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40 Download: 0

Vancomycin 내성장구균(VRE) 환자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과 수행

Title
Vancomycin 내성장구균(VRE) 환자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과 수행
Authors
이정숙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옥수
Abstract
최근 병원감염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병원감염으로 격리 중인 환자와 직접 접촉하는 간호사들은 환자뿐 아니라 간호사 자신과 다른 환자들을 보호하기 위해서 격리지침에 따른 정확한 지식을 가지고 간호를 수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VRE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VRE 환자를 보호하며 최대의 건강을 유지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감염관리지침을 정확히 알고 실행하도록 간호사의 적극적 참여가 반드시 요구된다. 국내에서 병원감염으로 이미 격리중인 환자와 관련된 연구, 특히 VRE 환자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VRE 환자를 직접 간호하는 간호사의 격리지침에 대한 지식과 수행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병원 감염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 간호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행하고자 한다. 자료 수집은 2002년 11월 3일부터 11월 13일까지 11일간, 서울에 소재한 2개 3차병원과 1개 2차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임상간호사 중 최근 6개월 이내에 VRE 환자를 간호한 경험이 있는 간호사 12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VRE에 관한 일반적 지식을 포함하여 코호트 관리, 손씻기, 환경관리 등 3개 영역에 대한 지식과 수행 등 총 74문항으로 이루어진 연구자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적 특성에서 27세미만이 63.1%로 평균 연령은 25.83세, 미혼자가 82%, 4년제이상 졸업자가 72.1%이고, 총 임상경력 평균은 44.87개월, 현부서 경력 평균은 32개월, 근무부서는 내과가 45.9%로 가장 많았으며, 일반간호사가 94.3%로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1년 이내에 VRE와 관련된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59.8%였으며, 최근 병원내 VRE 발생의 심각성에 대한 질문에 45.9%가 매우 심각하다고 하였으며 116명이 격리지침을 보유하고 있다고 대답하였다. 최근 6개월 이내 간호한 VRE 환자 수는 평균 3.15명이였다 2. VRE 환자에 대한 지식은 손씻기가 100점 환산시 97.33으로 가장 높았고 일반적 지식(89.61), 코호트관리(83.81), 환경관리(70.49)순이였다. 3. 일반적 지식에서 VRE 정의에 대한 문항에 99.2%의 가장 높은 정답률을 보였으며 VRE 발생원인에 대한 문항에서 68.9%의 가장 낮은 정답률을 보였다. 4. 코호트관리 지식에서 VRE 전용물품사용에 대한 문항과 검사실 이동시 격리환자임을 알려야 하는 문항에서 99.2%로 높은 정답률을 보였으며, 장갑을 벗는 시기에 대한 문항에 47.9%의 가장 낮은 정답률을 보였다. 5. 손씻기 지식에서 병실에서 나올 때 손을 씻어야한다는 문항에서 100%의 정답률을 보였으며, 손씻기 지식 8문항 모두 95% 이상의 높은 정답률을 나타냈다. 6. 환경관리 지식에서 환자 퇴원 후 병실관리에 대한 문항에서 99.2%의 정답률을 보였으나, 식기수거에 대한 항목에서 지식에 대한 총 34문항 중 가장 낮은 20.5%의 정답율을 나타내었으며, 수액병의 분리수거(26.2%), 정기적인 환경 소독 횟수(32.8%)에 대한 문항에서도 낮은 정답율을 나타냈다. 7. VRE 환자에 대한 수행은 손씻기가 100점 환산시 91.57로 가장 높았으며, 코호트관리(80.90), 환경관리 (77.15)순이였다. 8. 코호트관리 수행에서 VRE 전용물품사용은 3.91(4점만점)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 장갑을 벗는 시기에 대한 문항에서 1.93으로 가장 낮은 수행을 나타냈다. 9. 손씻기에 대한 수행은 8문항 모두 3점 이상을 보여 다른 두 영역에 비해 전체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 10. 환경관리 수행에서 감염성 페기물의 분리수거에 대한 문항에서 3.96으로 모든 수행 문항 중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수액병의 분리수거에 대해서는 1.65로 모든 수행 문항 중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11. 지식에서는 결혼이 코호트관리 지식과(p< .01)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VRE에 대해 심각하게 인지할수록 손씻기 지식이 높고(p< .05), 최근 6개월 이내 간호한 VRE 환자수가 많을수록 코호트관리 지식이 높은(p< .01)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수행에서는 근무부서와 환경관리(p< .01)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VRE에 대해 심각하게 인지할수록 손씻기의 높은 수행(p< .05)을, 최근 6개월 이내 간호한 VRE 환자수가 많을수록 높은 코호트관리 수행(p< .05)을 보이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12. 지식과 수행의 전반적인 관계는 p= .005으로 전반적 지식이 높을수록 수행도 높은 순상관관계를 보였다(r= .36, p< .01).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VRE 환자에 대해 전반적으로 지식이 높을수록 수행 또한 높아 간호사들의 지식을 높일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며 특히 VRE의 병원내 확산을 막기 위해서 효과적인 감염관리프로그램을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환자 간호실무 현장에서 VRE 환자에 대한 지식정도와 교육 요구도를 파악하고 VRE에 대한 최신 지식을 습득 할 수 있는 계속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특히 환경관리의 수행도가 낮게 나타난 것은 분리수거에 대한 지식의 부족과 관련지어 생각할 수 있으므로 각종 물품의 분리수거에 대한 구체적인 지식을 제공하고 정확한 수행을 위한 반복적인 교육을 활성화되어야 하겠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1) VRE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과 격리환자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 간호사들의 VRE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다른 일반환자와 차이가 있는 지 파악하여 VRE 환자에게 질적인 간호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2) 감염관리를 강화시키는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며 VRE에 대한 교육 실시 전후 간호사의 지식과 수행도의 변화에 대한 연구 등을 통해 적절한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3) VRE 확산을 방지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전국병원의 실상을 파악하려는 노력과 함께 감염관리 업무가 강화되고 병원감염관리 실무자의 확보가 필요하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the clinical nurses about the VRE isolation. The respondents of this study were 122 clinical nurses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3 to November 11, 2002.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analyzed by using percentage, means, pearson s correlation, t-test, ANOVA, Pearson s corelation. The finding were as well; 1. The mean ae of the nurses was 25.83 years and mean duration of their clinical experience was 44.87 months. The majority of the nurses had experience in reading guideline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2. The mean scors of the knowledge scores about the Cohort was 83.81, Hand washing was 97.33, Management of environment was 70.49. The majority of the nurses has knowledge on the definition and the transmission of the VRE. But they confused about the standard of the disposal of waste matter and the nurses had the lowest knowledge about origin of the VRE. 3. The mean scors of the performanc scores about the Cohort was 80.90, Hand washing was 91.57,Management of environment was 77.15.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 of the performance about environmental management according to nurse s working unit. 4. The knowledge about VRE isolation shoul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level of performance(r= .36, p= .005). In conclusion, It will have to enforce a systemic education on VRE isolation of clinical nurses. Educ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 and run for the clinical nurses so that they can provide effective and appropriate nursing care to the VRE pati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