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
dc.contributor.author송희승-
dc.creator송희승-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3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3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449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06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498-
dc.description.abstractThis thesis is an analysis of "San-jo for Piano" (2001) which was composed by Heeseung Song. When it comes to the western music, the polyphony began from the Greek and the Roman age and formed through the medieval age. It has reached modern and contemporary music through Baroque, Classic and Romantic period. The current tonality was phased out by Wagner s Chromaticism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thus an array of new pieces of music have been composed by Mahler, Scriabin, Bartok, Hindemith, Stravinsky, Schonberg and Webern. Over the early twentieth century, the atonality had come to be employed to write music. And new attempts such as twelve tone, pointillism, change Music, the computer music and the electronic music have been made to express music in various aspects. This thesis analyzes the " San-jo for Piano in which a typical western instrument, piano was adopted to represent new sounds and rhythms originated in Korean traditional musical scale, beat. The "San-jo for Piano" consists of three chapters and each chapter has six, seven, and four sections, respectively. Each chapter was composed to have close relations with each other, maintaining its own unity and diversity. In this modern instrumental piece, for extension and development after presenting a motive, the pointillism is used to express the beautiful sound of the piano througn melody, rhythm and scale, and various expressions of musical contents and plots for a broad range are tried through natural movement and Korean structure of melodic interval. ; 본 논문은 현대 음악 연구의 일환으로 송희승의 "San - jo for Piano" (2001)의 음악적 특징을 분석 할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양 음악사를 보면, 고대 그리스, 로마 시대를 시작으로 중세 음악을 거치면서 다성음악이 생겨났다. 바로크 시대, 고전시대, 낭만 시대를 지나 근대, 현대 음악에 이르게 되었다. 오늘날의 조성 음악이 19세기 말 바그너 (Wihelm Richard Wagner, 1813 - 1887) 의 Chromaticism으로 서서히 무너지기 시작하여서 말러(Gustav Mahler, 1860 - 1911), 스크리아빈 (Alexander Scriabin, 1872 - 1915), 바르톡 (Bela Bartok, 1881 - 1945), 힌데미트 (Paul Hindemith, 1895 - 1963), 스트라빈스키 (Igor Stravinsky, 1882 - 1971) , 쇤베르크 (Arnold Schonberg, 1874 - 1951) ,베베른(Anton Webern, 1883 - 1945) 과 같은 작곡가들에 의해서 새로운 작품들이 많이 쓰여 지게 되었다. 20세기 전반에 걸쳐서 무조성을 사용하여 작품을 작곡하게 되어 12음 기법, 점묘주의, 우연성 음악 , 컴퓨터 음악, 전자 음악 등의 다양한 양상으로 음악을 표현하기에 이르렀다. 본 논문은 이러한 현대 음악의 현대화하는 방법으로 우리나라 장단과 음계 등 새로운 소리와 리듬을 가지고 서양악기 중 대표적인 피아노를 도구로 표현하여 작곡된 "San - jo for Piano" 에 대한 분석 연구이다. 본인의 "San - jo for Piano" 는 3개의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악장은 6개, 2악장은 7개, 3악장은 4개의 Section 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악장은 서로 통일성과 다양성을 가지고 긴밀한 연관성을 맺으며 작곡되었다. 이 곡은 동기가 제시되어 확대, 발전해 나가는 과정에서 선율, 리듬, 음계 등을 통하여 피아노 악기만의 아름다움을 표현하기 위하여 점묘기법, 넓은 음역에서의 자연스러운 움직임, 한국적인 선율의 음정 구조 등을 통하여 음악적 내용과 구성에 다양한 표현을 시도한 현대적인 기악곡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V I. 서론 = 1 II. 송희승의 "San - jo for Piano" 분석 1. 구조와 형식 = 3 2. 선율 = 7 3. 리듬 = 48 4. 화성 = 73 III. 결론 = 84 Abstract = 85 참고문헌 = 87 부록 - 악보 = 8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40516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송희승의 " San-jo for Piano "(2001) 의 분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0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