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85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준-
dc.contributor.author김효주-
dc.creator김효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6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6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463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09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632-
dc.description.abstract20세기의 다양한 현대음악의 큰 흐름 안에서 전통음악의 한 축 이라할 수 있는 조성이 무너지면서 작곡가들은 전통악기의 한계성을 실감한다. 새로운 소리에 대한 작곡가들의 호기심이 도구의 발달을 낳고, 도구의 발달은 작곡가들에게 소리의 개념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가져와 음색을 음악을 이루는 요소의 하나로 규정짓는 과학기술을 이용한 새로운 음악 형태인 구체음악과 전자음악의 출현을 앞당긴다. 20세기 초반의 주요한 음악사조였던 음렬주의 이후에 과학기술의 이기를 이용한 구체음악과 전자음악을 독창적이고 독자적인 음악영역으로 구축하여 음악의 새로운 표현방식을 제시한 인물이 슈톡하우젠(Karlheinz Stockhausen)이다. 슈톡하우젠은 구체음악이나 전자음악이 단순히 인공적인 기계조작이 낳은 부산물이 아닌, 새로운 가능성을 제공해준 현대음악의 한 소재로 부각시키며 컴퓨터 음악과 같은 미래지향적 음악으로 나아가는 지표가 되고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음향을 추구하는 현대 작곡가들에게 이론적, 기술적 배경을 확립한 지침서가 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슈톡하우젠의 전자음악을 시기별로 나누어 볼 때 초기에 해당되는 전자음악 작품들 중 전통적인 음악형식을 탈피하여 새로운 음악으로 길을 열어준 Studie I과 Studie II를 중심으로 슈톡하우젠이 시도한 전자음악(electronic music)과 슈톡하우젠의 전자음악 스타일이 형성되기까지 기술적 밑바탕이 되었던 구체음악(concre`te music)의 기법을 살펴보는 것이다. 기존의 음악과는 다른 방식으로 음정과 음량, 엔벨롭 곡선 등 음악적 지표를 제어하는 방법과 구체음악의 기법을 이용하여 전자음악에 적용시킨 Studie I과 Studie II는 구체음악과 전자음악의 기법과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슈톡하우젠의 작곡 스타일을 형성한다. 뿐만 아니라 Studie I 과 Studie II를 통해 마련된 기술적, 이론적 근간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음악적으로는 베베른의 음렬 구조를 더함으로써 실험의 단계에 머물던 전자음악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인 독창적인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구체음악 및 전자음악에 대한 역사적 배경을 시작으로 Studie I, Studie II에 관한 연구와 분석을 통해 나타난 구체음악과 전자음악의 기법을 알아보고 두 작품이 현대음악사에서 갖는 의의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결과 1950년대 초반에 만들어진 슈톡하우젠의 초기 전자음악 작품인 Studie I, Studie II는 정교한 전자음과 인간의 목소리를 담는 Gesang der Ju¨nglinge(1956)와 전통악기와 전자음의 조화를 만들어낸 Kontakte(1960)로 이어지면서 슈톡하우젠의 전자음악 세계를 더욱 넓게 펼쳐나가는 초석이 되었다는 뜻 깊은 의의를 갖는 작품들이며 새로운 음향적 가능성의 시도로써 구체음악과 전자음악이 시작되었으나 50년이 지난 지금은 전자음악이 디지털 시대의 컴퓨터 음악으로 이어져 현대음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장르로 발전되어 가도록 이끌어 나가는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Music in the twentieth century is representative of variety and pluralism in many aspects. The late Romantic era had the greatest possible extent of harmonies and melodies and the progression of the art had reached the limits of possibility. Many composers have explored atonal music and invented a whole new system called serialism or 12-tone music, while the composers of the preceeding three centuries still made traditional tonality. The twentieth century music after the total serialism have given as many patterns and styles as a kaleidoscope. One of the patterns of serialism is the appearance of the electronic music that was caused by the development of science. The advance of technology has also had an enormous impact on the evolution of music in this century. The composer who has shown endless possibility of twentieth century s electronic music is Karlheinz Stockhausen. He has demonstrated that the electronic music is not just operating a machine but provides new material for contemporary music. As a result of his effort, the electronic music became an essential tool to create new materials and techniques for composition and help to associate with computer composition as well. Stockhausen encouraged contemporary composers to experiment and abstract new textures and technical backgrounds. I will make researches on conctrete and electronic music focusing on the electronic music Studie I, Studie II using new techniques in the early period. Developing electronic music, the two works, Studie I and Studie II, which were composed in the early 1950s, are very significant factor of revolutionizing the music, because the electronic music Gesang der Ju¨nglinge(1956) used synthesized sounds and Kontakte(1960) using manipulation of traditional instruments and electronic sounds are based on the these two works, Studie I, Studie II. The thesis will present historical background and significance of conctrete and electronic music in twentieth century with an in-depth analysi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Ⅱ. 슈톡하우젠과 전자음악 = 3 A. 슈톡하우젠의 작품세계 = 3 B. 시대적 배경 = 7 Ⅲ. 작품분석 = 13 A. Studie I = 17 1. 작품배경 = 17 2. 분석 = 18 3. 분석에 의한 음악적 접근 = 31 B. Studie II = 33 1. 작품배경 = 33 2. 분석 = 34 3. 분석에 의한 음악적 접근 = 47 Ⅳ. 결론 = 50 참고문헌 = 52 영문초록 = 5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5824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실용음악대학원-
dc.title슈톡하우젠의 초기 전자음악 작품을 통한 구체음악과 전자음악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conctrète and electronic music based on Karlheinz Stockhausen's early electronic music-
dc.creator.othernameKim, Hyo-Joo-
dc.format.page5, 5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실용음악대학원 음악공학전공-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공연예술대학원 > 음악공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