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3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현중-
dc.contributor.author구순영-
dc.creator구순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6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6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441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10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413-
dc.description.abstract환경 디자인에 있어서 새로운 표현 방법의 문제는 디자이너의 과제로 관심과 탐구의 영역이 되어 왔으며 작품을 통해서 새로운 가능성을 위한 다양한 접근이 제시되어 왔다. 특히 환경의 미적 가치가 중요하게 여겨지는 오늘날에 있어 독창적인 표현방법에 대한 탐구는 그 가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17세기 이후 전개되어온 기계론적 패러다임은 획일화되고 기능적인 공간만을 양산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계론적 패러다임에 대한 대안으로 등장한 생태학적 패러다임은 전일적이고 다원적인 관점을 제시하면서 환경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요구하게 되었다. 이러한 관점은 환경을 자연과 과학, 사상과 예술의 복합체로 바라보게 하였다. 따라서 환경디자인에서도 예술로서의 환경을 지향 할 때 환경의 질적 가치가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태학적인 패러다임의 배경아래에서 최고의 가치인 미를 추구하기 위해 디자인의 새로운 표현 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음악과 환경디자인간의 접목을 통해 관점과 방법을 공유함으로써 더 많은 가능성과 창조적인 대안을 창출할 수 있다는 다학제적인 방법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에서는 현대음악의 시공간성 표현에 의한 「한강 자연사 박물관과 공원」의 환경 디자인 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동시대 정신으로서 현대음악과 조형예술과의 상호 관련성을 이해하고 공유된 조형적 특징을 도출해 내어 이를 디자인에 적용한다. 특히 시간과 공간이 절대적이지 않고 서로 분리되지 않는 상대적이고 상호 조화로운 것이라는 생태학적 패러다임에 기반한 시공이론에 따라 현대음악에서의 시공간성을 디자인에 적용함으로 실험적이고 독창적인 디자인 과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I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 범위와 방법을 서술하였다. 제II장에서는 음악과 조형예술의 상관성을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의 상관성, 구성요소와 표현형식에 있어서의 상관성, 시공간적 상관성으로 고찰해 보았다. 제III장에서는 현대 예술에서의 시공간성을 현대음악과 현대 조형예술에서 살펴보고 그 조형 적 특징을 도출하였다. 제IV장에서는 디자인에 적용할 사례음악으로 Lontano를 선정하고 이를 분석하여 디자인에 적용할 개념을 도출하였다. 연구대상으로 「한강 자연사 박물관과 공원」을 선정하고 이에 적합한 실제적인 대상지를 선정, 분석하였다. 다음으로는 필요공간과 그 기능을 분석하여 이 를 바탕으로 사례음악의 시공간성을 적용한 디자인 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디자인 최 종안을 종합하고 평가하였다. 제V장에서는 본 연구에 관한 요약과 논의를 하였으며, 연구의 기대효과 및 제한점을 서술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현대음악의 시공간성을 환경디자인에 표현해 보았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디자인 표현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자는 예술로서의 환경을 실현하기 위해 이러한 접근방법이 한 대안이 될 수 있다는 데 연구의 의의를 두며 앞으로의 디자인 방향이 창조적인 다른 예술분야와의 교류를 통해 다양하게 전개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게 되었다. ;Designers have been concerned and interested in the matters how to express the new methods in interior and environmental design fields. Various approaches had been presented for inexperienced possibilities through a number of works. Because aesthetic values are especially regarded as very crucial aspects nowadays, the investigations about the presentational ways with own originalities are getting more highly precious. Due to cartesian paradigm developed since Seventeenth century, standardized and functional spaces have been mass-produced. However, ecological paradigm as the alternative plan instead of cartesian paradigm suggests wholistic and pluralistic perspectives, in addition, it requires new understanding about environments. The viewpoints make environments a complex body to consist of nature, science, ideology and art. In consequence, qualitative value of environment will be improved if environmental design is headed toward arts. The purpose of my study is to suggest how to present the new design method based on ecological paradigm for the pursuit of beauty, the highest value. According to this, I am going to approach my study in synthetic way to hold view and method in common through combination of music and environmental design. In my thesis based on this approach, I will present environmental design of 」Natural history museum of Han River and Park 」 to express spatial and