하나의 구체적인 수단이 되며 그것은 무엇인가를 표현함으로써 성립되는 것이다. 이때 예술을 생성케 하는 것은 상상력으로, 예술가는 그가 상상력을 통해서 경험한 주관적인 자연을 창조적 변형을 통하여 표현으로 객관화한다. 즉 그 표현은 창조적인 표현이 되며 예술가의 내적논리와 표현양식의 일체성을 통하여 예술작품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연구는 자연에서 빛과 꽃을 소재로 하여 연구자가 상상력을 통하여 경험한 자연의 대상에 생명력을 부여하고 염색기법을 통하며 자연의 질서있는 공간형성을 시도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는 예술과 자연, 그리고 상상력에 의한 표현에서 예술가와 상상력, 표현과 변형의 이유, 그리고 이것을 작품을 예로들어 서술하고 그 형성요소와 원리를 살펴봄으로써 작품의 근거로 삼고자 한다. Ⅲ장에서는 방법론으로 소재와, 자연의 변형, 그리고 그 변형을 통해 표현될 공간의 형성과정을 서술하고 Ⅳ장에서는 작품제작과 이러한 과정으로 이루어진 작품을 분석해 보았으며 이와같은 과정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자연은 미적인 창조에 대해 무한한 소재를 제공해 주며 이것은 예술가의 상상력을 통하여 새롭고 독창적인 세계가 창조될 수 있음을 깨달았다. 둘째, 표현에 있어서 시지각이론에 입각한 적절한 조형패턴으로의 변형은 주관적인 자연의 재구성을 위해 필요하였으며 그에 따른 형성원리는 조화있는 작품을 제작하기 위한 중요한 이론적 근거가 되었다. 셋째, 빛과 자연에 실재하는 것으로서의 꽃의 표현을 위해 air brush 와 사진을 이용한 스크린 인쇄의 기법은 적절하였고 이것은 또한 자연의 질서와 무한한 공간을 표현하기에 적절하였다. 이 기법을 사용하면서 제작과정에서 발견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1) air brush를 사용하면 염료가 섬유속에 완전히 착염되지 않고 위에 얹히게 되어 채도가 낮아지고 많이 뿌리면 번지기 쉬우므로 염료가 마른 후에 다시 뿌리는 과정을 여러번 반복해야 하며 증열처리 후에는 채도가 높아지므로 이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2) 마스킹테이프( masking tape )의 반복사용으로 섬유에 보푸라기가 많이 일게되어 염료가 몰리게 되므로 주의해야 하며 명도, 채도에 손상이 있기 쉽다. 3) 스크린인쇄와 air brush의 사용으로 기법의 차이에서 오는 이질감을 없애는 것이 중요한 문제였고 스크린인쇄로 날염을 한 부분은 증열처리 후에도 명도, 채도가 변하지 않고 그대로 있으므로 이점을 미리 고려하여 작품 전체의 조화를 이루도록 해야 한다. 앞으로 계속 제작활동을 통해서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방법을 모색하고 연구하고자 하며 염색의 특수성을 살릴때 산업염색으로도 많은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목적 = 1 B. 연구범위 = 1 C. 연구방법 = 2 Ⅱ. 이론적 배경 = 3 A. 예술과 자연 = 3 B. 상상력에 의한 표현 = 5 1. 예술가와 상상력 = 5 2. 표현과 변형의 이유 = 7 3. 변형의 예 = 9 C. 형성요소와 원리 = 11 1. 형성요소 = 11 2. 형성원리 = 16 Ⅲ. 방법론 = 22 A. 소재 = 22 B. 자연의 변형 = 24 C. 공간형성 = 26 Ⅳ. 작품제작 및 분석 = 29 A. 작품제작 = 29 1. 표현매체와 기법 = 29 2. 제작과정 = 33 B. 작품분석 = 34 Ⅴ. 결론 = 58 참고문헌 = 60 ABSTRACT = 6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89569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
dc.subject-
dc.subject공간-
dc.subjectLIGHT-
dc.title빛과 꽃에 의한 空間的 表現-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XPRESSION OF THE SPACE THROUGH THE LIGHT AND FLOWER-
dc.creator.othernameChung, Yong Soon-
dc.format.pageviii, 6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생활미술학과-
dc.date.awarded198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