temporal aspects of contemporary music. I need to understan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the formative art with contemporary genius and find similar formative features to use them as design language. Especially I am going to adopt the spatial temporal theory based on ecological paradigm, which is the idea that time and space should not be absolute by themselves, separated but be relative and mutual in harmony. As a result, I will suggest experimental and creative design process to apply spatial and temporal aspects to design. The summary of my process is below. In Chapter I, I described the background, purpose, range and methods about my study. In Chapter II, I contemplated interrelationships between music and the formative art in three categories, such as the interrelationship as the method of communication, the interrelationship of constitution and forms of expression, and the interrelationship of space and time. In Chapter III, I sought spatial and temporal aspects of contemporary music and formative arts in order to organize the distinctive features. In Chapter IV, I chose Lontano to apply to my design as example music. I selected 」Natural history museum of Han River and Park 」 for the object of my study. After then I found the actual site and analyzed it. Secondly after I divided the required spaces according to the functions. I proposed the design to apply spatial and temporal characters of the example music into the space. Lastly I put the final design together and evaluated it. In Chapter V, I summarized and discussed about my study, I also mentioned expected effects and the critical points of my study. In conclusion, I presented spatial and temporal aspects of contemporary music in interior and environmental design through the process that I mentioned above. Furthermore, I tried to suggest the new presentational way of the design. It is very meaningful for me, the investigator of this thesis, that my approach to realize environment as arts could be another choice. I made sure the various possibilities that the directions of design in the future can be developed through the creative exchanges with other ar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I. 서론 = 1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 1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 2 II. 음악과 조형예술의 상관성 고찰 = 4 1.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의 예술 = 4 (1) 음악의 커뮤니케이션 과정 = 7 (2) 조형예술의 커뮤니케이션 과정 = 8 (3)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의 상관성 = 10 2. 구성요소와 표현형식에 있어서의 상관성 = 12 (1) 구성요소에 있어서의 상관성 = 12 (2) 표현형식에 있어서의 상관성 = 22 3. 음악과 조형예술의 시공간적 상관성 = 26 (1) 음악에서의 시간성과 공간성 = 27 (2) 조형예술에서의 공간성과 시간성 = 30 III. 현대 예술에서의 시공간성 = 34 1. 자연과학의 패러다임 변화와 시공이론 = 34 2. 현대음악에서의 시공간성 = 35 (1) 죄르지 리게티(Gyorgy Ligeti) - sound mass = 35 (2) 이아니스 크세나키스(Iannis Xenakis) - glissando = 37 (3) 칼하인즈 슈톡하우젠(Karlheinz Stockhausen) - chance music = 39 3. 현대조형예술에서의 시공간성 = 41 (1) 스티븐 홀(Steven holl) - Stretto House = 42 (2) 베르나르 츄미(Bernard Tschumi) - Parc de La Villette = 44 (3) 다니엘 리베스킨트(Daniel Libeskind) - Jewish Museum with the Berlin Museum = 46 (4) 마르코스 노박(Marcos Novak) - Computation and Composition = 47 4. 현대예술에서 나타나는 시공간성의 조형적 특징 = 49 IV. 현대음악의 시공간성을 적용한 모형사례 디자인 과정 = 53 1. 디자인 개요 = 53 2. 디자인 과정 = 55 (1) 사례음악의 분석을 통한 디자인 컨셉 제시 = 55 (2) 대상지 환경 분석 = 58 (3) 공간 프로그램 분석 = 65 (4) 공간 배치 계획 = 67 (5) 디자인 전개 과정 = 69 (6) 세부공간 디자인 과정 = 74 4. 디자인 최종안 = 83 (1) 배치도 = 83 (2) 입면도 = 84 (3) 평면도 = 85 (4) 단면도 = 88 (5) 최종모형 = 89 (6) 투시도 = 97 5. 디자인 평가 = 98 V. 결론 = 99 참고문헌 = 101 ABSTRACT = 10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84611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현대음악의 시공간성 표현에 의한 환경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한강 자연사 박물관과 공원 연구를 중심으로-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환경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